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질문이요 내공 30 겁니다.

미시경제학 질문이요 내공 30 겁니다.

작성일 2007.04.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배와 사과의 가격이 각각 1000원 이라고 하자. 어떤 소비자가 한 달 동안 40,000원을 사과와 배의 소비에 지출한다고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처음 사과와 배를 20개씩 소비하고 있다고 하자. 소비하고 있다고 하자. 무차별 곡선은 원점에 대해 볼록하고 부드럽다고 한다.

 

1. 최적선택 조건을 쓰시오.

 

 

2. 이제 배의 가격이 500 원으로 떨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배를 42개 구입했다고 하자. 이 상태를 그림에 나타내시오.

 

 

3. 원래 구입했던 상품묶음 (20, 20) 을 구입하려면 얼마가 들겠는가? 처음에 비해 얼마가 줄어들었는가?

 

 

4. 위 문항에서 처럼 줄어든 금액만큼을 이 소비자로 부터 빼앗는다고 하자. 즉 원래의 상품묶음을 소비할 수 있도록 소득을 조정해 준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이 소비자가 배를 30개 소비한다고 하자. 이것을 그림에 나타내시오.

 

5. 배를 기준으로 하여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말하시오.

 

6. 이 상황에서 볼 때 이 개인에게 사과는 정상재인가 열등재인가?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이 문제좀 풀고 해석해주세요...ㅠㅠㅠ

 

30걸께요....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이 내용을 이해하시려면 무차별 곡선을 먼저 이해하셔야 하구요. 그리고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 정상재와 열등재의 의미를 또 이해하셔야 하겠지요.

이해가 안가셧다면 글을 읽으신후에 다시한번 개인적으로 공부하시는것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앞으로 미시경제학을 공부하시는데 필수 거든요 ^^

 

설명드리겠습니다.

1. 최적의 선택조건은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이 만나는 접점입니다.

 전제조건은 소비자가 자신의 소득을 모두 배와 사과를 사는데 소비한다 라는 가정하에서 입니다.

 

다시말하면 자신이 가진 소득을 모두 사용하면서 최고의 효용(만족감)을 얻는 시점이죠.

그것이 무차별 곡선과 예산선이 만나는 접점입니다.

지금 그래프는 그려드릴 수 없기 때문에 책이나 인터넷에 떠있는 자료들을 보시면 예산선과 무차별 곡선을 찾아서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j의 점이 바로 적정 소비점이 되겟네요? 무차별 곡선 U2가 현재의 예산선과 맞다아 있기 때문이죠.

 

2.이 경우 배가 500원의 가격 하락이 있었다는 것은 기존에 배와 사과를 각각 20개씩 구매했던 때보다 배를 구입할때 10000원의 소비금액의 절약을 가져오죠. 남는다는 얘기 입니다. 그럼 그 10000원을 사과를 구입하시는데 쓰면 됩니다. 그럼 배 20개에 사과 30개 구입이 가능하겠죠? 왜냐하면 각 1000원씩 하던 배와 사과를 이제는 배는 500원에 20개 구입하니 10000원으로 땡치니깐요. 그럼 사과 20개+ 추가 사과 10개 가 가능합니다. 같은 소득 40000원으로요 . 간단한 산수입니다.

 

그럼 이걸 그림으로 나타내면?

1. 먼저 수직선을 그립니다.

2. X축에 배를 그리세요.

3.Y축에 사과를 그리세요.

4. 기존에 예산선을 반비례하도록 그립니다. (위의 그림을 참고 하셔서 그리시면 되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예산선과 무차별 곡선을 그대로 옮기시되 U1번과 U3을 제외 하시면 됩니다.

 

그리셧다면 기존의 예산선을 생각하시면 X는 배이고, Y는 사과인데 각각의 접점은 똑같이 20개의 위치에 접해있고 그 두점을 직선으로 이은 형태가 되죠?

그럼 이제는 배의 접점을 42로 옮기면 되겟네요?

그럼 배의 소비량은 정해졌으니 사과의 소비량 (예산선이 Y축에 접하는 점)을 지정하면 되겟지요?

배는 지금 500원이고 42개를 구매햇으니 총소비액은?   그렇죠. 21000원이 됩니다. 그럼 19000원이 바로 남은 돈이고 이돈을 모두 사과소비에 사용합니다. 그래서 사과의 소비량은 19개가 되고 접점의 위치역시 19에 지정하시면 되겠네요.

 

그럼 이어 봅시다. 어떤가요 최초의 예산선 보다 기울기가 더 가파른 새로운 직선이 하나 생길 겁니다. 이것이 바로 배의 가격하락에 따른 새로운 예산선이고 이 선과 무차별 곡선이 만나는 점이 새로 생긴 최적의 소비점이 됩니다.

이때 무차별 곡선의 다른 부분(약간 좌상으로 이동한 점이죠)이 접해야 하죠.

 

*위의 그래프에서는 직선 HI의 기울기를 좀더 크게 하시면 되겟네요. 무차별곡선에 접한 상태에서요.

 

이것이 2번의 정답입니다.

 

3. 그럼 이 상태에서 원래의 상품묶음만큼 구입해라... 라는 것은.

500원 짜리 배 20개 = 10000원

1000원 짜리 사과 20개 =20000원

 

이라는 얘기입니다. 최초의 소비금액보다 얼마 줄었나요? 10000원 줄었네요.

 

4. 소득을 빼앗는 다는 것은 소비금액이 줄었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효용도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가 돈이 적으니까 (소득이 줄었으니까  앞서보다 조금 구입해도 만족한다라는 얘기죠.)

