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금리와 cd금리 왜 차이가 나는건가요?

콜금리와 cd금리 왜 차이가 나는건가요?

작성일 2007.05.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007년 5월 콜금리는 4.5%인데 cd금리는 5.0%,시중은행의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은 연7.40%대 ..왜 이렇게 차이가 나는 건가요? 여기에 대한 설명을 경제신문에서 설명하고 있는데...너무나 전문적인 용어로 풀어놔 마치 기사를 읽기만 하면 모든걸 납득하게 되리라는 논리로 서술하고 있는것 같아..개인적으로는 너무 안타까워요.(나만 모르나 싶어 눈물이 날뻔 했어요)

:

즉,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콜금리, CD금리,시중은행의 변동금리가 어떻게 변해가고 있고  

현재 금리 상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부정적이면 정부가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이러한 상황을 둘러싼 외국은행들은 현 상황을 이용하여 어떠한 식으로 돈을 벌고 있는지,한은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장기금리라는 말은 왜 또 나오는지....고수님!!,아무쪼록 쉽게 설명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신문에서는 여러가지 용어가 나와고 있었읍니다. 즉, 주택담보대출발 가계부실경고, 단기외화차입에 본격 대응, 단기시중금리 연일상승압박,주택신용보증기금출연요율인상,최근 급등한 CD금리,주책대출이자상환에 한계가 옴,시중유동성풍부,금리상승기대감, 채권매수세둔화조짐,외국계은행국내지점의 단기외화차입및재정거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하신 분과 같이 저도 경제신문 많이 보고 공부하고 있는사람인데요..전 고수는 아니고^^;;;;;

잘 모르지만 그래도 제가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만 적어봅니다.

 

일단 아래의 내용은 첫번째 문단에서 나온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먼저 용어설명부터 하죠

 

1. 콜금리 : 시중금리가운데 한가지이고 금융기관들이 서로에게 돈을 빌릴때 지급하는 이자율(보통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발표하는데 시중실세 콜금리는 정책금리와 약간 다르게 변동될 수 있다.)

 

2. 양도성 예금증서(CD) : 보통 은행에서 거액의 단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으로 정기예금과 비슷하게 예금주가 일정액을 입금한 후 예금증서의 형태로 교부 받는다 그후 예금주는 필요할 경우 배서 양도형식으로 시장에 유통시켜서 이에 대한 권리를 이전하면 최종적으로 만기일에 최종소지자가 증서를 들고 은행에 찾아서 입금한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상황설명부터 하자면 금융당국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단기 외화차입 급증세로 인해 추가 원화절상 압박 가능성이 있고 외환시장 교란이 일어날수 있다고 보는 것이죠. 이에 따른 당국의 대책은 외화차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외화로 단기자금을 마련하려는 은행들은 콜자금 및 단기자금 갈증에 시달리게 되죠. 게다가 한국은행이 돈의 유동성 축소를 시사하고 있고 부가세 및 특소세 등 납부등에 따라 시중의 자금에 대한 유동성이 실제로 축소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간 이율인 콜금리가 올라가는것은 물론이고 CD를 통해 단기자금을 흡수하려는 은행들은 CD금리를 올려서라도 CD발행을 늘리려는 것이지요. 그런데 주택담보대출 금리 = CD금리 + 가산금리(은행의 이익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CD변동금리로 하는 이유는 은행들이 자기들은 지급한 이자보다 많이 받아서 손해 안보겠다는 것이니까요) CD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CD시장자체도 콜시장보다 2배밖에 높지 않은데다가 CD만기일이 돌아와서 차환해야 되는 자금도 늘고 있어서 앞으로 CD금리는 추가로 상승할 예정이라는 점입니다.(더 많은 수요자를 위해지요) 결국 이에 대한 피해는 주택을 마련하려는 서민들 부담만 가중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2번째 문단 부분에 대한 제 생각인데요 거의 대부분이 위에서 설명된 부분입니다.

 

주택담보대출발 가계부실경고, 단기외화차입에 본격 대응, 단기시중금리 연일상승압박,주택신용보증기금출연요율인상,최근 급등한 CD금리,주책대출이자상환에 한계가 옴,시중유동성풍부,금리상승기대감, 채권매수세둔화조짐,외국계은행국내지점의 단기외화차입및재정거래..)

