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금융사태, 리먼브라더스 파산,메릴린치매각 aig국유화 관련질문.

미금융사태, 리먼브라더스 파산,메릴린치매각 aig국유화 관련질문.

작성일 2008.09.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이번 미금융사태에 관련해서 열가지 질문 여쭙겠습니다.

 

 

1. 이번사건의 원인이 서브프라임인가요? 잘모르는저로썬 그냥 서브프라임우려먹는것 같은데.

 

2. 미국식경제의 몰락이다 표현하는 이유가 미국이 기존 시장경제주의를 꺠고 700억달러를 투입하는걸 두고 하는 말인가요?

 

3.리먼브라더스,베어스턴스, boa,메릴린치,jp모건에 대해 알려주세요.

 

4. 미국정부가 베어스턴스는 살리고 리먼브라더스는 내버려두고 aig를 살린겁니까?(일어난사건순서대로...)

 

5.미국이 대마불사를 함으로써 자신들의 기본 경제주의를 벗어난겁니까?

 

6.대마불사 듣기론 우리나라 기업인중 한명이 휠체어타고 나타나 한마디 던진 말이라는데. 그분이 한보그룹의 정태수 회장인가요? 아님 이런이야기가 지어낸 이야긴가요?

 

7.폴슨장관과 버냉키의장이 700억달러 유입을 결정하고도 의회의 통과를 받아야 하는건가요?연방준비이사회도 의회에 묶여 있나요? 조선일보신문에 폴슨장관이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앞에 무릎꿇고 애원했다던데 그정도로 의회쪽이 행정부사람들보다 막강합니까?(전세계통틀어서, 충격이네요 경제대통령이라할수있는폴슨재무부장관이 무릎을꿇고 애원했다는게)

 

8.뱅크오브아메리카 boa는 미국 중앙은행인가요? 또 이들의 크기나 규모는 어떻게 되길레 메릴린치를 인수할수 있는걸까요? 여기서 중앙은행이 그림자정부같은 음모론에 나오는 그 중앙은행인가요?

 

9.우리나라 산업은행이 리먼브라더스 매입에 관심을 보였다는데 산다면 아예 몽땅 다사들이는걸 의미하는건가요?아님 지분 몇%나 투자를 의미한건가요?

 

10.상업은행과 투자은행,산업은행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 이번 사건의 원인은 어느 다른 금융위기와 같이, Lending boom (돈꿔주기?)과 Business Cycle (거시 경제의 사이클) 입니다. 개인 기업 모두들 다 부채와 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제 개인들이 돈을 꿀 경우는 그 돈을 꾸는 가격보다 상응하는 자산의 이익이 더 높을때 꾸는 법이지요(Cost of Capital < Return on Asset). 자산이익이 없어지는 경우나 자산이 사라지는경우가 금융위기를 야기하는 겁니다.

 

  • 89/90 일본의 버블버스트나 아시아 금융위기도 같은 개념입니다. 경제에 너무나 자유스럽게 부채가 생기고 그에대한 담보가격이 정점을 치고 떨어질 경우에 패닉이 생기는 겁니다. 대한민국 같은 경우는 그때 까지 투자하던 외인들이 돈을 화악 빼서 자기들 나라로 돌아갔기 때문이고(Capital Flight).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그렇듯 국가의 중앙은행에 달러 자산(Foreign Reserve)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달러는 Vehicle Currency 이기 때문에, 즉 오일이나 자원 을 국제장에서 살때 쓰는 돈입니다(Currency for Oil and Commodities).

 

  • 미국의 경우는 집값이 갑자기 내려가기 시작하니까  그게 패닉을 불러온겁니다. 상업은행(commercial banks)이나 주택금융회사 (mortgage loan company)들은 그 부채를 투자은행들에게 넘기고 여기서 부채에 대한 파상상품들을 서로 건네며 커미션 먹다가 자기네 장부(Balance sheet)에 자산이 갑자기 확 주는것입니다. 자산이 줄거나 부채가 늘어나면 자기 지분(주식)이 확 주는법입니다. 이렇게 되면 주가가 폭락하는 것입니다.

