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극대화 에 대해서~~~

이윤극대화 에 대해서~~~

작성일 2008.11.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뇽하세요 경제를 배우고있는데요

 

기업의 이윤극대화 되는점에서 미분값이 0이 되고

미분값을 0으로 만드는 q 함수(?) q값을 찾는 것이라고 배웠는데요

 

미분은 배우지도않았는데 미분까지 하고 함수도 나와서 어렵습니당

 

아래문제좀 풀어주세요 ㅜㅜ

왜 그런지도 설명해주시고 틀린거있으면 정정해주세요

 

전제조건

dQi/dQj = 0

 

두 기업i, j가 있다. 비용은 C이며 수요곡선은 F(Q)=A-aQ이다.

*저 함수에서 A와 a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세요

Q=Qi+ Qj

 

기업 i 의 이윤함수는 다음과 같다.

∏i=(A-a(Qi+Qj))Qi - cQi

 

기업 j 의 이윤함수는 다음과 같다.

∏j=(Q-a(Qi+Qj))Qj-cQj 

 

*여기서 특정한 i, j 기업의 이윤을 구하는데 위에서 Q=Qi+Qj 라고 정의 돼있어서 대입하는건 알겠는데

왜 Q=Qi+ Qj 일까요

 

1차조건 쿠르노는 전제조건에 따라 아래의 식들로 나타난다.

 

d∏i/dQi = -aQi + A-a(Qi+ Qj)-C=0  <---------특히 여기가 왜 이렇게되는지 ... 미분을몰라서..

d∏j/dQj = -aQj + A-a(Qi+Qj)-C=0

 

위의 식을 가지고 Qi, Qj를 구하면 ( A-C)/3a , (A-C)/3a의 균형공급량이 결정된다.

 

 

설명좀해주세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object>

 

두 기업i, j가 있다. 비용은 C이며 수요곡선은 F(Q)=A-aQ이다.

*저 함수에서 A와 a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세요

 

=> A: 수요곡선의 절편,

     a;       "        기울기

 

Q=Qi+ Qj

 

*여기서 특정한 i, j 기업의 이윤을 구하는데 위에서 Q=Qi+Qj 라고 정의 돼있어서 대입하는건 알겠는데

왜 Q=Qi+ Qj 일까요

 

=> 두기업의 공급량을 합하여 시장공급량 Q가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1차조건 쿠르노는 전제조건에 따라 아래의 식들로 나타난다.

 

d∏i/dQi = -aQi + A-a(Qi+ Qj)-C=0  <---------특히 여기가 왜 이렇게되는지 ... 미분을몰라서..

d∏j/dQj = -aQj + A-a(Qi+Qj)-C=0

 

=> 0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0이 되어야 이윤이 극대화 된다는 것이고요.

     그렇게 되게 해주는 Qi , Qj 를 구하자는 것입니다.

 

* 함수는 가격이 정해지면 수요량이 정해지듯  변수간의 대응관계입니다.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입니다. 가격함수가 공급량에 의해 정해진다면 공급이 변해야 가격이 변하겠죠.

그래서 미분값은 공급의 변화에 따른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 변화율이 +이면 증가하는 것이고 더이상 증가할것 없는 극대값에서는 변화율이 0이 됩니다.

그래서 극대조건은 함수를 미분한 결과를 0에 맞추어 푸는 것입니다.

 

미분하는 기법은 대학수학이나 고교 이과교과서를 보셔야 할 겁니다.

</STYLE></script></APPLET>

이윤극대화 에 대해서~~~

안뇽하세요 경제를 배우고있는데요 기업의 이윤극대화 되는점에서 미분값이 0이 되고 미분값을 0으로 만드는 q 함수(?) q값을 찾는 것이라고 배웠는데요 미분은...

이윤극대화 도와주세요 부탁드려요....

... 어쨌든 "이윤극대화"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면, 1계조건(한계수입 = 한계비용)이 가장 기본이고, 언급하신 2계조건까지 따져준다면 더할나위가 없겠습니다. 맨 처음...

기업의 이윤 극대화에 대해서

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위해 노동의 한계수입생산이 근로자의 임금수준과 일치하는 수준까지 고용한다고 했는데, 이해가 가지 않는 게 추가 이윤이 0이라는 말은 더 이상의...

이윤극대화의 조건에 대해서.

- 분석의 기본모형 수요곡선 : P = 60 - Q 비용곡선 : MC = AC = 0 - 이윤극대화점 완전경쟁시장 : P = MC 독점 : MR = MC 위 글에서 이해가 안되는 것이 있는데요. 일반적인...

독점시장의 기업 이윤극대화 조건

... P = MC 라고 이윤극대화 조건을 표현해도 무방한 것이죠. 2. 네, 그렇죠. 생산량에 대해서 최소한으로 받아야 하는 금액, 즉 한계비용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죠.

이윤극대화 조건...

이윤극대화 조건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Δπ/Δq = ΔR/Δq - ΔC/Δq = 0 (ΔR/Δq = MR) (ΔC/Δq = MC) MR - MC = 0 MR = MC 즉, MR = MC 가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이라는건...

이윤극대화, 생산요소에 대해서...

... 이때 기술적 한계대체율이 1.5라면 기업은 이윤극대화를 하고 있는지 따져보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생산요소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라는...

비용극소화, 손실극소화, 이윤극대화

... 언제나 이윤극대화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2,3번 문제에 관해서... 뭔가.. 개념에 대해서 이해를 잘 못하신 것 같아서.. 뭉뚱그려서 최대한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