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e사와 Bose사의 경영방법등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Bose사와 Bose사의 경영방법등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5.11.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I. ABOUT BOSE
(1) BOSE의 역사
(2) BOSE의 성장과정
(3) BOSE 스피커의 특징

II. BOSE의 성장과정
(1) 메사추세주의 본부와 Westboro공장
(2) 캐나다의 ste-mane 공장
(3) 아일랜드의 carrick-Macross공장

III. BOSE의 JIT2
(1) JIT2 도입배경
(2) JIT2 도입전
(3) JIT2 도입후
(4) JIT2의 효과

IV. BOSE의 현재와 JIT2
(1) BOSE의 현재
(2) 새로운 구매 철학 JIT2
Ⅰ. ABOUT BOSE

(1) BOSE의 역사

미국의 BOSE사는 1964년 설립된 세계적인 스피커 전문 제조회사로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 (MIT) 전기공학교수인 Amar.G.Bose박사에 의해 탄생하였으며, 지금도 MIT공대와 산학협동으로 공동으로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BOSE사는 MIT의 우수한 인재와 연구진을 영입하여 축적된 특허기술과 특수 컴퓨터 프로그램, 첨단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내구력과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고품질 음향기기를 생산하는 메이커로 유명하다.
BOSE는 오디오 제품이란 모든 사람과 어떤 장소에서든 음악을 제공케 하는데 있으며, 단지 장비가 아니며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 고 믿는다. BOSE의 목표는 고도의 기술을 투입하여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어울리는 심플하고 세련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모든 소비자가 사용하기 쉬운 최고의 사운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2) BOSE의 성장 과정

설립 초기의 BOSE는 기존의 hi-fi제품이 음향을 완벽하게 재생할 수 없는 점을 간파하고 음향상태를 개선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제품을 생산하였다. 사실상 초기 3년 동안의 회사수익은 배터리로 작동하는 휴대용 스피커에 의해서 획득되었다. 그러던 중 Bose박사는 스피커가 실황 연주에서와 같이 완벽하고도 풍부한 소리를 내지 못하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는 종래의 스피커 기술에 얽매이지 않고 실제 연주회장에서와 같이 11%의 직접음과 89%의 반사음을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는 Direct/Reflecting 방식의 스피커를 개발 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제품이 901스피커 시스템이다. Direct/Reflecting 방식은 소리가 벽, 천장, 바닥을 거쳐 반사되어 청취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발산되는 음향파동(Sound Wave)이 생생한 라이브의 느낌을 자극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 901스피커는 오디오 매니아들로부터 열광적인 칭송을 받았고, 2년 뒤 BOSE는 사이즈가 901스피커의 반밖에 되지 않는 501스피커를 소개하였다. 그 뒤 책꽂이에 꼭 들어맞는 301스피커를 출시하였다. Bose박사와 그의 연구팀은 음향 재생 분야의 새로운 기준을 세움으로써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는 업적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BOSE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그들의 뛰어난 음향을 카 스테레오로 발전시키는 전략을 추진하였고 1980년대 초반 BOSE는 세계 최초로 오디오 연구소 설치와 승용차 모델을 위한 음향학적으로 주문된 사운드 시스템을 만들어 Auto-sound시장에 혁신을 일으켰다.













초기에는 단순한 기술의 배터리로 재생되는 휴대용 스피커를 생산하였는데 점차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기술개발에 주력하여 혁신적인 Direct/Reflecting 방식으로 고품격, 고충실의 스피커를 제작한 것이다.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는 시장 개발의 일환으로 승용차 스테레오 시장까지 진출하는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이런 과거에는 제품주기가 길고 특별한 기술 하나로 차별화가 가능하여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으나 환경이 변화하고, 점차 기술의 발전이 급진전 되어 후발업체와의 기술적 차이가 좁혀지게 되었다. 그리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를 충족 시키기 위한 신제품 개발이 불가피하게 되어 제품의 주기가 짧아졌다. 이에 BOSE는 새로운 시장의 개척의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다양한 방면으로의 출구를 모색하게 되었다.





(3) BOSE 스피커의 특징

BOSE사운드의 비결은 BOSE사의 Acoustic Waveguide 기술, Acoustimass 스피커 기술, '어쿠스틱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기술, Videostage 5 회로, 큐브 스피커 기술, Auditioner Audio Demonstrator 등 수많은 특허 기술은 지금도 BOSE사의 모든 제품 개발에 응용되고 있으며, BOSE만의 생생하고 자연스런 사운드의 비결은 바로 이런 독자적인 기술력이다.






BOSE의 스피커, 홈 시어터 시스템 등 가정용 오디오 시스템은 전세계뿐만 아니라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알려져 수많은 음악 애호가들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라이프스타일' 홈 시어터 시스템 / 뮤직 시스템은 BOSE가 자랑하는 또 하나의 고품질 음향 시스템이다. 세계적으로 높은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는 라이프 스타일(Lifestyle) 시스템은 BOSE의 최신 기술력을 총 투입하여 개발한 미래지향형 고품위 제품으로, 스피커와 앰프, CD플레이어, AM/FM 튜너, 리모컨 등이 포함된 토탈 시스템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경제적으로 음악과 영화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음색 통일감과 사운드 밸런스가 탁월한 고음질이 가장 큰 특징이다.