 

  • Subprime 은 그냥 신용지수가 낮은 사람들에 대한 주택 모게지 론의 명칭 일뿐 (집값 이나 담보가격이 하락일때 제일먼저 돈 못값는 부채), 미국 금융계에서는 이 사태를 Credit Crunch 라고 부릅니다. 지금은 은행들 자산중 Prime Loan 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중요 변수는 집가격이 어디까지 하락하느냐 입니다.

 

 

2         

  • 미국식 자본주의의 몰락이다 하는 얘기는, 미국경제만큼 시장에 중점을 두고 정부는 자유방임적인 경제 시스템이 없기 때문입니다. 미국 GDP 에서는 소비가 70% 에 달할 정도로 소비위주의 경제이고, 부의 재분배나 사회복지의 힘쓰는 북유럽 국가들은 정부소비가 50% 에 달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자유방임적인 소비에의한 경제의 발전시대는 죽었다 하는 얘기들입니다. 소견으로는 죽는것은 그리 쉽지 않을듯 합니다.

 

  • 정부의 경제적 개입은 결국 세금과 화폐(fiscal and monetary policies) 입니다. 전 미국중앙은행(Federal Reserve Board)의 Alan greenspern이 2001년 말 이자(Federal Funds Rate)을 1% 로 낮추었기 때문에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세를 탄것입니다.

 

  • 어느나라와 같이 정치적 인기는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마련이고, 미국에서는 새 행정부는 항상 경제가 안좋을때에 취임을 바란다는 말이 있을정도로, 이자율은 경제 전반의 중요 도구 이기 때문에 행정부가 그린스펀에게 이자를 낮추는 압력이 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즉 이자를 낮추어서 재취임에 성공하는것입니다. Monetary policy 가 경제 전채의 결과를 보기까지는 최소 6개월에서 2-3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2000년과 2004년 미국대선에 재취임의 중요 변수라 할수 있겠습니다. 이런 정치적 상황과 90년대 말 미국경제를 부양하던 IT쪽 산업이 내려가는것과 911 태러가 맞물려서 이자를 낮출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3

  • 리먼, 베어스턴즈, 메릴린치는 투자은행들 입니다. 리먼같은 경우는 Fixed income securities, 즉 채권(Bond)쪽에서 두곽을 나타내던 회사였습니다. 메릴린치는 Wealth management 즉 자산운용이나 브로커리지 서비스로 스케일이 있는 회사입니다.

 

  • Bank of America 는 상업은행 (Commercial Bank) 입니다.

 

  • JP Morgan Chase 는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JP Morgan 즉 투자은행과 Chase Bank 즉 상업은행을 같이 병행하는 금융회사 입니다.

 

 

 

4

  • Bear Stearns 는 JP Morgan 이 쉽게 살수있도록 정부에서 다리를 놓아준 경우입니다.

 

  • Lehman 은 말씀드렸듯이 채권, 즉 Debt Instrument 쪽에 비교적 우위가 있던 투자은행이고, 또 Mortgage Backed Securities나 Collaterallized Debt Obligations, Credit Default Swap, 즉 부동산 관련 채권쪽의 파생상품들에서 더더욱 두곽을 나타냈고, 섞어 파는것의 OK 까지 정부에서 받아낼 정도로 열심히(?) Bubble bust 에 동조 했기 때문에 정부에서 버렸다 하는 것이 뉴스를 보니 대세 입니다. 하지만 사실 왜 버림받았는지 정확한 뉴스는 FRB 의장들과, 투자은행들 CEO 들만 알겠습니다. 한국 재정부를 패러디하자면  뭐, 혼자만 서울대를 안나왔을수 있겠습니다 ㅡㅡ;

 

  • AIG는 세계 제 1의 보험회사이였고 미국 보험의 상징적 우위라고도 할까요, 아님 정부쪽 친한 인사때문에 살렸을지도.하지만 확실한것은 일종의 채권 보험인 Credit default swap 이 장부에 엄청나게 많았기 때문에 구제하는데 엄청난 돈이 필요할것입니다.

