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경기 과열 물가

경기 침체 경기 과열 물가

작성일 2023.09.02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경기가 침체되면 물가가 상승하는게 아닌가요? 비문학 경제 지문에서 경기가 침체되면 정책을 통해 물가를 상승시킨다고 하네요. 경기침체가 되면 물가가 내려가나요? 왜죠? 경기침체로 가계의 소비가 감소하면 기업의 생산량이 적어지고, 가격이랑 물가는 올라가는게 아닌가요? 경기가 과열되면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또 뭐죠? 사람들이 많이 산다고 물가가 올라가나요. 제발 좀 자세히 알려주세요 ㅠㅠㅠㅠ 부탁이요ㅣ 내공200


#경기 침체 #경기 침체 영어로 #경기 침체 뜻 #경기 침체 원인 #경기 침체 주식 #경기 침체 금리 #경기 침체 지표 #경기 침체기 투자 #경기 침체 투자 #경기 침체 수혜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은 일반적으로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경기 침체는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 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으로 인해 기업들은 가격을 낮추거나 할인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는 물가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경기 과열은 경제 활동이 확대되고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경기 과열로 인해 기업들은 생산량을 늘리고 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게 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경기 과열로 인한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경기와 물가의 관계는 항상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경제 현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는 물가 하락의 원인이 되고, 경기 과열은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에 대한 관계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는 소비와 생산의 감소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기업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 시기에는 가계의 소비가 감소하고 기업의 생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나 중앙은행은 경기 침체로 인한 물가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정책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로는 예산 증액, 세제 조정, 금리 인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조치는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를 완화시키고 기업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 침체 시기에는 정부나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유도하기 위해 정책을 통해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가 과열되면 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 과열은 경제가 지나치게 성장하여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기업은 생산량을 늘리고 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경기 과열 시기에는 소비가 활발해지고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나 과열은 단순히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생산량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닙니다. 경기 침체나 과열은 정책, 외부 요인, 자원 가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제 원리에도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와 물가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경제학적인 분석과 실증 연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 침체 시 물가의 동향은 복잡하며, 정확한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소비와 생산이 감소하므로 물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이는 수요가 감소하고 생산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경기 침체로 소비가 감소하면 기업은 생산을 줄여야 하므로 생산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공급이 줄어들고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어 기업들이 가격을 인하하기 어렵게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경기 과열 시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수요가 공급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경기 과열로 인해 수요가 많아지면 생산량이 따라잡기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기업들은 상품의 가격을 높여 수요를 억제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경기와 물가의 관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순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주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은 일반적으로 반대의 관계에 있습니다. 경기 침체는 경제 활동의 감소와 함께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생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 기업들은 가격을 낮추거나 할인을 제공하여 경쟁력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반면에 경기 과열은 경제 활동이 확대되고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경기 과열로 인해 가계의 소비가 증가하고 기업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들은 가격을 인상하거나 할인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경기 침체와 경기 과열은 경제의 상황에 따라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기 침체는 경제의 둔화와 물가 하락을 초래하며, 경기 과열은 경제의 확장과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실제 경제 상황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여 복잡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 지표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경기침체가 되면 물가가 내려가나요?

답변 : 그 이유는 먼저, 아래의 그래프를 참고하세요. 위의 그래프는 필립스곡선이라는 유명한 곡선입니다. 거시경제학을 공부하면 나오는 내용인데 경제원론 수준에서도 나올 정도로 유명한 곡선이에요.

필립스곡선을 보시면 실업률(unemployment rate)과 물가상승률(inflation rate)는 반비례 관계입니다. 즉, 실업률이 낮으면 물가상승률이 높고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실업률이 높다는 겁니다. 그러면 여기서 질문자의 의문은 풀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실업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면 필립스곡선에 따르면 실업률이 높아지니 물가상승률은 낮아지는 거예요. 그래서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물가상승률은 낮게 잡히는 게 일반적입니다.

왜 이런 곡선이 나타나게 되냐면 이거는 수요공급 곡선으로 이해하시는 게 쉽습니다. 질문자도 수요공급 곡선은 아시죠? 수요공급 곡선은 y축이 가격(P), x축이 수량(Q)입니다. 그리고 거시경제 전체로도 수요공급 곡선을 그릴 수 있는데 이것을 총수요-총공급 곡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총수요는 소비, 투자, 정부지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그러면 총수요가 줄어들면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 등이 줄어드니 경기침체가 발생합니다. 총수요가 줄어들면 무슨 일이 먼저 P가 줄어듭니다. 이것이 거시적으로 보면 물가상승률이 하락하는 거예요. 마찬가지로 경제성장률도 줄어듭니다. 왜냐하면 x축의 Q가 감소하거든요. 왜 Q가 경제성장률이나면 경제성장률은 결국 GDP성장률인데 GDP의 명칭이 국내총생산인 이유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이유로 저 필립스곡선이 나오게 되고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물가상승률이 하락한다고 이야기하는 겁니다.

