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L 과 VDSL 의 차이점은?(내공 40)

ADSL 과 VDSL 의 차이점은?(내공 40)

작성일 2003.03.0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ADSL과 VDSL 통신사와 속도거리그리고 장단점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여

중요한일이니 좀 알려주세여~~

내공 40겁니다 아자!!


#adsl 광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DSL은 비대칭 VDSL은 대칭형 데이터 송신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ADSL의 경우에는 다운로드 속도는 빠르나 업로드 속도가 느렸죠~
VDSL은 둘다 동일하게 속도가 나는 것이구요~

모뎀과 전송 방식에 따라서 거리는 가변 적입니다.
어떤 방식은 AP 에서 4km 까지인것도 있고 어떤 것은 1km인 것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VDSL이 더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들어서 속도도 ADSL 보다 빨라지고 있고 부품들도 국산화가 이루어 지고 있어서 가격도 많이 내릴 예상입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셨다면 베스트 꾹 눌러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과 VDSL(Very high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의 다른점은 속도면에서 있습니다.

일단 DSL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SL(Digital Subscriber Line)이란 기존의 무수하게 깔아놓은 동선(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음성신호(전화) 뿐만아니라 고속의 데이터통신까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얘기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집에서 쓰는 ADSL을 생각하면 간단하죠

이런 xDSL을 사용하게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선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 때문이었습니다. 이더넷의 경우에는 LAN선을 곳곳에 설치해야 하는데.. 그돈이 만만치 않거든요..

그리고 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인 광통신(FTTH)를 하려면 광케이블을 집집마다 다 설치를 해야하고, 또 아직 광통신은 장비등등 모든것이 비싸기 때문에 과도기로 요구된 것이 xDSL 이었습니다.
가장 먼저 나온것은 흔히 ISDN이라고 알고 있는 것이구요(일본에서는 아직도 사용하고 있죠, 우리나라에서는 이젠 아무도 사용하지 않아요 ㅡㅡ)
그다음에 나온것이 ADSL-lite라고 불리는 것으로 up:640k/down:1.5M 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ADSL-pro up:1M/down:8M가 나오게 되죠. 거리는 한 5km 정도까지는 속도가 유지가 된답니다. 그 이외에 SHDSL 등등이 있구요.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VDSL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최고 26M, 보통 13M/13M(down/up)인 경우와 최고 52M/6.5M(down/up)의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VDSL서비스는 이론적으로 300m~1.4Km 거리에 따라 비대칭형 서비스일 경우에는 수신(하향) 13~52Mbps, 송신(상향) 1.6~6.4Mbps이고, 대칭형 서비스일 경우에는 양방향 26Mbps, 13Mbps의 동일한 속도를 제공하는 동영상 위주의 인터넷 서비스 입니다.

근데 이런 최고 속도라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이 보장되는 거리가 300m정도 밖에 않된다거나 하기때문에 일반적으로 3kfeet(약1.2km)정도에서 13M/13M(down/up), 26M/3.2M(down/up)의 속도를 기본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이유는 전화선의 문제때문에 속도가 빠르게 되면 그만큼 crosstalk등등이 많이 생겨서 통신장애가 생기기 때문에 이이상의 속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5km 정도의 거리에서는 아무리 VDSL이라도 8M/1M(down/up)이상의 속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론적으로 제한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쉽구요.. 실제적으로 여러가지 방해요소가 있어서 통신이 성립되지 못합니다.

그러면 여러가지 DSL의 속도를 비교해 보죠
속도(dwon/up) 최대거리
ISDN 144k/144kbps 5.5km
ADSL 8M/1M 5.5km
SDSL 2M/2M 6km
HDSL 1.5M-2M/1.5M-2M 4.6km
VDSL 13M/13M 1.3-1.5km
26M/3.2M