 

여기서 순차적으로 사건순서를 보자면

 

외국계은행 국내지점의 단기외화 차입 및 재정거래  ---> 이에 대응한 금융당국에 단기외화차입에 대한 본격대응 --> 은행들의 CD금리 상승 등 단기시중금리 연일상승 압박 --> CD금리와 연동된 주택담보대출금리의 automatic상승 --> 가계부담(뉴스에서 봤는데 3억 대출받은 사람은 이자가 한달에 30만원이나 늘었다는 군요..월급쟁이들은 더 압박이 심해졌어요-.-;;)

 

 

또한 시중유동성 증가와 관련하여

시중유동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돈 쓸사람이 증가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유동성있는 자금을 유치하기 위한 은행들은 금리를 높이게 되죠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채권값은 하락하게 되는데 이 하락전에 사람들은 채권을 팔아서 손해보지 않으려 하게 되죠. 따라서 매수세보다는 매도세가 지배적이게 됩니다. (채권값 하락에 대한 매커니즘을 모르신다면 저에게 쪽지주세요~!^^;)

 

주택신용보증기금출연요율인상

요건 또 설명이 필요한데

은행들은 주택담보 대출을 하면서 주택구입 자금으로 대출 항목을 잡으면(즉 주택대출이라고 명시가 되면) 대출 금액의 0.165%를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출연료(신보료)로 주택금융공사에 납부하게 되어있지요.. 만약에 대출금을 회수못하게 될때 은행에서 대신 변상(어려운 용어로 대위변제라고함)해 주게 됩니다. 그런데 은행들이 약아서 우량주택의 대출은 가계대출로 잡고 부실대출만 주택대출로 잡아서 대위변제로 받은 돈이 신보료로 낸 돈보다 더 많아지게 된 겁니다. 이에 주택금융공사는 대위변제로 받은 비율이 신보료로 낸 돈보다 많을 경우 그 금융기관에 대해 주택대출을 할 경우 신보료 비율을 0.165에서 경우에 따라 0.02까지 올리게 된 겁니다. 그런데 은행들이 누굽니까? 손해보겠습니까? 위에서 설명해 드린 주택담보대출금리 = CD금리 + 가산금리 라는 공식에서 가산금리 부분이 늘어난 신보료만큼 상승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도 은행들이 정직하게 영업을 못해놓고서 서민들만 땜방해주는 식이 되어 버린겁니다.

 

설명이 많이 부족한데요.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많은 고수님들의 추가설명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FORM name=answer_form action=answer_check.php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FORM>

콜금리와 cd금리 왜 차이가 나는건가요?

2007년 5월 콜금리는 4.5%인데 cd금리는 5.0%,시중은행의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은 연7.40%대 .. 이렇게 차이가 나는 건가요? 여기에 대한 설명을 경제신문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주식,증권,채권,콜금리.

... 주식,증권,채권의 차이가 뭐죠? 주식은 어떤회사의 지분... 만약 내가 삼성의 총 주식의 10%를 가지고 있다면 나는... 콜금리금리의 일종으로 금융기관들 끼리 대출해주는...

금리의 결정 은 통화량 하고 연계된...

현재 금리가 오를거라고 예쌍했지만 콜금리는 폭싹 주저앉았다고합니다. 콜금리의... 시중금리와 어떠한 이유로 차이가 나는거 그렇게 결정되는건지 어디서 그렇게...

양도성 예금증서(CD) 투자전 궁금한점..

... 질문2) 신문에 나오는 CD 금리과 조흥은행 금리왜 차이가 나는것인지요? 제가 질문을 하면서도 맞게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cd...

기준금리란..? 주린이질문

... CD아 CP가 기준금리는 아니지요? 한은의 은행간 기준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속단하기는 어렵고... 대부분2차이상의 파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급등한 주식이...

cma와mmf의 차이..?

... 약간 차이가 나는듯 합니다. RP는 보통 4%를 넘는 반면에...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금신탁 - 주로 은행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며 콜금리(?) CD금리(?) 인가에 연동하여...

기초 경제 용어 도서 추천해주세요

... 제목에 콜금리가 나오는 2가지 경우 04 단기금리CD금... 체감물가와 왜 차이가 클까? 09 실업률 기사의 이면... [예비강의] 나는 선물/옵션 투자를 안하는데 알아야...

환율에대해서 많이궁금해요

... 생각나는데로 쓸게요 ex) 지금 달러/원 환율이 1199.90/1200.00... 그런데 이 콜금리가 변화하게 되면 예금수신 금리보다도 더 민감하게 CD(양도성 예금증서)란 금융상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