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간의 추가수입 차이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간의 추가수입 차이

작성일 2021.12.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교양 과목으로 ‘경제’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의를 듣던 와중에
이해가 잘 안가는 내용이 생겨서 이렇게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제목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간의 이야기입니다


먼저, 완전경쟁시장에서
개인이 물품 1개를 더 생산한다고 했을 때
추가 수입은 가격과 같다고 배웠습니다

MR = P라는 공식과 함께 말이죠

( 하지만 생산량이 점점 많아질수록 언제까지 이 공식이 통하진 않겠죠?
일반적으로 공급량이 많아지면 가격은 떨어지는데… )



그에 반해
독점시장에서는
추가 수입이 가격보다 낮아진다고 말씀하셨습니다

MR < P라는 공식을 칠판에 적으시면서 말이죠



여기서 의문은 독점시장에서의 추가 수입 부분인데…

그 물품에 대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면

그 독점하고 있는 회사에 수요가 몰릴 것이고
자연스레 얼마를 더 생산을 하든, 추가수입이 가격보다 이하일거라는 생각이 안 들거든요


오히려 독점시장이
MR = P이고

완전경쟁시장이
MR < P여야 납득이 갑니다

( 제가 이 두 시장의 개념에 대해서 잘 못 이해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




추가적으로


완전경쟁시장은 현재 어떤 곳이 해당되는지 궁금하고
(독점시장은 핸드폰 통신사나 라면 회사 등등으로 알고 있습니다)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개인은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점과
독점시장에서의 개인은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어째서 독점시장에서는 그런 일이 가능한 걸까요?




질문이 많았습니다
그에 따라 내공도 더 추가했습니다

제가 경제 지식이 많이 얕은 지라
어렵지 않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
마치겠습니다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비교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비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총수입을 TR이라고 할 경우 TR = P × Q 입니다. 이때의 가격은 평균가격이고 판매량은 총 판매량입니다.

수요곡선에서 최종적으로 만나는 마지막 점이 평균가격이 되죠.

아주 단순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어떤 시장이 주어졌는데 1개를 팔 때는 5천원, 2개째를 팔 때는 4천원, 3개째를 팔 때는 3천원으로 변하는 수요곡선을 가지고 있는 시장입니다.

이 시장이 완전경쟁이라면 3개를 사려할 때 가격은 모두 3천원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독점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제가 독점기업주라면 1개는 5천원에 팔고, 또 1개는 4천원에 또 1개는 3천원에 팔 것입니다. 그렇게 팔아도 살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경쟁시장이라면 내가 1개를 5천원에 팔아도 3천원에 팔 공급자가 있기에 나도 3천원에 팔아야 하지만 독점이라서 5천원에 팔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이것은 가능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독점기업의 한계수입 MR은 최소가격이 되는 것입니다. MR보다 높게 가격을 잡아도 팔아먹을 수량은 존재하기 때문이죠.

현실에서 완전경쟁시장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면 됩니다.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운 시장은 존재할 지 몰라도 완벽한 완전경쟁시장은 존재할 수 없죠...

이는 완전경쟁시장의 가정때문에 그렇습니다.

완전경쟁시장이 성립하기 위한 가정으로

1. 수많은 수요자와 수많은 공급자들이 존재하고

2. 완전한 정보의 공개와 진입장벽이 없어야 하며

3. 동질의 단일상품을 거래해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독과점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이런 가정들 때문입니다.

독점시장 간의 추가수입 차이

... 하든, 추가수입이 가격보다 이하일거라는 생각이 안 들거든요 오히려 독점시장이 MR = P이고 완전경쟁시장이 MR < P여야 납득이 갑니다 ( 제가 이 두 시장의 개념에 대해서 잘...

독점시장 독점경쟁시장 과시장

... 이루어지면 독점과 비슷한 결과가 나오지만, 가격경쟁이 치열하면 완전경쟁과 비슷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생산량과 가격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 시장 구조의 차이...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가격=한계비용이고 독점시장에서는 한계수입=한계비용인 접점에서 생산수준 결정 이라는데 정확히 이해가 잘 안됩니다 위 개념에 대해서...

원론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관련

생산요소시장완전경쟁시장일 때, 독점기업의 생산 요소수요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 1. 한계수입생산곡선이... 미세한 차이로 인해 시장가격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에서 가격이...

... 윈도우제품을 독점시장 제품 XBOX제품을 완전경쟁시장... 한계수입과 한계비용과 관련지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MC곡선과의 차이 만큼 독점기업의 이윤도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