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사회 물가와 실업

중3 사회 물가와 실업

작성일 2023.10.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에 관한 내용입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많으면 소비 또는 투자가 많아져 물가 상승 후 화폐 가치가 하락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많으면 화폐가치가 떨어져 자연스레 물가가 오른다

둘중에 무엇이 맞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둘 다 틀린 말은 아닌데 전자보다는 후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폐가치의 하락이 물가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죠.

소비와 투자가 늘어난다고 물가가 반드시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본의 엔고 당시에는 통화량을 증가시켜도 워낙 엔화의 가치가 높은 상태였기에 통화량 증가로 소비와 투자가 늘어났지만 물가는 그대로였습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고 화폐의 가치를 나타내는 척도인 금리도 하락합니다.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자본을 조달하는데 드는 비용이 감소하기에 소비와 투자가 촉진되며, 이전보다 화폐의 가치가 하락했기에 현물의 가치를 나타내는 화폐의 수량도 많아지게 됩니다. 이를 물가의 상승이라고 하죠.

중3 사회 물가와 실업

... 많아져 물가 상승 후 화폐 가치가 하락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많으면 화폐가치가 떨어져 자연스레 물가가... 화폐가치의 하락이 물가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보는...

중3 사회 물가와 실업

중3 사회 공부 중 가계, 기업, 정부의 지출이 증가하면 상품에 대한 총 수요가 증가한다. 라는 문장이 있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 돼서요ㅠ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면...

중3 사회 - 물가와 실업

1.물가가 상승하면 왜 실물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는건가요? 예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주세요 2. 물가 안정을 위한... 높이면 물가가 안정이 되나요? 저축을 많이 하는데 그게 물가...

중3사회 물가와 실업

보기 ㄱ에 물가 지수의 기준이 왜 2016년인지 알려주세요 기준년도의 물가지수는 100 이잖아요~ 2016년의 물가지수가 100 이므로, 2016년은 기준년도임을 알 수 있죠.

물가와 실업 중3사회

물가와 실업 중3사회물가안정을 위해 국가에선 세금을 많이 걷어 세입을 늘려야하나요? 물가 안정을 위해 세금을 더 받는 정책은 존재 자체가 안함,ㅡ 1) 인플레이션 ( 화폐...

중3사회 물가와 실업

실업률이 많아지면 국가에서는 세금을 더 많이 걷어야하나요 적게 걷어야하나여 반대로 물가가 상승하면 국가는 세금을 더 많이 걷어야하나요 적게 걷어야 하나요 실업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