이것의 유명한 예시가 바로 가까운 일본 보시면 되요. 일본은 90년대 초 이후부터 물가상승률이 거의 제로상태입니다. 그러면 일본이 경제가 너무 좋아서 물가상승률이 제로일까요? 안 그렇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괜히 일본의 잃어버린 20~30년이라는 단어가 나온 게 아니에요. 일본의 총수요가 제대로 회복을 못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이 엄청 낮게 잡히는 디플레이션 상태에 오랫동안 갇혀 있었던 겁니다. 그래서 그 기간 동안 일본은 GDP, 임금(소득) 등 다양한 경제지표들이 제자리걸음을 하게 됩니다.

단, 예외적으로 총공급이 줄어드는 사태는 다릅니다. 이 총공급이 줄어드는 것을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해요. 질문자도 수요공급 곡선에서 공급이 줄어들면 Q는 감소하는데 P는 상승한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이거는 경제가 침체되는데 물가는 상승하는 것을 말해요. 이때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참고로 스태그플레이션이 70~80년대 때 발생하는데 이게 경제학계에서 충격적이었던 이유가 기존의 필립스곡선으로는 설명이 안 되었던 거든요. 필립스곡선에 따르면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반비례 관계여야하는데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둘 다 높은 상황이 발생합니다.

2.경기침체로 가계의 소비가 감소하면 기업의 생산량이 적어지고, 가격이랑 물가는 올라가는게 아닌가요?

답변 : 가계의 소비는 총수요를 구성하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면 공급이 줄어들어도 가격이 안 오를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업의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다르게 생각하면 실업자가 증가한다는 거예요. 그러면 가계의 소비는 더 줄어들게 됩니다. 그것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디플레이션 상태에서는 진짜 빠져나오기 힘든 겁니다. 괜히 일본이 잃어버린 20~30년을 경험한 게 아니에요.

3.경기가 과열되면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또 뭐죠?

답변 : 경제가 과열되었다는 것은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등이 굉장히 활성화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거는 총수요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질문자가 수요공급 곡선에서 수요가 증가하면 P가 증가하듯이 물가상승률이 높게 잡히는 겁니다.

이것 때문에 물가상승률은 너무 높아도 안 좋지만 너무 낮아도 안 좋은 거예요. 예를 들면 2018~2019년 동안 한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대였습니다. 이게 절대 좋은 수치가 아니었던 거예요. 실제로 경제에는 상승주기와 하강주기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현재 경제상태가 상승주기인지 하강주기인지 판단하는 기관이 통계청인데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하반기부터 한국의 경제는 하강주기였어요. 그러니까 경제가 하강주기에 들어서니까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대가 나온 겁니다.

지금은 중국도 그래요. 지금 중국의 물가상승률 보면 0%대입니다. 심지어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마이너스가 나왔어요. 왜냐하면 지금 질문자도 뉴스 보면 알겠지만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회복속도가 느리고 부진한 상태거든요. 이는 제로코로나 정책의 후유증, 부동산 경기침체 등 여러 이유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경제가 침체되어 있으니까 물가상승률이 낮게 잡히는 거예요.

올해 물가오름때문에 경기침체가 심한가

올해 물가오름때문에 경기침체가 심한가요? 그렇답니다. 물가가 오르니 소비활동이 위축되고 따라서 생산활동도 그 만큼 감소하므로 경제활동은 좀체로 부진에서 벗어나기...

경기 호황 침체

... 예시를 연도와 함께 제시 부탁드립니다 경기가 호황이면 시중금리는 내려가고,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물가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에 중앙은행이...

경기 침체 경기 과열 물가

... 또한 경기 과열 시기에는 소비가 활발해지고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과열은 단순히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생산량에만...

누진세 경기 침체 과열

... 경기 과열이 진정되는 건가요? 그 반대로 소득이 낮아져서 세금이 낮아지면 왜 경기 침체가 진작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네이버지식인 전문상담위원 신선호 세무사입니다....

경기침체 물가상승률 관계

물가 상승률이 낮으면 경기침체되나요? 물가 상승률이 낮다는 말은 실물의 가치를 측정하는 화폐의 양적 변화가 적다는 말입니다. 이말은 시장에서 물건을 사려는 사람이...

경기침체 물가하락 비문학

... 경기침체되면 물가가 하락하고 기업이 생산량을 줄여 이로인해 노동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 라는 문장이 이해가 안되요 1.경기침체되면 왜 물가가 하락 하나요??? 2....

물가 하락은 왜 경기침체를 유발하나요

... 그러면 경기침체되지 않을 것 같은데 왜 물가가 하락하면 경기침체되나요? 물가 하락이 화폐량 감소 또는 노동자의 임금 감소로 인한 것이었다면 경기 침체가 이미...

경기침체물가는 상승인가요 하락인

... 그래서 물가를 낮추는 건디 확장 정책을 경기침체시 하잖아요 그러므로 경기침체물가 상승 상태인가요? 경기침체물가 하락 상태인 줄 알고 있었어서 이게 연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