고려대경제학과에 관련해서 몇가지질문

고려대경제학과에 관련해서 몇가지질문

작성일 2007.12.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경제학과 관련지식이 있으신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한시가급한상황이라 조금의 지식이라 할지라도 부탁드리겠습니다..

 

2008년에 고2가되는 고려대 경제학과를 목표로하는 고1학생입니다.

이제 곧 고2가되고, 수능에대한 좀 더 구체적인 공부 계획을 세우고자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중학교내신성적은 40~50%를 넘나드는 그야말로 개판이었습니다만

고1올라와 1학기때는 45%, 2학기 중간기말 마음잡고 독학으로 10%까지 끌어올렸고

모의고사는 말하기 창피한 점수지만 1학기때는 500점만점에 평균 한 250~260 정도나왔고

2학기와서 320까지 올렸습니다..사실 고려대를 바라보기엔 턱없이 부족한점수이고

학원도 안다니고 독학만으로 고려대를 가야하는실정입니다.

서울대는 감히 상상도못하고 꿈은높게잡아야한다는 명목으로 연고대라는 높은 목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난하기때문에 독학을 선택했고 그렇기때문에 더 고려대를 가야된다는 생각을 버릴수가 없었고,

경제학과를 가기위해 문과를 선택했습니다. 제짝과 제 뒷자리 앉은아이들은 학원을다니는데 영,수전문학원인데 그애들이푸는문제를보고 사실 놀랄정도로 매우 난이도가 높더군요.그런데 더 신기한것은 너무 쉽게풀어대더라는겁니다. 사실 이럴땐 독학으로 과연 고려대를 바라볼수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질문은 간단한 3가지입니다.

 

 먼저 궁금한것은, 경제지리,한국지리,세계지리중 경제지리를 택하면 유리한지

그리고 독학으로 sky쪽 성공한 사례가 있는지 부탁드립니다(사례에따라 제 목표가달라지거나하지는 않지만 가능한지를 알고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경제학관련직업이나 전망좀 알려주셨으면합니다.문과에서 경제학과 경쟁률이 높은편지도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 서울대 경제학부에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는 02년도에 수능을 봤으니 오래 되긴 했습니다. 지금 과외를 하면서 학생들 실력을 보면 우리 때에 비해 전체적으로 약간 낮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것은 뭐 요즘 학생이 머리가 나쁘다거나 그런 뜻이 아니라 교육 시스템상 그럴 수밖에 없는 현실이지요. 실제로 수능을 보는 과목 수도 적다 보니 그렇기도 하고 너무 학원 위주의 교육이라 자신이 혼자 능력을 계발할 시간이 없겠지요.

 

물론 학원을 아예 안 다니고 고대를 가기는 힘들 수도 있지만, 저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해서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질문에 답해드리면, 첫 번째 질문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모호한데 점수 잘 따기에 유리하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답하겠습니다. 세계지리는 택하지 마시고 한국지리나 경제지리는 비슷할 거에요. 그런데 학교에서 중점적으로 수업하는 과목이 세개 중에 있다면 그 과목이 공부하기에 훨씬 수월할 겁니다. 고3되면 자율학습시키면서 그 과목 문제집들 프린트해서 잔뜩 주거든요. 그러니까 사회 쪽 선생님께 여쭤봐서 어느 과목을 중점적으로 배울지를 물어보시고 결정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저희 때만 해도 독학으로 저희 학교 들어온 애들이 가끔 있었는데, 요즘엔 거의 없는 추세이지요. 그렇다고 학원을 안가면 떨어지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는 것은 아니고 모두들 학원을 가니까 확률상 그럴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학교수업 열심히 듣고 문제집 좋은 것으로 잘 이해하고, 그러면 수능, 내신까지는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저도 고등학교 다니면서 수능때문에 학원을 다닌 것은 언어영역만 3개월정도 다녔고, 그닥 도움도 못 받았습니다. 다들 가길래 고3때 따라간거지... 하지만 제가 학원의 도움을 얻은 부분이 구술 면접이지요. 논술이나 구술은 혼자서 하기엔 조금 벅찹니다. 근데 이것은 준비기간이 짧으니까 우선 수능 잘 보시고 한두달만 학원을 다니신는 게 좋을 거에요. 수능은 매일매일 연습하고 문제집도 널려있으니 혼자서 해도 되는 것이지만 논술이나 구술은 지도가 좀 필요합니다.