(4) BOSE의 경영 전략 (1980년대)

1) 적극적인 시장개척

BOSE는 회사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개방된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였다. “Better Sound Through Research”라는 모토 하에 잠재고객에게 BOSE 제품의 우수성과 다양한 시스템을 적극 선전하였다. 일본시장도 초기 위험을 감수하면서 적극적으로 공략하여 1990년까지 일본 내 컴퍼넌트-질의 스테레오의 판매실적 1위를 차지하였다. 이렇듯 전 세계의 좋은 음향에 대한 열의를 가진 잠재고객의 발굴에 힘썼고 1990년대 이후에는 체계적인 글로벌 전략을 세워 광범위한 시장에 대한 도약을 추진하였다.

(2) 유통채널의 확장

초기에는 오디오 매니아들이 이용하는 상점에서 독점적으로 판매했으나 1980년대 후 BOSE는 전자제품 소매상이라는 새로운 유통경로는 개척하여 채널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BOSE 자체에서 직접 마케팅을 추진하여 브랜드를 공격적으로 알렸다.

(3) 제품 시스템의 창조

초기의 high-fidelity 음향의 스피커를 중점적으로 판매하였으나 점차 hassle-free 음향과 분리된 오디오 시스템을 원하는 고객의 욕구를 간파하여 간단히 오디오 장치를 나눌 수 있는 제품을 출시하였다. 그리고 큰 스크린과 함께 서라운드 사운드가 겸비된 홈 시어터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스피커를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는 ‘plug & play’장치를 개발하였다. 14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 한 BOSE는 어쿠스틱 웨스티 시스템과 통합된 휴대 가능한 고성능 뮤직 시스템을 소개하는 등 오디오 시장을 한층 개선시킨 효시가 되었다.

(5) BOSE의 생산 전략

BOSE생산라인은 고유의 매니저와 지원조직이 있고 공장자재 매니저는 공식적으로, 판매 • 운영 관리자에게는 비공식적으로 보고한다. Westboro의 5개항목(전자부품, 플라스틱, 인쇄, corrugated boxes/상자, 케이블 코드)의 구매계획은 다음의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 사업계획
2단계 : 총체적인 생산계획
3단계 : 총체적 생산괸리에 기초한 총체적 생산계획

(1) 각 담당자의 업무와 역할

- 자재 매니저: 구매 일정을 관리하고, 5명의 재고관리매니저들에 보고를 받아 재고를 관리.
- 재고관리매니저: 창고관리매니저가 공장 창고의 운영을 관리하는 동안 westboro의 능력별 편성과 종합적인 재고 수준을 관리하고,재고관리매니저는 하나의 생산라인 지원을 위해 계획과 구매를 실행하고, 생산 제어관리자와, 스케줄 책임자, 구매 관리자에게 도움을 받음.
- 구매관리자: 하나의 생산라인을 위해 모든 자재를 획득했던 구매자들을 관리
– 구매자: 경영 품질, 비용, 납품에 대해 책임이 있음.

(2) westboro의 구매자들

엔지니어가 아니라 관리자나 홍보관리자와 같은 계층이 새로 생겨났다. 그리고, 업무가 쉬운 생필품 활동에서 플라스틱이나 전자제품 어려운 부분으로 옮겨갔다. 무엇을 주문할 것인지, 매각인과 새 주문을 할 것인지, 주문한 파트의 납품일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조정하였다. 구매자들 시간의 남은 10%는 현존 매각인들과 재조정 계약에 쓰이고, 구매자들의 시간의 다른 15%는 현행 파트 조정에 쓰였다. 재정적으로 안전한 매각인들을 선호하였고 이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해 있었으므로 빠른 납품이 가능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BOSE의 신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낳았고, BOSE 기업에 위치한 구매주문의 평균리드타임의 구매주문 기간이 1/3(약 10일) 축소되었고, 모든 주문의 약 35%는 배치이후 30일 이내로 변했다.



II. BOSE의 Glovalization

BOSE는 미국 Boston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적으로 12개국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 BOSE제품은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일본에서 최고의 Best Selling제품으로 자리잡고 있고, 최근엔 러시아와 중국, 인도에도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제부터 BOSE의 글로벌 공장의 입지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1)메사추세츠의 본부와 Westboro공장

매사추세츠주는 영국의 청교도들이 동해안의 플리머스에 상륙하여 미국의 기초를 구축한 역사적인 곳이다. 예로부터 공업이 발달한 뉴잉글랜드 공업지역에 속하며 특히 정밀기계공업과 전자•전기기계 공업도 활발하며, 그밖에 식품가공•화학(고무•플라스틱)•제지•금속 등이 눈길을 끈다. 미국에서 손꼽히는 문화적인 주로, BOSE턴 및 그 위성도시에는 많은 교육기관이 집결해 있다. 하버드대학교(1636년 창립)와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래드클리프여자대학은 위성도시인 케임브리지에 있고, BOSE턴에는 BOSE턴대학이 있다.

