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 차량구매 해도 괜찮을까요??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 차량구매 해도 괜찮을까요??

작성일 2020.03.1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전세계가 주식이 폭락하고 미국 경제도 불안정한상태로 간다는 말이있는데요...


정확하게 기억은 안나지만 ebs 경제관련 다큐를 보니 미국의 경제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치더라고요..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 지금 차량을 구입하기로 마음먹었는데 (개소세인하로) 지금 이걸 구매해도 괜찮을지...


지금 회사는 건설회사 다니고있습니다. 영향이 없을까요..? 잘 모르니 괜히 불안하네요..


#코로나 사태로 인한 변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같은 불확실성이 클 때에는 소비나 지출을 줄이고 현금 자산을 모으는게 중요합니다

이제 전세계적으로 유행이 되면 경제적으로도 패닉상태가 되고 빨리 잡히지 않으면 장기로 갈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많이, 꼭 필요하지 않으면 나중에 구매를 권합니다

그리고 보험료와 기타 유지비를 생각하면 당장은 아니라고 봅니다

혹시 출퇴근을 자차로 꼭 해야 한다면 구매하시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제적 여력을 넘는 수준이 아닌 차량소지는 큰문제되지 않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세계 경제전망은 어둡네요. 세계 각국의 주요지표와 발표를 찾아봤어요. 그리고 언제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될지 모르니 정확한 실물경제 예측은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ㅠ

Moody's 

"세계 GDP 성장률 0.3% 하향조정"(2.4% → 2.1%)

"동아시아의 공급망 중단, 중국의 총 수요감소, 전세계 여행 감소, 전세계 공장 생산량 감소"

OECD 

"소비자 물가 상승률 0.6% 포인트 하락 할 것"

"세계 GDP 성장률 2.4%(0.5% 하향조정)"

"아시아 대기업 성장률 5.7% → 4.9% 하향조정"

"GDP 성장률 하향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

"한국 GDP 성장률 0.3% 하향"(2.3% → 2.0%) 

세계 보건기구(WHO) 

"전세계 110개국 이상, 감염자 110,000명 이상, 사망자 4,000명 이상"

"코로나 펜더믹 선언"

국제금융연구소(IIF) 

"바이러스의 확산과 그 결과에 따라 예상할 영향이 넓다"

"글로벌 성장률 1.0% (작년 2.6%)", 

"세계 금융 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

https://coupa.ng/btRBWq

Bank of America(BOA)

"세계 경제 성장률 2.8%로 하향조정"

설문조사기관 

Caixin/Markit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월 중국 공장 활동수치 40.3"(사상 최저)[50미만의 수치는 수축을 의미]

중국의 Caixin/Markit 서비스업 PMI

"2월 26.5"(조사 이래 처음 50점 아래)

OPEC 

"세계 경제 활동의 감소는 이미 있었고, OPEC과 동맹국  의견 불일치 등으로 유가는 급락중"

싱가포르 은행 DBS

"석유수요 감소, 공급량 증가, 더불어 바이러스 발발은 두 배의 혼란 초래"

"유럽의 바이러스 확산은 특히 우려되며 OECD 국가의 수요도 약화시킬 것"

세계은행(World Bank)

"19.6월 전망 대비 0.2%p 하향 조정한 2.5%로 전망"

"선진국은 지속된 제조업 부진과 무역분쟁에 따라 0.1%p 하향 조정된 1.4% 예상"

"신흥시장ㆍ개도국은 무역과 투자 둔화 등으로 0.5%p 낮은 4.1%로 전망"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무역 긴장에 따른 국제 무역 축소 등으로 ‘19년 5.8%에서 ’20년 5.7%로 성장세 둔화 전망"(중국경제 둔화세 지속, 미중 무역 분쟁, 한일 무역 긴장 등을 주요 위험요인으로 언급)

"유럽‧중앙아시아 지역은 터키와 러시아의 회복세에 따라 ‘19년 2%에서 ’20년 2.6%로 성장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중남미 지역은 브라질의 투자조건 개선, 아르헨티나의 시장위기 완화 등으로 ‘20년 지역 성장률 1.8%(‘19년 0.8%)로 회복 기대"

"중동ㆍ북아프리카 지역은 성장률 상승(2.4%)이 기대되나, 남아시아(5.5%)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2.9%)는 예상보다 더딘 회복 전망"

https://coupa.ng/btRChD

조이스 창(JP모건 리서치총괄)

"중국 1분기 성장률 -4%, 서유럽은 2분기 -3% 예상,  신흥국 금리 0.45%P↓ 여력, 러시아·사우디 유가전쟁에 美셰일업체 위기 내몰릴수도"

체탄 아히야(모간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전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상반기 2.3%로 떨어진 뒤 하반기에는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부양책에 힘입어 3.1%로 높아질 것. 단, 코로나19가 4월 이후에도 확산이 멈추지 않으면 기업 충격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조아킴 펠스(핌코의 글로벌 경제 자문)

"올 상반기 미국과 유럽의 경기침체가 '명백한 가능성'이 되고 있고, 일본은 이미 경기침체 상황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경제에 최악의 상황은 아직 오지 않았다"

https://coupa.ng/btRCKX

3월 9일 주식시장

한국의 KOSPI 85.45p(4.19%), 

중국의 상해종합 91.22p(3.01%), 

일본의 니케이225 1050.99p(5.07%), 

홍콩의 항셍, 대만의 가권 등 아시아 주요 증시 3~4%대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미국의 다우산업지수 2013.76p(7.79%) 하락(9시 34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독일 916.85p(7.94%) 하락

영국, 프랑스 등 유럽주요주식시장도 7~8%대 하락

이탈리아의 ‘FTSE MIB’ 지수 2323.98p(11.17%) 낙폭이 가장 컸다.

3월 12일 주식시장(WHO 코로나 펜더믹 선언)

코스피 전거래일 대비 73.94p(3.87%) 내린 1834.33으로 마쳤다.(장중 한때 5% 넘게 폭락해 8년5개월 만에 사이드카 발동)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85%,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4.89%, 

나스닥종합지수는 4.70% 내렸다.

3월 둘째주(부동산114 발표) 부동산 시장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올랐지만, 상승폭은 2주 연속 둔화(0.06%→0.05%→0.04%)되는 모양새다. 재건축은 0.05% 하락했지만 일반 아파트는 0.06% 상승을 기록했다. 신도시를 비롯한 경기, 인천 지역은 각각 0.03%, 0.14% 올라 전주와 비슷한 오름세를 보였다. 아직 코로나로 인한 영향보다는 15억 원을 넘는 아파트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한 2.20 부동산 대책 영향이 크다.

요즘 중국 경제 위기 말이 많은데...

... 실체로 인한 유발효과이기에 그것들을 취합하면 숨겨진... 코로나 팬테믹 시절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금리는 제로... 모기지 사태(리먼 브라더스)나 스페인 경제위기를...

코로나 사태 이전의 2020 경제예측과...

... 코로나 사태 이후로 그것이 어떻게 바뀌었는 지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코로나인한 세계 경제전망은... 6%)", "세계 금융 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 https...

현재 코로나19로 경제붕괴되고 극심한

... IMF 사태는 아시아권에서만 일어난 금융위기입니다. 지금 코로나19로 일어난 실물경제의 침체와 IMF를... 양적완화, 제로금리 등 다양한 경기부양정책으로 인한...

코로나경제에 미칠 영향

코로나 19사태가 우리경제에 미칠 영향 과 그 대책이 무엇이 있을까요??? 코로나인한 세계 경제전망은... 6%)", "세계 금융 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 https://cou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