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경제학 전공하시는 분들!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경제학 전공하시는 분들!

작성일 2003.10.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에 거시경제를 배우게 되었는데요.

책에서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에 대한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두 학파의 견해차이는 대강, 고전학파-애덤스미스,자유방임 케인스학파-케인즈,세계 대공황,

국가의 개입..이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교수님 말씀으로는 경제학과에선 고전이론에 대해서 더 자세히 배운다고 하네요.

이 두학파의 이론, 등장배경, 거시경제에 미친 영향, 견해차이 등등..

경제학 전공하시는 분들~!!

이 두학파에 관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아님 여기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는 사이트 추천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전학파

신고전학파

합리적기대가설학파

뉴케인지언

대표학자

A. Smith

? 자유방임주의정책

? 보이지 않는 손

? 노동생산력과

     분업 주장

피구

후생경제학의 기초

피구 효과 주장

Lucas

? 합리적 기대이론 주장

“경제는 시장경제 원리에 맡기고 정부는 인위적 경제  개입을 줄여야 한다”

제임스 토빈

? 소비함수에 대한

    유동자산가설

? 부의 소득세

? 포트폴리오 이론

리카도

? 투하노동가치설주장

? 비교 우위를 통한 자유무역의지지

? 곡물 법 폐지 주장.

? 임금, 이윤, 지대의 3가지 소득관계론

로버트슨

? 경기 변동론 연구

? 케임 브리지학파의 거시동태론 발전에

 새 방향.

 

 

Samuelson

? 사회적 후생함수의 필요성을 주장.

? 현시 선호 이론 주장.

? 토빈의 Q와 토빈 세가 유명.

? 경기순환에 대한 가속도 이론

? 승수이론주장.

? 포트폴리오 이론

맬서스

? 노동가치설 비판

? 인구론 주장

? 가치의 수급설

로빈슨

? 불완전 경쟁이론

? 고용이론

 

 

맨큐

? 정부의 공공정책으로 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을 이룩할수있다.

? 경제학을 부의 생산 분배 교환의 3분법에 의해 설명.

? 분배에서는 정부의 개입을 허용.

마셜

? 신고전학파의 창시자

? 내부경제 외부경제

 탄력성 소비자잉여 등의 개념을 도입

 

 

 

 

대표학설

? 보이지 않는손

? 세이의 법칙

? 정책 무용론

? 생산비설

? 정책무용론

? 금융정책을 중심으로 경제정책을 할 것을 제안

? 정부의 개입이 필요

? 기존 케인즈 이론에 합리적 기대이론을 도입

전체적인

학설

  고전학파의 공통점으로는, 개인주의적인 자유경제체제를 옹호하여 자유 방임주의를 주장하고, 국가의 개입을 적극 배제하였음을 들 수 있다.  의 저자인 스미드는 개인의 이익추구가 `보이지 않는 손'의 작 용으로 사회 전체의 번영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국부의 증대, 즉 경제성 장에는 근면과 절약이 불가결함을 논의하였다. 으로 알려진 맬 더스는 인구증가율이 식량생산율을 상회하고, 또 유효수요는 총공급을 하회한다는 데서 경제전반에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논하였으며, 리카도는 을 기초로 하여 분배의 여러 법칙을 규명하였다.

  맬서스의 유효수요 부족설은 케인즈에게, 리카도의 학설은 마르크스에게 영향을 미쳤다.

  한계효용가치론을 채용하면서도 다른 학파에 비하여 공급면의 분석이나 장기동태면에의 관심 등에서 고전학파의 전통을 가장 많이 승계하고 잇는 학파.

  수요이론에서는 한계효용학설, 공급이론에서는 생산비설을 취하고 있다. 모든 가격은 수급이 균형된 점에서 결정된다고 주장하고, 여기에 단기적 균형과 장기적 균형으로 구분하는 시간개념을 도입하였다. 

  한계혁명(限界革命) 후의 신고전파·케인스학파는 완전고용균형(完全雇用均衡)이건, 불완전고용균형이건 간에 경제학을 시장균형론에 집약시키는 일, 가설적 연역법(假說的演繹法)을 취하는 일, 추론(推論)의 방법으로서 수학을 이용하는 일 등에 있어서 고전학파로부터 변혁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스태그플레이션 상태가 계속되었다는 사실은 모두 케인스학파가 주장하였던 적극재정주의(積極財政主義) 탓이라는 것이 반케인스파들의 주장이었다.