메사추세츠 주 Framingham의 서부 BOSE톤에서 23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Westboro공장은 Framingham 서부 15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공장은 완전 통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장은 회로판과 변환기, 그리고 Westboro에서 생산한 전자 소리 장치와 회로판을 사용한 완성품을 생산한다. 또한 판매업자가 서전에 주문한 부품까지도 생산한다. 이 시설은 BOSE의 가장 크고 최신의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다.


(2)캐나다의 Ste-Marie 공장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인 캐나다는 전 국토 면적이 한반도의 45배나 되는 방대한 영토를 가진 나라이다. 캐나다는 국토만큼이나 산림자원, 광물자원, 수산자원이 매우 풍부하고 전 국토의 1/3이 산림지대로 되어 있어 산림자원이 풍부하고 에너지 가격이 낮아 일찍부터 임업이 발달하였으며 목재, 펄프, 신문용지의 수출규모는 세계최대로서 종이, 펄프 관련 제품은 수출액의 7.9%, 목재는 4.4%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에서 19%를 점유할 정도로 세계적으로 가장 큰 임산물 제품 수출국으로 1998년에는 총 3백 97억 달러의 수출을 하였고 그 이후로도 계속 전세계에 목조제품 수출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특히 침엽수 제재목 및 목재 펄프 수출에서는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6백만 헥타르 이상을 덥고 있는 캐나다의 11개 삼림을 보더라도 캐나다의 목재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느낄 수 있다

.

BOSE가 캐나다에 Ste-Marie 공장을 세운 이유는 먼저 스피커에서의 나무재질의 중요성이다. 스피커를 생산하는데 있어 변환기, 일렉트로닉스, 캐비닛의 필수적인 부품이 필요하다. 스피커의 품질을 판단하는 것은 소리의 정확한 재생, 디자인과 제품의 구성에 사용된 재질이다. 다음으로는 우수한 원목의 획득과 가공기술을 생각 할 수가 있다. BOSE는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정확한 내구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캐나다의 원목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BOSE는 캐나다의 퀘벡에 Ste-Marie 공장을 세웠고 규모의 컴퓨터 제어기 시스템을 원목작업을 위해 갖추었다.

(3) 아일랜드의 Carrick-Macross 공장

1997년에 아일랜드의 수출은 350억 아이리쉬 파운드로 국내 총생산의 73%를 차지 하였으며 주요 수출 분야는 컴퓨터/전기기계/화학/의약산업이다. 주요 수출국은 영국 24.3%, 독일 12,5%, 프랑스 7.9%, 네델란드 6.8%, 벨기에/룩셈부르크 5.0%, 이탈리아3.3%, 기타 유럽연합국가 6.8%, 미국 11.4%, 일본 3.2% 이다
BOSE가 아일랜드에 Carrick-Macross 공장을 세운 이유

1) 새로운 시장개척

BOSE는 아메리카라는 제한된 시장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시장이 필요로 했다. BOSE는 이미 오래전 부터 유럽 전체가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하고자 하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서 한 나라가 아닌 유럽전체를 공략하고자 한다.

2)유럽 시장의 정보 획득

BOSE는 유럽 안으로 직접 들어가 유럽 시장의 욕구 등 기타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유럽 전체로의 수출 비중이 높고 주요 수출 분야 중 하나가 전기기계부분이 있어 특별한 인프라 구축이 없이도 유럽시장으로의 진출이 쉽다.

(4)미시간 주의 Hillsdale공장


미시간 주의 가장 중요한 산업은 공업이다. 특히 자동차공업의 메카로서,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도시인 디트로이트도 미시간 주에 위치해 있다. 이 일대에는 제너럴모터스 •포드 •크라이슬러 등 3대 자동차회사의 본사공장이 집결해 있다. 그 밖에 철강 •금속 •기계 •식품가공 •가구제조 •제지 등의 공업도 성하다. 북부반도에는 광물자원이 풍부하여 철과 구리 산지가 있다. 남부반도에는 각지에 유전이 있는데, 1950년대 이후로 감산(減産)되었으며 그 대신 천연가스의 산출이 증가하였다. 미시간대학 •미시간주립대학 등 대학 수가 약 90개교에 이르는 대학 도시이기도 하다.

미시간 주에 위치한 디트로이트는 세계 자동차 공업의 메카로 미국 자동차의 25%가 이곳에서 생산되며, 미국 자동차 BIG3로 불리우는 GM, Ford, Daimler Chrysler 본사가 모두 미시간에 소재하고 있다. 미국내 승용차 총생산량의 약 30%, 버스와 트럭 총생산량의 약 23%가 미시간 주에 서 생산되는 거대한 생산시장인 것이다. 미시간 주의 산업체 고용자중 약 1/3이 승용차, 트럭, 트랙터를 포함한 자동차산업 관련 생산직에 종사하는 풍부한 고급 인력시장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20개의 자동차 부품 업체 중 15개 업체가 미시간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렇듯 미시발달한 관계로 자동차 부품, 특히 완성차 조립용 부품(OEM부품) 산업이 구축되어 세계 최대의 자동차부품 공급업체인 Delphi사를 비롯하여 세계 3위의 Visteon, 5위의 Lear, 6위의 Johnson Controls사 등이 소재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를 포함한 북미지역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공급자 상위간 주는 자동차의 부품 공급업체의 집결지라고 할 수 있다. 미시간 주는 완성차 제조업이 150개사 가운데 85개사가 미시간 주에 소재하고 있으며, 상위 20대업체중에서는 80%에 해당하는 16개사가 미시간 주에 본사를 두고 있다


