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게임이론 질문 드립니다

경제학 게임이론 질문 드립니다

작성일 2017.09.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일단 dominant strategy가 (아직 내쉬 균형은 안 배우고 각 player 가 complete information 을 알고 있다고 전제하는 normal form representation 이에요!) 상대방이 어떤 것을 선택하던지 간에 자기가 가장 높은 payoff을 받을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이 맞죠?


그리고 dominated strategy는 플레이어가 모두 똑같은 payoff를 가지는 것 맞나요? 죄수의 딜레마에서 각 플레이어가 같은 년의 구형을 받는 것이 dominated strategy(밑의 행렬에서 (2,2) 랑 (1,1)) 라고 하는데 다른 분은 상대의 결정과 관계 없이 자신의 payoff를 가장 크게 만드는 것이라고 해서요 ㅠㅠ 그리고 왜 합리적인 플레이어는 dominated strategy를 선택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똑같은 payoff를 가질 때보다 더 높은 payoff를 가질 수 있어서 그런거죠?


그리고 dominating strategy가 있던데 이것도 상대의 결정과 관계 없이 자신의 payoff를 가장 크게 만드는 것 맞죠? 그러면 그게 dominant strategy랑 똑같은 거 아닌가요??? ㅠㅠ


지금 제가 영어로 게임이론을 배워서 각 전략들의 한국말을 잘 모르겠는데 그것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


그리고 저 모든게 dominance strategy 안에 속하는 거죠...?


제가 질문의 베이스로 두고 있는 죄수의 딜레마 행렬은

B

QUIET FINK

QUIET (2,2) (0,3)       A

FINK (3,0) (1,1)


입니다


#경제학 게임이론 #게임이론 전략과 정보의 경제학 #게임이론 전략과 정보의 경제학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경제학을 영어로 배워, 한국말로 정확히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Dominant Strategy는 확실히 "우월전략"이라고 칭합니다.
Dominant Strategy, Dominating strategy는 똑같은 말입니다.

반면, Dominated strategy는 정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한국말로도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모르겠네요.
그러나 의미는 dominating의 정반대입니다. 단어에 "ed"가 붙어서 수동태 형식으로 되어 있죠. dominating strategy가 우월전략이면, dominated strategy는 전혀 우월하지 않은, 우월을 당하는, "열등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열등한"이라고 표현하는게 가장 와닿을것 같네요.


1. dominant strategy에 관해
질문자분께서 첫 문단에 설명해 주신 내용이 거의 맞습니다.
dominant strategy는 말 그대로 "strategy"의 한 종류입니다.
A의 전략으로 Q와 F가 있는데, 만약 그 둘 중에서 상대방이 무엇을 하던지와 무관하게(즉, 모든 경우에서) 어떤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확실하게 더 많은 payoff를 준다면, 그 어떤 하나의 전략이 dominant strategy입니다.


2. dominated strategy에 관해서는 오해가 있으신것 같습니다.

우선, player들이 dominated strategy를 play하면, 두 player의 payoff가 같냐고 물어보셨는데, 아닙니다.
'dominated strategy'와 '똑같은 payoff'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게임에 따라 우연히 그런 경우가 있을수도 있지만, 우연의 일치일 뿐입니다.

둘째, '게임의 결과'와 'strategy'를 동일한 개념으로 보고 계신것 같은데, 결과와 전략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질문자분께서 "dominated strategy는 밑의 행렬에서 (2,2)랑 (1,1)이라고 하는데"라고 말씀하신 부분이 있습니다. 
dominant strategy든, dominated strategy든, 전략이라는 것은 Q나 F를 전략이라고 부릅니다. 전략은 결과 그 자체가 아닙니다. player들이 전략을 선택하면, 그때 비로소 결과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A가 Q라는 전략을 선택하고, B가 Q라는 전략을 선택했을 때, 게임의 결과로 (2,2)라는 payoff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게임의 결과로 나타나는 payoff 쌍이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2, 2)이라던지, (0, 3)이라던지. 그런데, 두 player의 payoff가 (2,2)처럼 동일하게 나온 결과를 보고, 그 결과를 위해 각 player가 play했던 전략이 dominated strategy라고 정의하는 것은 전혀 올바른 정의가 아닙니다.

셋째,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당연히 dominated strategy를 선택하면 안 됩니다.
dominant strategy란, 앞서 설명드렸듯이, "상대방이 무엇을 선택하던지 간에, 나에게 무조건 더 높은 payoff를 선사해주는 전략"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렇다면 완전 반대 개념인 dominated strategy는, "상대방이 무엇을 선택하던지 간에, dominant strategy에 비교하면 나에게 무조건 더 낮은 payoff를 선사해주는 전략"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Q가 F에 비해 무조건 더 높은 payoff를 가져다주는 전략이라면(즉, F는 Q에 비해 payoff 면에서 열등한), Q가 dominant strategy, F가 dominated strategy이며,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당연히 dominant strategy가 있는데, 즉 더 좋은 결과를 받을 수 있는데 굳이 열등한 dominated strategy를 선택할리가 없습니다.


3. 직접 주어진 게임을 분석해보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Q
2 , 2  0 , 3 
3 , 0  1 , 1 
(세로축이 A, 가로축이 B의 전략을 나타냅니다. (X, X)라고 주어진 보수에서 앞 숫자는 A의 payoff, 뒷 숫자는 B의 payoff를 뜻합니다.)

우선 A가 되어봅시다.
A는 두 개의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의 전략은 Q이고, 하나의 전략은 F입니다.
즉, 두 개의 전략을 가진 A는, 게임이 시작되면 자신에게 더 이득이 되는 전략을 선택하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A가 가지고 있는 두 전략 중 하나가 월등히 우월하고 나머지 하나가 월등히 열등한 전략일까가 궁금해서 한 번 알아보기로 합니다.(우월 전략이 있으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열등한 전략이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우월'하다는 것은 비교급입니다. 어떤 다른것에 비해 우월한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 열등한 어떤것이 존재해야 우월하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략 Q를 살펴봅니다. 만약 A가 Q를 play하게 되면, 2를 받거나 0을 받습니다. B의 보수는 신경쓰지 말고, A의 보수만 살펴보세요.
그런데 만약 A가 F를 play하게 되면, 3을 받거나 1을 받습니다.
2 < 3이고, 0 < 1이기 때문에, F가 Q보다 항상(즉, B의 행동에 관계없이) 높은 payoff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그러므로, F는 dominating(dominant) strategy이며, Q는 dominated strategy입니다.





의문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경제학 게임이론 질문 드립니다

... ㅠㅠ 지금 제가 영어로 게임이론을 배워서 각... 제가 질문의 베이스로 두고 있는 죄수의 딜레마... 저도 경제학을 영어로 배워, 한국말로 정확히 어떻게...

경제학게임이론 예습 질문 내공40

... 현재 경제학과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다음학기에 게임이론에 대해서 배워야 해서 방학동안 할 것 도 없고... 부탁드립니다. 전공책 말고 그냥 도서관에서 빌릴 수...

행동경제학게임이론

... 행동경제학게임이론이 뭔가 느낌이 비슷하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둘의 관계에... p.s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언제든 궁금하신 점은 추가질문이나 1...

of bos 추가질문 드립니다! ㅠㅠ

... 질문해주신 내용은 모든 미시경제학 교과서 '게임이론' 부분에 수록되어 있다고 확답 드릴수 있습니다. 그 정도로 기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게임이론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 부탁드립니다! 이번 방학을 틈타서 게임이론을 비롯한 경제학에 대해 공부해 보고 싶습니다.. 꼭 좀 부탁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것이 있으시다면 질문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