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학파 모형에서 정부지출의 증가요~

고전학파 모형에서 정부지출의 증가요~

작성일 2014.06.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이 그래프에서 G(정부지출)의 변화에 따라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이유는 G가 I(투자)처럼 r에 직접 영향을 안받아서 그런건가요? G는 y절편과 같은 역할을 해서?

 

2. 전 경제학 공부를 할 때마다 이와 같은 그래프를 읽는 법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는데요 ㅠㅠ 혹시 그래프를 잘 읽는 법이나 혹은 제가 중고등 기초 그래프를 다시 공부하고 오는 게 좋을지 조언부탁드립니다.

 

3. 경제학을 공부하다보면 위 그래프에서와 같이 EF가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투자감소 크기라던가, 저축의 증가분은 BC 혹은 AE라던가 그래프 상에서 해석하는 게 많은데, 저는 이와 같은 그래프상 상황을 이해를 하는 데 오래걸립니다. 아무래도 문과여서 자연스럽게 이해를 하는 데에 시간이 좀 걸리는 것 같은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특히 면적 구하는 문제-사회적 총잉여-를 구하는 등의 문제에서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경제학 초보입니다.. 항상 지식IN에서 경제학 도움 많이받았습니다.^^ 소중한 조언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래프를 보니 구축효과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책마다 설명이 조금씩 다르고, 어떤 책은 간단(?)하게 지나치는 부분도 있다보니 의외로 구축효과를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1. 단계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부지출이 이자율의 영향을 받는 건 맞는 말입니다만, 먼저 정부지출이 늘어났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위 그래프 같은 경우라면 A점에서 F점까지 정부지출이 늘어나는 것이지요. (이 단계까지는 단순히 정부지출 곡선만 고려하면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자율(r)이라는 공급곡선과 만나는 점이 B로 이동하다보니까 구축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공급곡선(위의 S(r))이 평평하다면? F점에서 더 이상의 이동은 없을 것이고, 이때는 구축효과가 전혀 없는 것이죠.

이에 대해서도 학자들간 의견이 많습니다. 이자율탄력성이 크니 작니 하며, 그렇기에 정부지출이 효과가 있다느니 없다느니 말이죠. (아마 뒷 페이지나 다음 단원 정도 가시면 위 그래프를 변형하여 구축효과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림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2. 경제학은 '가정'의 학문입니다. 혹시 베블런 효과라고 아시는지요?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이 수요의 법칙인데, 베블런 효과는 오히려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경제학 책을 보면 이런 것 전부 만사 제쳐두고 그저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는 감소한다"고만 적혀있습니다. 그렇기에 처음 입문하는 분들의 경우 "어? 실제 경제는 이렇지 않은데?" 싶으면서 배워나가다보면, 헷갈리는 부분이 많이 생깁니다. 

그래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방금 말씀드린 수요의 법칙에 따라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이해하면, 그 다음에는 탄력성을 배우고 그에 따라 수요곡선의 기울기를 이해하면 됩니다. 같은 원리로 공급을 이해하고, 균형을 이해해나가는 식이지요.

정작 그래프 자체는 어려운 게 없습니다. 3차 방정식과 같이 그래프가 구불구불한 것은 아마 미시, 거시에는 거의 안나올 것입니다.(시장이론 쪽에서 비용 구할 때 식이 나오긴 합니다만 이 또한 그래프를 따로 공부할 정도로 어렵게 출제되진 않습니다)

3. 글쎄요... 일단은 기초 개념을 명확하게 잡길 권해드립니다. 다들 수요와 공급은 쉽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수요와 공급을 정확하게 배운 뒤 균형, 탄력성, 그리고 총잉여 및 조세부과 수준까지 정독해나가셔야 합니다. 

면적 구하는 문제는 그래프만 그릴 줄 알면 그 다음에는 연립해서 계산하면... 사실 이게 전부입니다. -ㅁ-;

추가 답변이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

고전학파 모형에서 정부지출의 증가요~

... 경제학을 공부하다보면 위 그래프에서와 같이 EF가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투자감소 크기라던가, 저축의 증가분은 BC 혹은 AE라던가 그래프 상에서 해석하는 게 많은데, 저는...

고전학파 경제학 질문

... 고전학파 폐쇄경제 모형에서 정부가 재정지출만 감소시키면 정부저축, 가계저축... 가계소득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가계들은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게 되어...

경제 고전학파 질문

문제 질문: 고전학파 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선지: 정부지출의 증가로 인해 실질소득이 변하지 않는다. 이 선지가 틀린 선지라는데, 고전학파에서 정부지출의...

거시경제학 고전학파 질문

... 공급선이 수직선으로 나타난 것이 고전학파모형 인가요? 2. 소비자들의 소비가... 조세증가 정부지출 감소로 소비가 줄면, IS 위 I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하겠죠...

IS-LM모형 정부지출 증가와 세금이...

1)정부지출 증가와 세금이 증가할때 2)정부지출 증가와 세금이 감소할따 IS곡선이 어떻게 이동해서 이자율과 국민소득이 어떻게 변하는지좀 설명해주세요 ㅠㅠ IS곡선...

고전학파 구축효과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 따라서 대부자금시장모형으로 보면 (T 가 일정한 상태에서) 정부지출G 의 증가는 우하향 곡선의 우측이동이 아니라, 우상향의 대부자금공급곡선의 좌측이동으로 나타나게...

고전학파 질문드려요

... 정부 지출의 증가로 인해 실질 소득이 변할 수 있다. 가 맞는 문장인데요. 고전학파는 통화량의 변화가 실질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배웠는데 이해가 안갑니다.....

경제학 고전학파 대부자금시장설과...

... 헷깔리네요 ㅜㅜ 소비랑 투자가 증가했을때 반비례면 이자율은 하락하는거 아니였나요?? ㅠㅠ 고전학파 모형에... G는 정부 수입, T는 조세로 (G-T)는 재정적자(또는 흑자)...

그리고 고전학파의 균형재정입장

... 즉, 정부지출증가한 부분을 조세로 부담하는 것을 말하는데.. 왜 불황일때... 2.균형재정을 추구하는 고전학파는 조세를 추가로 징수키겨야 한다고 주장하던데.. 어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