BOSE가 미시간 주에 Hillsdale공장을 세운 이유는 먼저, 미시간 주의 디트로이트는 자동차 R&D부분의 최첨단 지역이기에 BOSE는 카 스테레오의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R&D센터를 세운 것이다. 즉, 급속도로 진보하는 스피커 제조변화에 상응하는 기술력을 갖추고 짧은 제품주기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세계 자동차 회사들의 스테레오 부분에 대한 요구와 정보를 획득하고 즉각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전략적인 요새로서 건립되었다. 다음으로는 고객에 대한 정보 획득을 생각할수 있다. 자동차 스테레오에 대한 소비자 성향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BOSE 제품에 대한 Customization을 강화시키기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고객의 욕구를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타 경쟁사 제품과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여 빠르게 변하는 고객의 성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자동차 스트레오 공급 측면에서 볼 때 미시간 주는 세계 최대 자동차 업체 밀집지역으로서 저렴한 물류비용으로 각 회사에 카 스테레오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각 업체와 전략적으로 연계하여 BOSE의 공급점유율을 증대 시키고 타업체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BOSE는 미시간 주에 Hillsdale공장을 세워 자동차 스피커 시장을 특화하고 자동차 시장에 빠르게 반응하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였다.

(5)멕시코의 San Luis 공장

멕시코의 경제적 상황을 알아보면 1962년 이후 새로운 공업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제철업과 석유화학공업이 크게 신장되었으며 미국과의 국경지대에 있는 마킬라도라에는 2,700여 개 공장이 입주하여 50여 만 명의 노동자에게 일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NAFTA(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북미자유무역협정)의 출범으로 경제 부흥기를 맞고 있는데, 최고 관세율을 100%에서 20%로 하향조정하는 등 개방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도 경제발전을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장려, 독점방지를 위한 공기업(公企業)의 민영화(民營化)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BOSE가 멕시코에 San Luis 공장을 세운 이유는 NAFTA의 무역 정치적 요소로 생각할 수 있다. 협정의 체결로 미국의 자본과 기술, 캐나다의 자원, 멕시코의 노동력이 결합되어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는 반면, 시장 보호와 경제 블록화 현상을 심화시켜 비회원국에게 새로운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1990년대 후 급진적으로 전개되는 세계화의 기업 환경에서 업계강자로 살아남기 위하여 가격 경쟁력의 중요성을 깨달은 BOSE는 이런 NATFA협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로 하였다. 즉, BOSE에게는 멕시코가 생산전략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공장 입지점으로 부각된 것이다.


1) 관세 철폐

NAFTA 협정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관세, 비관세 철폐로서 회원국무역에 관한 모든 관세와 비관세장벽을 10년 내에 단계적으로 제거한다는 것이다. 단 몇 가지 수입 민감한 품목에 대해서는 15년의 경과기간을 두고 완만히 무역자유화를 추구함으로써 시장개방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조치도 마련해 놓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북미지역 내 무역이 10년 내에 완전히 자유화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멕시코 내의 공장설립과 관련된 생산 공정에 대한 비용을 큰 폭으로 절감시켜 원가에 대한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내국민대우

투자개방에 관한 의무규정과 이에 관련된 분쟁해결절차에 의해 회원국의 투자가들은 내국민대우 (national treatment)를 부여 받게 되며 역내에서의 외국인 투자에 관한 대부분의 제약조건(performance requirements), 예를 들어 수출이행조건 및 현지부품조달비율 등이 제거된다. 그리하여 자국에서처럼 자유로운 환경에서 공장을 가동할 수 있어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3) 풍부한 노동력

멕시코의 저렴한 인건비를 통해 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성이 높은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생산 공정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국외로 진출함에 따라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자국시장이나 해외시장에서 외국 기업들보다 경쟁력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앞으로 최대의 이익을 도출해 낼 수 있는 길은 단순히 무역 및 투자의 확대보다는 NAFTA를 이용한 지속성장의 추구임을 간파한 것이다.

4) 블록화의 활용

비회원국의 기업들, 특히 BOSE와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의 북미지역 활동이 제한되는 반면, BOSE는 비관세협정에 의해 원가절감을 실현하여 가격우위를 달성 할 수 있는 것이다. 타국가에 생산시설을 건설함에 있어서 부딪히는 여러 장애요소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현실에서 이는 매우 괄목할 만한 환경변화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BOSE는 멕시코에 San Luis 공장을 세우고 저가의 Bookself 뿐만 아니라 다른 BOSE사의 주변기기들을 생산하게 되었다.