VDSL을 이용한 통신과 방송의 통합 서비스 예
1. 광대역 인터넷(방송) 서비스
2.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
3. 홈쇼핑 및 전자 상거래 서비스
4. 영상을 근거로 한 부동산 정보 제공 서비스
5. 구인/구직 제공 서비스
6. 실시간 주가 정보 제공 서비스
7. 수출, 수입 제품 홍보 및 Sample 제공 서비스 등
8. 영화, VOD(Video On Demand), PPV(Pay-Per-View)
9. 화상채팅, 화상회의, 화상전화 등의 영상 서비스
10.차원 게임 및 가상현실(V.R) 등의 게임서비스 제공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가 지난해 상반기 100만 명을 넘어선데 이어 불과 1년여 만에 600만 명을 넘었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또한 인터넷 전문 조사 업체인 넷벨류(www.netvalue.com)의 발표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60% 가량이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이런 발표에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최근 1~2년 사이에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사용자의 증가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 모델이 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ADSL)과 케이블 모뎀입니다. 현재 국내 인터넷 전용선 사용자의 대부분이 ADSL 또는 케이블 모뎀 사용자인데, 이러한 사용자의 증가 만큼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나 질의 저하 등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사용자들이 갖는 가장 대표적인 불만사항으로 지적되는 것은 역시 속도문제입니다.

서비스 제공 업체가 광고하는 표시 속도는 ADSL은 8Mbps, 케이블 모뎀은 10Mbps이지만 실제로는 이 속도의 몇분의 일도 못미치는 속도만 나오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같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사용하는 데도 지역에 따라 속도가 천차만별이고 서비스 업체의 표시 속도에 비해 몇 분의 일도 안되는 속도가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로서는 속도에 대한 불만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서비스업체에서 말하는 표시 속도의 몇 분의 일정도만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전 모뎀의 속도에 비교하면 대단히 빠른 것이 사실입니다. 가장 빠른 모뎀의 속도가 56K이지만, ADSL이나 케이블 모뎀의 경우 속도가 잘 안나오는 경우라도 보통 0.5~1Mbps 내외정도는 대부분 나오기 때문에 수십배 이상 속도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일상화되고 많은 정보들이 멀티미디어화 되면서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필요로 하게 되어, ADSL이나 케이블 모뎀의 속도에는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부에서 7월 5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20조원을 투자해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의 이용 속도를 20Mbps 수준까지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20Mbps 라면 현재 ADSL이나 케이블 모뎀이 낼 수 있는 최고속도의 두 배가 넘는 속도이며, T1 전용선의 13배, T3 전용선의 45% 정도에 이르는 속도입니다. 회선을 통한 HDTV 방송 서비스의 필요 전송 속도가 19Mbps 인것을 비교해 본다면 앞으로 몇년정도는 개인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속도가 되리라고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의 대표적 초고속 통신망 기술인 ADSL이나 케이블 모뎀 방식이 아닌 보다 새로운 기술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20Mbps 가 넘는 전송 속도의 초고속 통신망 기술로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고속디지털가입자회선(VDSL)입니다.



VDSL은 ADSL 과 마찬가지로 xDSL 기술의 한 가지로 여러 xDSL 기술들 중 가장 빠른 전송속도를 보여줍니다. VDSL은 비대칭형 서비스일 경우는 하향 13 ~ 52Mbps, 상향 1.6 ~ 6.4Mbps 이며, 대칭형 서비스일 경우에는 양방향으로 13Mbps, 26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하향으로 최대 52Mbps 에 이르는 전송율은 T3 전용선을 능가하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입니다. 이렇게 빠른 속도를 통해 인터넷 뿐 아니라 HDTV(19Mbps) 나 다양한 VOD 서비스등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DSL은 현실적으로 각 가정마다 광섬유를 설치(FTTC)하지 않는 한 가장 빠른 전송속도를 보여줄 수 있는 초고속 인터넷 기술입니다.

