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수요의 탄력성

경제학 수요의 탄력성

작성일 2024.02.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정상재 B의 가격이 2% 상승할 때 B재의 소비지출액은 1% 감소하였다.
B의 가격탄력성은?

풀이를 보면 가격2퍼센트 상승했을 때 지출액이 1% 감소한다면 수요량은 3% 감소되어
3/2 = 1.5 라고 되어있는데요,
수요량이 3퍼센트 감소가 된다는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가격, 지출액, 수요량 관계에 관한 공식이 따로 있는건가요?


#경제학 수요의 가격탄력성 #경제학 수요의 법칙 #경제학 수요의 소득탄력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가격탄력성을 이해할 때, 가격 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품의 가격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비율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언급된 "수요량이 3% 감소한다"는 계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가격, 지출액, 수요량 관계

먼저, 상품 B의 가격이 2% 상승했을 때, 소비자 지출액이 1% 감소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격 상승이 소비자의 총 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총 지출액(소비지출)은 가격과 수요량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총 지출액=가격×수요량

가격이 상승했을 때 총 지출액이 감소한다는 것은 수요량이 가격 상승률보다 더 크게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수요량의 감소 비율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 가격탄력성의 정의를 사용합니다.

가격탄력성의 계산

가격탄력성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가격탄력성=% 변화된 수요량 / % 변화된 가격

문제에서는 지출액이 1% 감소했다고 합니다. 지출액의 감소는 가격 상승과 수요량 감소의 결합 효과입니다. 이 경우, 가격 상승률이 2%이고, 지출액 감소가 1%인 상황을 통해 수요량 감소율을 유추해야 합니다.

수요량 감소율 이해

지출액의 감소율을 통해 수요량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의 핵심은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요량이 어떻게 변화해야 지출액이 감소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문제에서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수요량이 정확히 3% 감소한다고 직접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지출액의 변화율을 통해 수요량의 변화율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추가 정보 없이는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없습니다. 문제의 설명에 따르면, 수요량의 변화율을 3%로 가정하고 이를 가격 변화율인 2%로 나누어 가격탄력성을 1.5로 계산했습니다. 이는 가격탄력성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한 단순화된 예시일 수 있으며, 실제로는 지출액의 변화와 가격 변화를 통해 수요 변화율을 추정하는 데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정리하자면, 문제의 설명대로라면 가격 상승으로 인한 지출액의 감소가 수요량의 감소를 암시하지만, 이를 통해 수요량이 정확히 3% 감소한다고 결론짓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가정이 필요합니다. 가격 상승에 따른 지출액 변화에서 수요량 변화를 직접 계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더 복잡한 과정을 요구합니다.

경제학 수요탄력성 문제

... 재화의 수요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의 반응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보통, 단기적 수요탄력성은 장기적 수요탄력성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문제 상황에서...

경제학- 수요의 탄력성에 대하여.

... 근데 탄력성 구할때요, 수요곡선 기울기의 역수에다 '가격/수요량'을 곱해줘야 되더라구요; 미분계수가 곧 접선의 기울기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경제학에서 탄력성...

미시경제학-수요곡선 기울기 vs 수요의...

... 질문해주신 수요함수는 k = 3 인 경우겠죠. P = 3 / Q 는 직각쌍곡선입니다. 원론이 아니라 '미시경제학'이락 하셨으니, 미분을 이용한 점탄력성을 구하실 수 있을것 같네요....

수요의 가격탄력성 경제학원론

... 수요의 가격탄력성 경제학원론 수요함수 q=8-p 공급함수 q=-4+2p일때 균형에서의 수요탄력성과 공급탄력성은 어떻게 되나요? 말씀하신 질문에 대해 깔끔히...

경제학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5라면 공급자가 많이 생산할수록 총수입과 총이윤은 어떻게 되나요?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은 하락하는데 탄력적이기 때문에 수요량은 더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