III. BOSE의 JIT2

1)JIT2의 도입배경



BOSE 사는 골판지, 칩보드, 목재, 플라스틱이 삽입된 주형부품, 접착제, 저음용 확성기, 직물 등을 포함하는 800-1,000개의 많은 부품에 대하여 단일공급자전략 (single sourcing strategy)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거래되는 부품이 많은 경우에는 발주기업이 수주기업보다 기업 규모나 기술 수준, 자본력, 판매 능력 등에서 우위에 있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대등하지 못한 거래관계가 형성된다. 발주-수주 거래과정 전반에 걸쳐 발주기업의 지시 및 통제가 이루어지며, 가부장적이고 종속적인 속성이 강하다. 수주업체 입장에서는 힘이 발주회사에 많이 있어 재고가 발주회사로부터 납품업체로 전이되고, 제품원가 중 구매비 비율이 상승하여 원가통제 및 절감노력이 한계에 다다르는 역기능이 발행할 수 있다. 발주업체 입장에서는 언제 팔릴지 모르는 「모든 품목」을 다 갖추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도 알 수 없으며 여러 번에 걸쳐 주문을 하기에는 수배송 비용 과다하게 소요된다. 이로 인해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며 소량을 배달하기 위해서는 생산현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추구할 수 없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반적으로 원가상승을 부채질하게 되어 물품의 가격을 올라가고 경쟁력은 떨어지는 역효과를 야기할 수 있기에 발주업체인 보스측에서는 새로운 기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BOSE사의 구매 및 물류담당 이사인 랜스 딕슨(Lance Dixon)은 협력업체와의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할 목적으로 JITⅡ를 제안하였다. 그 개념은 간단하다. 특정 품목에 대한 재고관리 및 주문처리 업무를 가장 잘 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공급자 자신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BOSE사는 스피커용 플라스틱 부품 생산업체인 G&F 그룹의 직원을 BOSE사에 상근하도록 요청하였다. 즉, G&F 그룹의 직원이 BOSE사에 상주하면서 BOSE사 직원처럼 필요한 물품을 주문하도록 함으로써 BOSE사의 구매 및 자재계획담당자와 G&F사 영업사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납품회사의 판매사원이 발주회사에 '공급대표'로서 파견되어 발주회사의 구매•납품 업무를 대행하며 발주회사의 사원증도 발부 받아 발주회사의 정식사원처럼 업무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는 발주회사의 매출정보도 제공 받으며 품질문제의 개선안도 낼 수 있고, 생산부서의 생산회의에도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2) JIT2의 도입전

딕슨은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나 제조부문 부사장인 탐 비슨(Tom Beeson)을 포함한 여러 간부들의 반발에 부딪쳤다.

1) 반발이유

스피커 업계에서 최고의 품질을 추구하는 BOSE측에서는 딕슨의 주장에 대해서 여러가지를 걱정하게 되었다. 그 첫째가 회사에 새로운 사람을 추가하는 것이다. 딕슨의 제안대로라면 기존에 BOSE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외부인의 접근을 허용해야만 하며 이것의 의미는 기획. 기술. 인사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급 업체 채널이 바뀔 경우 회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빈슨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은 구매에 있어서의 통제력을 상실한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가 있다. 이러한 조달 측면에서 통제력의 상실이 고품질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받아 고품질의 스피커를 제조를 추구하는 BOSE의 제품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구매에 있어 통제력 상실이 제품의 품질이나 회사의 제조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술에 대한 유출을 생각할 수가 있다. 새로 도입되는 방식은 제품의 기획에서 주문까지 공급업체의 직원을 참여 시킴으로써 회사의 핵심 기술의 유출을 우려할 수가 있다. 즉 공급업체가 바뀔 경우 회사의 핵심 기술이 경쟁사에게 유출되는 것이다.

2) 예상되는 효과

⊙ BOSE의 입장

JIT2는 계약관계가 아닌 상호 파트너쉽 관계를 전제로 한다. 즉 납품회사의 판매사원이 발주회사에 ‘공급대표’로서 파견되어 발주회사의 구매•납품 업무를 대행하며 발주회사의 사원증도 발부 받아 발주회사의 정식 사원처럼 업무를 하게 되므로 발주회사의 매출정보도 제공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품질문제의 개선안도 낼 수 있고 생산부서의 생산회의에도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납품 회사와의 중복기능을 제거함으로써 구매기능 및 구매 인력을 감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제품 설계 변경의 감소와 설계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가격의 인하 또는 동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매업체의 수요 정보나 재고 정보 나아가 생산 계획 정보 및 판촉 정보를 공급업체와 공유함으로써, 공급업체가 다수의 구매업체에서 발생하는 수요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여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기반한 효과적인 재고관리에 의해 공급사슬 전체의 재고 수준 감소와 고객 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 기업과 연관된 업체와의 재고, 면적운영, Delivery type등을 고려하여 상호 협의 후 관련된 업체에서 물류환경 요소를 검토하여 생산(출하)된 양만큼 후 보충 입고게 된다. 즉 모 기업의 재고를 최소화하고 납품업체의 재고를 모 기업 내에 두고 운영하는 Store 및 재고 관리 방법인 것이다.