하지만 VDSL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VDSL의 가장 문제가 되는 요소는 서비스 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는 데 있습니다. ADSL이 4.5 ~ 5.5 km 정도거리의 가입자들까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데 비해 VDSL은 기술상 1.4 ~ 2.5 km 정도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한계 거리입니다. VDSL은 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1.4 km 가 한계이고 비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2.5 km 가 서비스 지역의 한계입니다. 또한 VDSL의 최대 장점인 52Mbps 의 전송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서비스 거리 지역이 300m에 정도로 줄어드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 거리의 문제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호텔등의 MDU(집단가입자)환경에서는 별 문제가 없지만 일반 주택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VDSL의 또 다른 단점으로 지역별 사용자가 증가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들 수 있습니다. ADSL이 사용자 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를 내는데 비해 VDSL 은 해당 지역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 기술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지역별 스트리트 캐비넷(street cabinet)까지 모두 광섬유를 설치해 반경 300M 이내의 모든 지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한다면 사용자의 서비스 지역이 전화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광섬유 망으로 연결된 스트리트 캐비닛을 통해 VDSL의 최대 속도를 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 수가 많아진다고 하더라도 스트리트 캐비넷까지 연결된 광섬유와 충실한 백본망만 있으면 별다른 속도 저하는 없앨 수 있습니다. 또한 좀 더 저렴한 방법으로 VDSL 장치를 맨홀을 통해 도로 아래에 설치해 스트리트 캐비넷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시험중입니다.

이런 방식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게 되겠지만, 아직 VDSL이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고 계속 개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인 것을 감안한다면 실제 상용화에 들어갈때 쯤에는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기대해봅니다

adsl 과 vdsl 의 정의와 차이점 그리고...

... 내공 많이 걸게요..그럼 꾸벅 1. ADSL 이란? Asymmetric... 서비스) 대칭형(다운,업속도가 동일한 서비스)... 그래도 VDSLADSL차이점이 하나도 없는 것입니까?...

ADSL HDSL SDSL VDSL 차이점은??

xDSL 중에 ADSL HDSL SDSL VDSL 의 차이점.....간략히 내공검 - xDSL의 정의 xDSL은 기존... xDSL은 전송속도, 전송거리, 상향(upstream) 하향(downstream) 전송속도 비율...

ADSL과 VDSL의 차이점은??? (내공20)

... 내용좋은사람한테 내공20을드리겟습니다. ADSL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VDSL의 차이점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과 VDSL(Very high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올레 라이트 ADSL 과 VDSL 질문

... 기준 내공 만땅 우선 산간지역일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ADSL라이트 상품만 설치가 되십니다. VDSL상품은 최대50Mbps의 상품으로써 평균 다운로드 20~40Mbps, 업로드 1~3Mbps정도...

VDSL에 대하여...(내공 걸수있는만큼...

... ADSL 과 VDSL의 차이점과 좋은점 등등 정리좀 해서 설명해 주시면... 50,000원 VDSL-Premium /최대 다운로드8Mbps, 업로드 2Mbps 대략 40,000원 VDSL-Lite /최대 다운로드3Mbps...

adsl과 shdsl을 차이점

adsl과 shdsl 차이점이 뭐죠.. 알기쉽게 설명좀 해주세요 1. DSL... 보급된 ADSL에서부터, 대칭형 전송 방식인 HDSL (High bit rate DSL) SDSL (Symmetric DSL)외에도 VDSL 등 다양한...

광랜, 광랜 케이블 질문 (내공 만땅!!)

... 케이블, 전화선, 광랜의 차이점 (위의 질문과... 전화선 - ADSL~VDSL 지금으로 부터 약 7년전인 2002년도... 정통부에서 40Mbps이상의 속도만 나오면 광랜이라는 단어...

ADSL과 CDMA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ADSL과 CDMA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가격 시간? 용이성 장점과 특징 내공 50걸겟습니다 통신관련한 조사를... 나온게 VDSL(이건 50m정도까지) 광랜(100M) FTTH(100m) 머...

vdsl2에 대해 알려주세요

... ADSL의 경우에는 DSLAM한대당 1000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었다면 VDSL DSLAM에서는 그 절반수준정도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먼 소리인지...

Special FTTH의 차이점 (내공팍...

... FTTH 스페셜은 100메가에 가까운 속도를 보이지만 VDSL은 지역별 장비별 장비와의 거리별로 속도가 유동적 입니다. 많이 나와바야 40메가 인데 그것도 장비와의 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