 

 

5

  • 벗어났다고 하기는 힘들듯 합니다. 결국 어떤 경제 시스템이건간 정부의 적절한 개입 없이는 항상 건강할수 없다는것이 증명 됐다고나 할까요. 또 여태 데이터와 학술에 의하면 계속 차근차근 자라나는 경제와, 거품을 타고 화악 자라나다가 성장통을 겪는 경제사이에서 후자가 더 높은 발전(Growth Rate)을 이룬다는 증거와 논문들이 있습니다.

 

 

6

  • 글쎄요 대마불사 찾아보니까 바둑에서 쓰는 말인듯 한데, 대한민국 기업인중 바둑 좋아하시는 분이 언제 한말씀 하겼겠습니다. 저는 모르겠습니다.

 

 

7

  • 미국 정치 시스텝입니다. 하원(Senate)에서 과반수의 투표가 있고, 대통령이 도장을 찍어야 (사인을 해야)패스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느 발전된 민주주의가 그렇듯, 혼자 만들어서 결정내릴수는 없을듯 합니다. 이건 엄청난양의 국세를 쓰는 일이기 때문에..

 

 

8

  • Bank of America 는 절대 국영 기업이 아닙니다. 중앙은행의 성격은 Federal Reserve Board 가 되겠습니다.

 

  • 지금 현재 주가로 Bank of America 의 마켓캡은 167 Billion 이니까, 100,000불이 일억이고, 밀리언이 10억이고, 빌리언은 10,000 억 = 10조 이고, 즉 1,607조 가 되는군요. 이건 시가 입니다. 총 자산가치를 보시려거나 Net Asset 을 계산하시려면  Bank of America Investor Relation 으로 가보시기를.

 

  • 메릴을 인수할수 있다는것은 Bank of America 의 장부에 유동성이 있고, 탄탄하다 하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BAC 장부를 제대로 읽어본적이 없어서 정확한 숫자는 못드립니다만, 자회사네 Treasury Stock 을 메릴린치 투자자들에게 바꿔주거나 주식을 새로 이슈하는 형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메릴 한주당 0.86 의 BAC 주식으로 말입니다.

 

  • 음모론이라....글쎄요....Bear Stearns 추락에는 몇의 Hedge Fund 메니저들이 SEC 즉 금감원 비슷한데 잡혀갔다는 루머는 들은적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 buy put 이나 sell call 해서 엄청난 돈을 벌었다 하는데, 아마 하루에 100불정도에서 4불 까지 내려갔으니까 인사이드 인포 없이는 그렇게 베팅하기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확실한건, Bank of America 는 음모따위란 관계없는 회사 입니다, 적어도 여태 들어난 바로는.

 

 

9

  • 전세계 금융뉴스 였습니다. 리먼은 로스를 커버할 캐쉬가 없었기 때문에 투자자가 필요했던 시점이었고, 아마 몽땅이 아니라 제기억에는 20%~25% 정도 지분 사이에서 고민을 했다 들었습니다. 이때 당시 리먼 주가가 16불 정도 였는데 산업은행이 매몰차게 뒤돌아서고 리먼은 3불 정도로 확 내려간걸로 기억합니다. 3불 정도에서 다시 미국정부가 한번 더 딱지를 주니, 리먼은 멀어져만 갔던것입니다. 

 

  •  지금도 맘먹으면 리먼 주 사실수 있습니다. Over the counter라고, 살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한주당 30전 이니까, 1불을 1100원 치면 366원 정도 되겠습니다. 만약 리먼의 모든 자산 매각해서 채권가진이들, Pref'd 주식 가진이들후에 보통주식 홀더들에게 이 이상 가치가 돌아갈듯 하면 사람들이 거기에 또 사고 팔고 하는겁니다. 정말 징합니다.