 

똑같이 20개 20개 구입합니다. 하지만 금액은 30000원 들어갑니다.

 

이때 소득을 빼앗으면 예산선의 변화가 있겠지요? 배의 소비량을 30개로 한다면?

배는 개당 아직 500원이니 15000원의 소비가 가능합니다. 15개죠?

사과는 1000원이니깐 사과 역시 15개를 소비할 수가 있겠네요? 총 30000원의 소득이 있으니까요.

 

이것을 그림으로 그리면?

최초의 예산선 보다 어떤가요? 확실이 원점에 가까운 직선이 하나 생깁니다.

그것이 바로 새로운 예산선 (2)이 됩니다. 그렇다면 효용도 줄었다고 말씀을 드렸었죠?

왜냐하면 소득이 줄어드니깐 만족감도 따라서 줄어듭니다. 일종의 기대감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래서 효용역시

저위에 * 그래프에서 보시면 U1의 새로운 무차별곡선(2)이 되죠.

이 그래프역시 직선과 무차별곡선의 접한 점이 최적소비점이 됩니다.

 

5. 대체효과라는 것은? 어떤 특정재화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서 이와 비슷한 성격의 재화의 소비가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문제의 배와 사과의 경우 대체재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꿩대신 닭이다. 이말과 같죠? 배가 가격이 내리자 싼것을 더 사게 되고 사과의 가격은 변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비싸진것과 같죠? 그래서 배의 소비가 당연 증가하는 것입니다.

맛이 비슷하고 만족이 비슷하다면 싼게 비지떡이잖아요?^^

 

그래서 배는 사과의 대체재의 성격을 가집니다.

그리고, 배의 가격이 떨어지자 어떻게 됐나요? 10000원이라는 돈이 굳었습니다. 왜냐하면 적게 썼으니까요. 소득은 그대로 인데 재화 가격의 하락이 소득이 10000원 오른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돈이 남으면 더 사고 싶죠? 이것을 경제용어로 수요라고 합니다. 소득이 그대로 이지만 무엇때문에? 바로 배의 가격하락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한 것이죠. 이것이 소득효과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만 이 얘기가 통합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증가가 재화의 수요에 항상 영향을 주는 경우는 없습니다.

 

6.정상재와 열등재의 구분은?

소득이 올라가면 어떤 재화의 수요가 상승합니다.===> 정상재 혹은 우등재

소득이 올라가면 어떤 재화의 수요가 하락합니다.===> 열등재

 

여기에서 배는 어떤 경우에 속할까요?

요건 질문자께서 조금만 생각해 보시면 아실것입니다 위의 내용이 다 이해가신다면요.

 

그래프를 그려드릴수 있었음 좋겠는데. 제가 피시방인 터라 그래프까지는 그려드리지 못하고 이해하시는데 도움을 드리고 싶어서 의 다른 곳에서 그래프만 옮겨서 배꼈습니다 ^^;;;; 죄송합니다.

 

혹시 이해가 잘 안가시면 쪽지를 남겨 주시면 제가 좀더 자세하게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공부 열심히 하셔서 지존 경제학도가 되시길 ^^

미시경제학 질문이요 내공 30 겁니다.

... 앞으로 미시경제학을 공부하시는데 필수 거든요... 생길 겁니다. 이것이 바로 배의 가격하락에 따른 새로운... 요건 질문자께서 조금만 생각해 보시면 아실것입니다 위의...

미시경제학 생산함수(감가상각률...

... 추가질문 바랍니다. 문제를 한줄씩 보겠습니다.... 배우셨을 겁니다. 미시 경제학에서는 하나의 생산자, 즉... 이 문제에서 s=0.3은 올해 벌어들인 소득의 30%가 자본으로...

미시경제학 총비용곡선 질문

... 있을 겁니다. 만약 한계비용 함수가 MC = Q² - 10Q + 30이라면, 생산량이 1개일때 한계비용 21 생산량이 2개일때 한계비용 14 ... 생산량이 4개일때 한계비용 6 생산량이 5개일때...

미시경제학 문제 질문이요!!!! [내공]

... 미시경제학에서 가격이 인상될 경우 수요량이 감소한다고 배웠기 때문에 이를... 수요 공급 그래프를 그려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그려 보셨다면 초과수요가...

미시경제학 미분 질문

... 미시경제학 미분 관련 질문 드립니다. MUx와 MUy가 각 1이라는 것은 알고있는데 왜... 내공 50 겁니다! 경제수학 교과서 등을 참고하여 미분(편미분)법을 조금 더...

미시경제학 공부에 대해서 질문..

... 과외를 해볼까도 하는데 제발 방법좀 알려주세요ㅠㅠㅠㅠㅠ 광고 신고 내공 100 더 겁니다미시경제학을 배우고 계시면 대학교 2학년 수준으로 추측됩니다. 경제학에서는...

미시경제학 문제 질문

... 내공 100겁니다^^ 10번 문제의 답은 3입니다. 이윤극대화 조건은 MR=MC입니다.... 이를 다시 MR=40-2Q에 대입하면 P=30이 됩니다. 따라서, 이 기업의 이윤극대화...

해결좀 부탁드립니다!(내공30드림)

... 미시경제학 과목 문제인데 너무 어려워서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염치 없지만... 방법일겁니다 두방법에서 다른점이 있다면 관세방법에서는 정부가 관세이득을...

Microeconomics(미시경제학)관련 질문

... 안잡혀서 질문을 드립니다... 아래에 있는... Question 4: (30 points) A company is considering building a... 추가내공 150 겁니다.. 기업이 다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