이런 방식의 운영은 기본적인 조건이 꽤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납품업체에서는 되도록 모 기업 내부에 Stock Area를 재고 Control이 가능토록 Buffer 형태로 운영하게 됨으로써 모 기업의 긴급사항 발생시 대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주처리 비용이 줄어 들게 되고, 상품의 리드타임 단축과 대폭적인 재고삭감이 실현될 수 있다. 또 제조업과 도매업이 소매업의 점포에서 품절을 감소시키고, 그 제품의 매상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소매업으로부터 제품 파이프라인을 거슬러 전송되는 단품별 매상정보를 제조업과 도매업 측에서 시장분석, 상품기획, 단품별 매상예측 등에 이용함으로써 과잉생산과 과잉재고를 방지할 수 있다.



⊙ G&F 회사의 입장

① 발주회사와의 공존 •공영 •동반 성장을 보장 받게 된다.
② 장기 계약의 보장
③ 이익률 향상
④ 신기술 동반연구 등을 통한 기술개발이 가능



(3) JIT2도입 후의 결과










BOSE사와 G&F사간 업무는 두 회사에 설치된 터미널과 EDI를 통해 수행하였다. BOSE사는 로트 대 로트(lot-to-lot) 운송업자와 협력하여 대부분 국내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두 회사간의 전자정보시스템인 EDI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처리되면서, 모든 화물취급자의 터미널을 통해 공유된다. 모든 정보는 매일 수 차례 갱신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다. 따라서 BOSE사는 보다 나은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향후 모든 협력업체와 EDI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시스템 능력을 확장하여 BOSE사의 전체 자재시스템의 자동화를 이룩했다.




















그리고 공장 내 대표(in-plant representative)를 선발하기 위해 BOSE사와 협력업체가 공동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협력업체의 직원이 공장 내 대표로 선발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많은 경우에는 경험이 많은 외부의 신규인력이 채용되었다. BOSE사와 협력업체간 거래내용은 정기적으로 감사를 실시하여 원가 절감을 위해 노력했으며, 구매책임자가 협력업체의 성과를 평가하여 거래 지속 여부를 결정하였다. JITⅡ를 통해 BOSE사는 인력을 감축하면서 재고도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정보공유를 함으로써 가능했고, 궁극적으로 BOSE사와 협력업체가 서로 win-win할 수 있었다. 그리고BOSE사는 이러한 방법을 다른 협력업체와의 거래뿐만 아니라 수송분야로 까지 확대하여 적용하였다. 즉, 수송회사 직원을 상주시킴으로써 수송되는 자재의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재고를 절감하고, 제품 분실 및 파손을 줄이는 등 수송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적용분야 변화내용 효과
자재계획수립 공급자가 발주사의 생산계획을 받아 자재 및 생산계획을 동시에 수립 ․중복기능 획기적 감소
*1인당 생산성 25% 향상
․의사소통 원활화
구 매 공급대표가 발주사와 공급사 사이에서 구매업무를 대행 ․구매요원 감소
․불량요인 사전 제거
․제조원가 절감
배송물류 운송업자와의 온라인 연결을 통해 배송상황을 받아 물류상황을 통제함은 물론 운송업자의 전문요원이 회사에 상주 ․강력한 물류통제
․배송시간 30% 감소
․글로벌 소싱 지원
신제품 개발 공급자의 기술요원이 상주하면 동시 개발 수행 ․설계기간 단축
․설계비용 절감
․설계변경 단축



(4)JIT2 효과
- 실시간 재고파악을 통한 자동화된 보충발주
- 리드타임 단축
- 재고수준 감소
- Bullwhip effect 방지
- 재고 총량의 감소를 통한 재고 부담 경감
- 토탈 비용의 절약
- 생산 계획의 개선 효과
- 자재 디스트리뷰션의 최적화
- 장기간 사업관계를 통한 Win-Win파트너 관계
- 고객의 수익성 재고

JITⅡ는 CALS(광속상거래), EDI(전자문서교환) 등의 수단 활용과 함께 산업공동의 혁신을 추구하는 기법이다. JITⅡ는 신제품 개발 단계서부터 시작되며 발주사에서 진행되는 신제품 개발단계에 공급사의 기술요원이 상주하며 동시개발을 수행한다. 자재계획 수립단계에서도 공급자가 발주사의 생산계획을 받아 자재 및 생산계획을 받아 자재 및 생산계획을 동시에 수행한다. 구매절차에 있어서도 양측에서 대표를 임명, 발주사와 공급사간 구매업무를 대행하게 한다. 또 배송물류에 있어서는 운송업자와의 온라인 연결을 통해 배송상황을 받아 물류상황을 통제하고 운송업자의 전문요원이 회사에 상주함으로써 강력한 물류 통제를 시행한다. JITⅡ는 이처럼 기업간 경제를 무너뜨림으로써 전체 자재관리의 대혁신을 추구하게 된다. 특히 발주사의 신제품 개발단계에서부터 공급사의 의견이 조기 반영되는 JITⅡ는 시행착오를 줄이는 동시병행설계(CE : Concurrent Engineering)를 공급업체까지 확산시키는 장점을 갖고 있다.


