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계비용 한계수입

경제 한계비용 한계수입

작성일 2022.11.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학 수행인데 이 내용 맞나요?

규모의 경제란 생산량이 적을 때보다 생산량이 많을때의 단위 생산 당 비용이 적게 드는것을 말하는데 생산량을 늘릴 때 계속해서 비용이 감소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기업이 어떤 재화를 1단위 더 증가하여 판매할 때 매상금액, 즉 총수입의 증가분을 한계수입 이라고 하고 이를 생산할 때에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을 한계비용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을 계산할 수 있어야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계수입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미분의 개념이 필요한데 총수입을 생산량에 대해서 미분해서 구할 수 있다. 총수입함수인 TR은 일반적으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이차함수의 모양과 비슷하게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모양을 가진다. 그렇기에 총수입함수를 미분한 도함수인 한계수입함수 TR'(x)의 값이 0일 때의 총수입이 가장 커진다.
한계비용은 총비용을 생산량에 대해서 미분해서 구할 수 있다. 총비용함수인 TC를 그려보면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 모양과 비슷하게 감소하다가 중가하는 모양을 가진다. 이의 최솟값은 극솟값에서 가진다.이를 구하기 위해서 도함수인 TC'(x)가 0이되는 값 x에서 총비용이 가장 작아진다.이 개념들은 기업이 재화나 서비스를 얼마나 생산할지를 정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이다.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낮아지다가 어느정도에 도달하면 오히려 커지게 된다. 만약 한계수입>한계비용이라면 생산량을 1단위 늘렸을때의 비용보다 수입이 크기 때문에 더 생산해야 하고 한계수입<한계비용이라면 비용이 더 크기때문에 생산을 하면 오히려 손해가 되는 상황이 일어나게 된다. 기업의 이윤은 총수입에서 총비용을 빼야하기에 총수입이 가장 크고 총비용이 가장 작은 경우인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같아지는 점에서 같아지게 된다.

틀린부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경제 한계비용 #규모의 경제 한계비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학 수행이라... 어느 정도의 정확성과 세세함을 요하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대략적인 틀은 맞습니다.

몇 가지만 언급해보자면,

1. 첫 내용인 규모의 경제는 혹시 어떤 이유로 포함시키셨는지요?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에 대해서만 다루려고 한다면, 규모의 경제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규모의 경제는 말씀하셨다시피 단위 생산 당 비용, 즉 평균비용에 관한 내용입니다. 한계비용이 아니라 평균비용입니다.

2. TR 의 그래프 개형을 얘기할 때 "일반적으로"라는 용어를 포함시켰듯이, TC 의 그래프 개형을 얘기할 때에도 "일반적으로"라는 수식을 붙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즉, TC 그래프도 반드시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는 아니거든요. 그것이 일반적인 관점일 뿐, 이론상 함수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따라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마지막 문장은 조금 잘못된 부분이 있는것 같네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은, 총수입이 가장 크고 총비용이 가장 작은 지점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즉,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는, 총수입이 반드시 가장 큰 것도 아니고 총비용이 반드시 가장 작은 것도 아닙니다.

경제 한계비용 한계수입

... 한계비용한계수입에 대해서만 다루려고 한다면, 규모의 경제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규모의 경제는 말씀하셨다시피 단위 생산 당 비용, 즉 평균비용에 관한...

경제에서 한계비용한계수입이 같을

경제에서 한계비용한계수입이 같을 때 이윤이 극대화 된다고 하는데 한계수입이 더 많아야 이윤이 극대화 되는 거 아닌가요? 총수입한계수입 그리고 총비용과...

한계비용, 한계수입

... 그런데 한계비용한계수입이 동일한 생산량에서 생산하면 이윤이 최대가 된다고 하는데, 한계비용한계수입이 동일하면 생산량을 늘렸을때의 추가비용과 추가수입이...

한계비용 한계수입

한계비용한계수입은 무엇이고 한계비용한계수입이 같을때 왜 이윤이 극대화되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계비용이란 재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