  루카스 등이 주장하는 합리적 기대이론에 의하면, 정부가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재정지출을 확대하더라도 민간의 금융기관이나 기업은 이제까지의 경험으로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것을 예상하고 반응한다. 1년 후의 물가가 10%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10% 이하의 금리로 돈을 빌려 주면 손실을 보게 되기 때문에, 대출금리는 10% 이상으로 인상시켜 놓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하여 시중금리가 올라가면 그것이 기업의 투자활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재정확대에 의한 경기자극효과를 감쇄해 버리기 때문에, 실업은 감소되지 않고 물가만이 올라가는 결과가 된다는 것이다.

전통적 케인즈이론을 보완. 합리적 기대이론을 도입하여 논리적사고를 보강 하였으나

시장은 완전하지 못하여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기본사고는 유지.

뉴케인즈안은 경제가 지닌 잠재성장력을 풀(full)로 발휘시키는 일, 즉 GNP(국민총생산) 갭을 해소시키는 데 있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정책으로서 성장을 제일의적으로 배려한 재정?금융 정책을 전개하는 한편, 그 때문에 발생할지도 모를 인플레이션 대책으로서 임금상승을 생산성 향상의 범위 내에 억제하여 물가의 등귀를 막는 가이드라인(guideline)정책의 수행을 답변확정하였다. 이는 특히,  다른 학파와 달리 실제의 정책과 직접 결부된 점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에 기초한 케네디, 존슨 행정부의 경제정책은 미국 경제의 장기적 번영에 크게 공헌하였다.

정책방향

자유방임주의

준칙주의

비개입주의

개입주의

재정정책의 효과

x

x

x

o

통화정책효과

실물변수에 영향이 없는 물가상승

화폐중립성:통화량의 변화가 실물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pigou effect

 (C=c(r,Y,A/P),단케인스의 유동성함정에 대한 반론으로 피구가 제시한효과임

작다.

화폐의 중립성이 성립하지않는다.

유동성 함정 하에서 통화량증가에 의한 금융정책은 무력하다.

종수요에 직접적 영행으로 크다.

정책무력성

정부개입의 필요

x

x

x

o

경제의 

  안정성

안정적

안정적

안정적

불안정적

임금의 

  신축성

신축적

신축적

신축적

경직적

 

케인스의 행동경제학

케인스가 '인간은 합리적 소비를 한다'라는 고전학파의 전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책을... 이러한 기대이론은 고전학파계통의 학파에서 등장했지만 주류경제학 전반으로...

케인스에 대해서 좀 가르쳐 주세요 ^^^^^^^^^

... 수행평가 때문인데요 케인스가 끼친 영향에 대해서좀 적어주세요 아무리 찾아봐도 잘... 케인즈 이전에 고전학파 경제에서는 거시경제학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습니다....

고전학파는 인플레이션에 어떤 입장을...

... 신방과를 전공하는데 경제학 수업을 들으려니 조금 힘드네요 ㅋㅋ 제가 아는 바로는 케인즈학파는 인플레이션이... 신고전학파종합은 신고전 학파 이론에 케인즈의 이론을...

대학에서 비주류 경제학을 배우려면...

... 그 중에서도 특히 제도학파 경제학을 배우고 싶은데요.... 신고전학파 경제학전공하셨다고 들었습니다. 특히... 그나마 서울대니깐 맑스 교수 한 정도 받아주지...)...

다음 학기 경제학 복수전공을 하려는...

... 저는 이번학기 경제학 복수전공을 해야하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자연대(생명과학)... <경제갤러 'eclipse' 外> 안국신 - 현대거시경제학 고전학파 모형과 케인즈학파...

미시 경제학, 거시 경제학 공부순서

경제학을 공부해야하는 학생인데요~* (경제학전공은... 새고전학파나 새케인즈학파 모두 미시적 의미에서의 균형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거든요. 케인즈 이래로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