JIT2는 계약관계가 아닌 상호 파트너쉽 관계를 전제로 한다. 즉 납품회사의 판매사원이 발주회사에 ‘공급대표’로서 파견되어 발주회사의 구매•납품 업무를 대행하며 발주회사의 사원증도 발부 받아 발주회사의 정식 사원처럼 업무를 하게 되므로 발주회사의 매출정보도 제공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품질문제의 개선안도 낼 수 있고 생산부서의 생산회의에도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납품 회사와의 중복기능을 제거함으로써 구매기능 및 구매 인력을 감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제품 설계 변경의 감소와 설계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가격의 인하 또는 동결이 가능하다.


(5)기업간 협업에 대하여

1). 기업간 협력의 개념과 필요성
기업간 협력은 거래 쌍방 기업의 직접적인 거래에 의존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업간 협력은 독립적인 기업들이 서로의 계획을 사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며, 미래의 상호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구속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가 거래와 관련하여 서로 각자의 구속력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상호간 협력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시장 거래를 통해 각자의 활동을 조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업간 협력은 한 기업이 비교우위를 갖는 자신의 활동을 수행하면서 이와 밀접하게 보완적이지만 유사하지 않는 활동도 함께 수행 해야할 때 나타난다. 즉, 다른 경제활동과 유사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조직에 내부화 할 수도 없고 또한 그 활동이 거래 쌍방 기업 각자의 계획에 양적․질적 조정을 요구하므로 시장의 기능에만 의존할 수도 없는 경우이다.

기업의 경쟁력은 개별 기업의 성과가 아닌 전체 공급사슬의 차원에서 어떻게 종합화하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공급사슬 내에서의 개별 기업간 협력적 구조의 형성이 강조되며, 이에 의해 개별 기업의 경쟁력 강화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간에 가치 창출 활동의 역할 분담과 협력적 상호 작용도 시스템간 경쟁력 창출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간의 협력 강화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소기업들의 기술력이 향상되어 동반자적 협력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고, 전통적인 기업간 관계에 대한 인식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 위탁기업은 우월적인 지위를 이용하여 하청 기업들을 경기순환의 완충 부분으로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개별 기업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다른 자원을 가진 외부 기업과의 상호 협력이 필요해졌다.

둘째, 최근의 경쟁은 개별 기업간 경쟁에서 시스템간의 경쟁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즉, 개별 기업의 활동은 총체적인 가치 창출의 한 부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스템적 차원에서 반드시 연결되어 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치사슬이나 공급사슬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간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 기업 규모는 아직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간 관계 구조의 확대를 통해 적절한 규모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산업구조와 경쟁의 급격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업간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2). 기업간 협력에 관한 선행 연구
Ghemawat는 외주적인 기술 진보가 원가 절감의 원천이 되는 사업에서는 부품공급 업체에 대한 교섭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전략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품공급 업체의 선정과 수직적 통합을 시행함으로써 공급업체가 수주선을 교체하는데 따르는 전환 비용이 증가하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Porter는 Ghemawat와 비슷한 견해를 보였는데, 구매에서의 목표는 부품공급업체 교섭력의 원천이 되는 차별화 된 독특한 부품,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 후방통합의 능력 부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체제를 모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단일 공급업체에 기술용역 등의 지나친 의존을 회피하고, 표준화를 촉진시켜 부분적인 통합을 단행하며 후방통합의 위협을 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부품공급 업체의 일원화 정책은 부품업체 교체 비용을 증가시키고 부품 원가를 필요 이상으로 인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하였다.

한편, Shapiro는 부품업체와의 장기적인 신뢰관계가 원가 절감이나 신제품개발 아이디어의 중요한 원천이라고 하였다. 그는 협력 기업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먼저, 적대관계로써 이 경우 구매업체는 공급업체로부터 최소의 가격으로 부품을 조달하는 데에만 관심을 가지는 경우이다. 두 번째로는 신형 적대관계이다. 일본의 경우, 성공요인은 낮은 가격이 아닌 구매 품목의 품질과 신속성 및 신뢰성에 있다. 따라서 과거의 적대관계는 그대로 둔 채 낮은 가격대신 품질, 납품, 신뢰성과 같은 새로운 선정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협력적인 관계이다. 이 경우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간의 부품 조달 관행은 장기적이고, 상호 협력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Helper는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간에 발생하는 문제에 주목하고 퇴출전략과 협력전략의 두 가지 협력 기업 관계를 유형화했다. 협력관계는 구매업체와 공급업체간의 관리적 조정의 정도(교류되는 정보의 양과 질)와 계속거래에 대한 확신의 정도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하였다. 구매업체가 문제가 있는 공급업체에 대해 퇴출전략을 구사하게 되면 새로운 공급업체를 찾게 되는데, 이것은 낮은 확신과 낮은 관리적 조정을 갖는다. 반면 구매업체가 협력전략을 구사하게 되면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계속 거래 확신과 관리조정이 이루어진다.

Nishiguchi는 일본 기업들의 경쟁력의 원천 중 하나로 일본의 하청 시스템을 들고 있다. 일본 하청 시스템의 특징은 조직간 갈등적인 협상보다는 시너지 효과를 위한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연구에서 제조 기업은 문제 해결에 기초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장치를 전략적으로 창조하고 그로부터 이익을 얻음으로써 괄목할만한 성장을 달성했다고 결론짓고, 이러한 유형의 하청을 “전략적 이중구조”라 부르고 있다.