 

 

10

  • 상업은행은 Commercial Banks 즉, 모든이들이 흔히 생각하는 은행입니다. 저금 예금 받아서 개인들 작은 회사들 돈꿔주고 돈버는 금융기관입니다.

 

  • 투자은행은 Investment Banks 즉 기업들의 자본필요에 의해 채권을 이슈 해주거나, 주식을 이슈해주거나. IPO 도 해주고, 즉 기업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커미션을 받는겁니다. 이외에 기업들에게 M&A 를 시켜주면서 커미션을 받거나, 외국 화폐를 확보 시켜주거나, 아님 직접 투자도 하는. 여태 얘기한 많은 미국 금융기업들 입니다. 금융산업의 최고봉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 산업은행 이라..죄송치만 저는 정확한 개념을 모르겠습니다. 산업은행은 대한민국에 칠팔십년대쯤 기업의 자본 업무를 대행해주는 은행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는 위의 두 금융기관이 이쪽일까지 도맡아서 합니다.

 

 

 

 

허접한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되,

절대 상업적 용도와 숙제를 위한 퍼가기를 금합니다. 부정행위는 국가의 경쟁력을 하향화 하고 나아가 취업문제를 야기 하는 것임을 알아주십시오. 읽고 본인의 글과 지식으로 쓰는것은 언제나 오케이 입니다.

 

 

 

파산,메릴린치매각 aig국유화 관련질문.

... 이번 미금융사태관련해서 열가지 질문... 메릴린치,jp모건에 대해 알려주세요. 4. 미국정부가 베어스턴스는 살리고 리먼브라더스는 내버려두고 aig를...

리먼브라더스메릴린치!!!! 내공!!!!팍팍

... 영향 관련 부분만 퍼왔습니다. □ 한국 증시에 미친 영향 ㅇ 메릴린치매각(9.14), 리먼브라더스파산보호 신청(9.15), AIG의 긴급자금지원요청 등으로 미국 뉴욕...

리먼브라더스

... 그래서질문할께요 리먼브라더스가왜파산했는지... ㅇ 메릴린치매각(9.14)1), 리먼브라더스파산보호 신청(9.15), AIG의 긴급자금지원요청2) 등으로 미국 뉴욕...

디폴트 관련 질문입니다.

... 리먼 브라더스 사태 와 디폴트와 관련하여 알고 싶고... 국유재산을 매각하겠다는 자구방안을 결의하면서... 수행한 AIG를 미 국정부가 사실상 국유화하는 조치를 단행하면...

미국발경제위기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 베이스턴스, 메릴린치, 리먼브라더스가 차례로 파산을 했고, 미 최대 모기지업체인 프래디맥 과 패니웨이도 국유화 된 것으로 알고있어요..그리고 세계최고의 보험회사 AIG...

영문 기사 해석 부탁드립니다.

... 주말을 넘으면서 리먼 브라더스파산메릴린치매각은 마지막 거래의 30분에... 시장에 관련된 다른 금융회사인 세계의...

요즘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서;

... 사태로 인한 금융손실과 부동산 가격 불안정, 2009년 9월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메릴린치의 합병, 그리고 AIG의... 결국엔 파산해버린 사태를 의미합니다. 리먼 브라더스...

[내공] 요즘 세계의 경제에 대하여

... 최근 리먼 브라더스라는 초대형 투자회사가 부도처리되자 이를 지우너해준 미국금융회사들이 줄줄이 도산 AIG... 여타국가가파산 사태 직면입니다 아이스란드 정부파산...

2008년 미국 금융위기

... 질문이 좀 방대합니다 아래 일어난 일을 몇줄로... 업체인 리먼브라더스, 페이메이와 프레디맥 역시 이에... 국유화하고 1주일 뒤에 리먼 브러더스를 파산시키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