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경쟁 시장에서의 한계 비용과 시장 가격의 관계

완전 경쟁 시장에서의 한계 비용과 시장 가격의 관계

작성일 2024.05.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계 비용이 시장 기격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이윤이 극대화된다는 게 이해가 안돼서요ㅠ
한계 비용은 어쨌든 생산 비용이니까 시장 가격보다 적으면 적을수록 이윤이 더 커지는 것 아닌가요?


#완전 경쟁 시장 #완전 경쟁 #완전 경쟁 시장 그래프 #완전 경쟁 시장 독점 시장 비교 #완전 경쟁 시장 예시 #완전 경쟁시장 사례 #완전 경쟁적 노동시장 #완전 경쟁 공식 #완전 경쟁 이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계비용이 가격과 일치하는 지점에서는 매출이 극대화될 뿐 이윤이 극대화되는 것이 아닙니다.

매출은 총수입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업이 최대한 손해를 보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지점을 말하죠.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기업의 경제적 이윤이 0이 되기에 이러한 조건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조건은 한계수입 = 한계비용입니다.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조건을 말하죠.

한계수입은 추가되는 수입의 증가량을 말하고, 한계비용은 추가되는 비용의 증가량을 말하기에

한계수입보다 한계비용이 커지게 되면 이윤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손실이 추가되어 총이윤이 감소되게 됩니다.

따라서, 이전까지 증가되는 총이윤이 극대화가 되는 지점이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이 되는 것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완전경쟁시장에서 이윤극대화 조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일단...간단하게,

총수입을 극대화하고 총비용을 극소화하면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집니다. 이윤 극대화 최적의 조건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건을 1개 더 팔 때 벌어들이는 추가 수익을 MR이라고 합니다. MR은 Marginal Revenue의 약자입니다.

 

물건을 1개 더 팔기 위해 지출되는 생산 비용을 MC라고 합니다. MC는 Marginal Cost의 약자입니다.

 

MR과 MC가 어떻게 이윤이 극대화와 관계가 있을까요. 만약 MR이 MC보다 크다면 물건을 더 많이 만들어서 팔아야 이윤이 증가합니다. 왜냐하면 물건을 1개 만들 때 들어가는 추가 수익이 추가 비용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MR이 MC보다 작다면 물건을 생산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물건 1개 만들면 벌어들이는 추가 수익보다 추가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서 마이너스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 두 가지 Case로 MR과 MC가 같을 때(MR = MC) 물건을 더 생산해서 팔아야 할 필요성도 물건을 만들지 말아야 하는 필요성도 없습니다. 즉 이윤 극대화가 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MR은 조금 다르게 표현을 하면 물건 1개 팔았을 때 총수입의 증가분입니다.

 

MC는 조금 다르게 표현을 하면 물건 1개는 팔기 위해 들어가는 총비용의 증가분입니다.

....

만약 이해가 100퍼센트 안되셨다면, 아래 그림을 따라가시면 그래프서부터 차근차근 잘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해소되기를 바랍니다.

https://kelenis.tistory.com/48

완전경쟁시장에서한계비용이...

한계비용에 대한 이해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저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어떻게... 그래서 개개인의 공급자나 수요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끼칠 수가 없게됩니다. 완전 경쟁의...

완전경쟁시장에서 가격한계비용에...

... 완전경쟁시장에서 장기적으로 가격 (P) = 장기한계비용(LMC)= 평균비용(LAC)이 이뤄진다고 책에서 봤는데, 그렇다면 생산자는 아예 돈을 벌지도 않는(초과이윤상태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