IV. BOSE의 현위치와 JIT2의 철학

(1)BOSE의 현재

1)올림픽 공식음향공급업체

BOSE사가 개발한 SR(프로음향) 시스템은 경기장, 전문 업장, 극장, 대규모 공연장/행사장, 교회 등에서 그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을 받고 있다. 특히, 그 동안 캐나다 캘거리 동계 올림픽, 프랑스 동계 올림픽, 바르셀로나 올림픽, 호주 시드니 올림픽 등 올림픽 공식음향공급업체로도 선정되어 올림픽 경기장의 음향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완성함으로써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다.

2) 전문 사업공간
BMS시스템은 비즈니스 공간인 레스토랑, 병원, 카페, 커피숍, 고급 의류매장, 헤어살롱 등에서 사용하는 뮤직 시스템으로, BOSE의 실용성, 편리성, 내구력,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발한 제품이다.

3) NASA 우주왕복선용 스피커
BOSE 스피커는 NASA 우주왕복선에 사용되어 우주공간에서도 완벽한 성능을 자랑한다. 미국 NASA는 콤팩트하고 견고한 스피커,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BOSE 스피커의 성능을 인정하여 우주왕복선에 BOSE 스피커를 장착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4) BOSE의 브랜드 파워

세계적으로 공식력있는 미국 포브스 (Forbes)사가 선정한 세계 Top Luxury Brand 중에서 BOSE 가 20위로 랭크되었다. 포브사가 최고의 럭셔리 브랜드만을 선정한 자료를 보면 BOSE는 BMW, 벤츠, 프라다 등에서 이어서 20위에 올랐으며 아르마니, 재규어, 아우디, 헤네시, 럭셔스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2)새로운 구매 철학 JIT2

제조업체 있어 제한된 자원의 효과적인 조달 문제로 처음 제기 되었던 생산의 철학이 바로 JIT이다. 기업이 생산에 공급할 수 있는 자원이 무한정 있다면 그 기업은 제고의 걱정 없이 필요할 때 원하는 만큼 공급하여 생산할 수 가 있다. 그러한 현실적인 문제에서 어느 기업도 자기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의 물량을 정확하게 공급 받을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이루고자 하는 것이 바로 JIT이다. 따라서 JIT생산의 방식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철학이라고 받아 들이는 것이 더욱 옳을지 모른다.

그러나 JIT의 방식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생산의 방식은 아니다. 기업의 상황과 보유자원 그리고 역량은 다르다. 다른 환자가 다른 처방의 약을 먹어야 하는 것처럼 JIT 도입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많은 기업들이 JIT의 이러점을 무시한 체 도입했고 따라서 실패를 하였다. JIT2 또한 그렇다. 변화한 환경 속에 가장 자기 기업에 효율적으로 자원을 공급하는 방식이요 철학이다. 즉 JIT2가 보스에게는 가장 효율적인 공급방식일 수는 있지만 다른 기업에게는 아닐 수가 있다는 것이다. 가량 자신의 핵심 역량을 보호해야 하는 반도체 기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식의 도입을 의심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자원의 조달 방식에 있어 자신의 기업의 역량을 먼저 파악하고 자신의 기업에 맞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사와 Bose사의 경영방법등에 대해서...

... 이제부터 BOSE의 글로벌 공장의 입지와 이유에 대해서... BOSE사와 협력업체가 서로 win-win할 수 있었다. 그리고BOSE사는 이러한 방법을 다른 협력업체와의 거래뿐만...

피임약의 방법대해서 알려주세요...

... 단순한 지식이 아닌 정말 효과적이고 확실한방법알려주세요~ 매일같이 성관계를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피임을 하는것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참 피임약의 가격도...

영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경영이나 기업윤리등을 소재로해서 만들어진영화나... 회사와 샌더즈는 첨예한 대립 국면으로 접어든다. 합병을...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했었다. 그후 터커는 경찰...

경영과 주식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호텔리어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4. 경영학과의 전망에... 콘래드 글로벌 호텔체인과 국내 브랜드인 신라호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도 드려 볼테니 읽어 보시기...

입학 조건,입학 방법대해서 알려주세요...

... 여튼 '과'를 정할 때 어떻게 정하면 좋은지도 알려주세요..... (의사,정보통신 ) 인력의 양성 직업인의 계속교육 *출처: 고려대 일반대학원 FAQ 경영 관련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입대하는 방법등 자세하게좀알려주세요

... 사와 운전면허 1종보통이 있습니다. 육군입영을 희망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세히알려주세요. 육군병 모집 지원방법등 자세하게좀알려주세요 동반입대에 대해서도요...

취득방법대해서 알려주세요....

... 찾지 못하여 네이버 지식인에 올립니다. 경영지도사 자격증 취득방법대해서 알려주세요 (ex: 독학 & 오프라인 & 온라인등등 ) 그럼 오늘도 수고하세요 ^^*

경영학과의 대해서알려주세요^^

... 경영학과에 대해서 인데요. 제가 이과에 온 이유는... 경영학과가 뭔지 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문과가서... 이론과 방법들을 배우는 것이 마케팅이죠. 세부적으로 소비자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