 

세번째 질문은, 대답하자면 너무 긴데, 경제학과 전문성 무지 높고 경쟁력도 높습니다. 저는 이런 면 때문에 경영학과를 안 가고 경제학과를 온건데, 물론 공부가 그만큼 힘듭니다. 하지만 경제학과 나와서 경영대학원가는 건 아무 문제가 없는데 경영과 나와서 경제학을 더 깊게 하려면 아주 힘들지요. 어려운 만큼 많이 폭넓게 배웁니다. 깊이도 있고요. 대신 수학을 좀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물론 지금 준비할 필요는 없고, 들어와서 수학때매 조금 스트레스는 받으실겁니다. 저도 받고 있고요 ㅋㅋ 하지만 경쟁력이 높으니 그 부분은 걱정하실 필요없습니다.

진로에 대해서는, 우선 취직은 경영과와 비슷하게 잘 됩니다. 물론 학점관리와 영어준비는 전제하고요. 그리고 경제과 고유의 진로를 보자면 은행, 금융권, 그리고 유학 갔다오는 길이 있습니다. 저희학교에서는 한국은행이나 산업은행도 많이 가고, 유학 갔다와서 펀드, 금융 관련 일을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아! 그리고 행정고시가 가장 많지요 물론. 그것은 저희학교 특유의 상황이긴 합니다만 재경직 행정고시나 일반 행정고시에서 경제학 과목이 가장 어려운 것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경제과 학생들이 행정고시 준비를 많이 합니다.

그리고 전망은 아주 좋습니다. 요즘 우리나라에 금융관련 전문가가 없어서 외국에서 끌어오고 있는 것 아시죠? 파생상품이나 이런 곳은 아직 불모지이기 때문에 전망은 무한합니다. 블루 오션이죠. 그리고 행정고시에서도 유리하고요. 목표 선택을 잘 하신 것 같네요.

 

열심히 하면 못 할 것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저희 학교로 오셨으면 좋겠네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한 거 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고려대경제학과에 관련해서 몇가지질문

경제학과 관련지식이 있으신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한시가급한상황이라 조금의... 사실 이럴땐 독학으로 과연 고려대를 바라볼수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질문은...

경제학과 질문지법

사문 수행으로 해야되는데 질문지법 경제학과 관련 주제들 추천해주세요 경제학과 관련하여 사문 수행을 위한 질문지법 주제를 몇 가지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1. 과거와 현재의...

경제학과 관련 질문...(위치!)

... 연세대 고려대 경제학과가 서울이 아닌곳에 있다면 점수대가 확 달라 졌겠지요. 아마 연세대 경제 학과 고려대 경제학과가 배치표상에 없어서 그런말을 하게 되신것...

정치경제학과 관련 직업

... 질문에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정치경제학과 관련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아래는 정치경제학과 관련몇 가지 직업 분야의 예시입니다. 정치 분석가...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 잘 읽어보시고 궁금한 점 있으면 또 질문 올려주세요. 농업경제학과 취업률 > 40 % 이상 졸업 후 첫 직장 임금 > 월 150 만원 이상 세부관련학과 농경제사회학부, 농경제학과...

우리 아이가 고려대 경제학과...

... 일단, 질문 드리겠습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현재 서강대 경제학과도 지원하려는데 혹시 서강대라도... 고려대 수시모집의 '융합형 인재 전형'은 전형적인 학생부...

경제학과 관련 질문[내공100]

... 경제학과를 가기로 마음을 굳혔는데 질문 몇 가지만 할게요. 1. 수시 때문에 경제 관련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어떤식으로 해야 할까요? (현재 매경 구독 중)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