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경제학 문제 좀 알려주세요..

이 경제학 문제 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8.03.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첫번째 질문>


 

위 그래프에서 세금이 부과된 이후의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그리고 자중손실을 어떻게 구하는 알고 싶습니다.

 

세금 부과 이후 소비자 잉여 부분이 A 인건 알겠는데요... 생산자 잉여와 자중손실은 어떻게 구하는 지 궁금합니다. 어울러 자중손실(Dead Weight Loss)의 의미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두번째 질문>

 

산출량(Output)   총비용(Total Cost)

          0                      $13

          1                      $20

          2                      $25

          3                      $28

          4                      $32

          5                      $43

          6                      $60

 

위 차트에서 5단위 생산량의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이 얼마인지 알 수 있나요?

경제학원론책에 $30라고 나와있는데.. 이해가 안됩니다. TC(총비용)=FC(고정비용)+VC(가변비용)인데..

어떻게 TC만 주어지고 VC를 찾아내라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첫번째질문

위 그래프에서 세금이 부과된 이후의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그리고 자중손실을 어떻게 구하는 알고 싶습니다. 세금 부과 이후 소비자 잉여 부분이 A 인건 알겠는데요... 생산자 잉여와 자중손실은 어떻게 구하는 지 궁금합니다. 어울러 자중손실(Dead Weight Loss)의 의미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대답입니다 먼저 소비자 잉여는 이렇게 구하는 거죠 생산량을 Q1만큼으로 정했을때 정해진 가격 P3가 되는 것이 보이시죠? 그렇다면 Q1보다 적은 양을 구매하려고 했던 소비자는 P3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었던 것이 보이시나요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있으니깐요 더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도 있었는데 그것보다 낮은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했으니깐 A부분 즉 P3선 위만큼이 소비자 잉여가 된다는 것을 알수가 있는 것이죠 여기까지는 님이 이해하신 부분이라 믿습니다

다음은 생산자 잉여 인데요 생산자 잉여도 마찬가지입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Q1만큼의 생산양보다 적게 생산하려 한 기업은   P3의 가격보다 낮은 비용으로 물건을 생산하지만 P3의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잉여가 생기므로  B+H의 생산자 잉여가 생겨나는 것입니다.  참고로 알아두실점은 생산자잉여나 소비자 잉여는 개인이나 기업의 효용의 증감분이지 실제로 생겨난 부분은 아닙니다.

다음으로 자중손실인데요

자중손실의 다른 표현으로 후생손실이란 말도 쓰는데요 사전적 의미는 최적균형상태가 사라지면서 생겨나는

후생의 손실분 머 이정도로 할 수 있는데요 자 세금이 부과되기 전에는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최적점에서 가격이 결정되며 균형을 이루는데 이상태에선 효용감소분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이루죠 그러나 세금이 부과되면 기업의

총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위의 그림처럼 공급곡선이 상승하게 되죠 가격상승으로 생산량이 Q2에서 Q1으로 줄어 들게 되고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어느 부분에도 포함되지 않는 효용감소분 D+E가 바로 자중손실이 되는 겁니다

 

두번째 질문

아주 간단합니다 이미 답을 알고 계시니 간단히 설명할께요 가변비용은 총비용에서 고정비용만 빼주면 되는 것이니 생산량이 0인데도 비용이 나왔다는 것이 바로 고정 비용이죠 따라서 고정비요이 13이고 5단위 생산시에 총 비용이 43이므로 43-13은 30이 되는 것이죠

 

여기까지입니다 수고하세요

미시 경제학 문제알려주세요.

문제 답이랑 풀이 과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물론이죠! 미시 경제학 문제에 대한 답과 풀이과정을... 문제가 있으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 함께 풀어 보도록...

이 경제학 문제 좀 알려주세요..

... Cost) 얼마인지 알 수 있나요? 경제학원론책에 $30라고 나와있는데.. 이해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첫번째질문 위 그래프에서 세금이 부과된 이후의...

경제학 문제 처음보는 유형인데...

... 그런데 애초에 경제학에서 다루는 비용은 모두... 다르긴 합니다만 여기선 무시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어쨋든 그래서 지대 = 30억 -15억 = 15억 2. 문제는.. 아래...

경제학 문제 도와주세요 ㅠㅠ

... 또한 각국의 모든 노동자는 반드시 두 산업 중 어느 하나에 고용되어 있어야... 정답 알려주세요경제학 문제 도와주세요 ㅠㅠ 모직물포도주 A국 40 100 B국160 120...

간단한 경제학 문제 좀 알려주세요...

경제학의 기초적인 문제입니다.. 대충 알겠는데... 도와주세요^^ 1. 甲(갑)은 자기 가게에서 주방기구... 알려주세용^^ 생산량 (수량) 총비용 고정비용 가변비용...

경제학 문제 질문

... (P=7Q) 관람료 700원, 관람객수 100명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옥토넛 국 정부는... 이거 문제 좀 풀어주세요ㅠㅠ부탁드립니당.. 1. 조세 전가는 주어진 역수요함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