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 자격확인

실내건축기사 자격확인

작성일 2022.12.12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3년제 실내디자인과 2022년도 졸업
졸업 전 휴학중에 2년동안 전기공사쪽 캐드 및 공무 업무
졸업 후 6개월 인테리어 업무/퇴사
현재 파견캐드 한달째

기사시험 볼수있나요? 산업기사만 될거같아서 책 샀는데 혹시 기사 되면 기사공부할라구용
유사직무분야에서 근무한거라고 어디서 확인하는지 모르겠어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정식 인가 받은 교육원 소속

끄덕멘토 입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학력과 경력이 인정되시는지를 알아보시려면

큐넷에서 응시자격 자가진단을 통해 확인해보실 수 있고

1644-8000을 통해서도 확인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확인을 해보셨을때 질문자님께서 기사 응시조건을

충족시키시지 못하고 계시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응시조건을 빠르게 맞추실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106학점을 이수하신다면

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실 수 있는데 질문자님의 경우

3년제 전문대를 졸업하셨기 때문에 더 정확한것은

질문자님의 성적증명서를 통해 과목분류를 해봐야하겠지만

질문자님이 100학점 이상을 취득하셨다는 가정하에

전공만 취득하시려는 자격증 전공으로 학습자 등록을 하시고

전공/교양/일반학점 상관없이 18학점을 이수하시면

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지기 때문에 제가 쉬운 과목으로

이수하실 수 있도록 진행과정 안내도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은 몇회차 기사 시험에 응시하실 계획이실까요?

질문자님이 전적대학점으로 학점을 인정받으신다면

온라인 강의를 통해 18학점만을 이수해주시면 되는데

18학점의 경우 4개월 과정으로 진행하실 수 있어

이번 23년도 1학기 개강반부터 진행하신다면

23년도 3월경에 마무리 하시고 4월경 학점인정신청을

하실 수 있어 23년도 2회차부터 기사 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주신다면 질문자님의 상황에 맞추어 효율적인

플랜으로 안내해드리며 최대한 빠르게 기사응시자격을

갖추실 수 있도록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 빠른 답변 및 상담 희망 시 이미지 클릭 후

문의 주시면 실시간 무료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

학점은행제

일정 학점을 쌓아

전문학사(2년제), 학사(4년제)를

취득하실 수 있는 평생교육제도입니다.

필요로 하는 학점을 채울 경우

빠른 시간, 적은 비용으로 학위를

취득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학위 취득 조건

전문학사 → 총 80학점

(전공 45학점 이상 + 교양 15학점 이상)

학사 → 총 140학점

(전공 60학점 이상 + 교양 30학점 이상)

학점 취득 방법

1. 평가인정학습과목

→ 온라인으로 진행 가능하며

비교적 쉽고 빠른 시간 내에

학점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2. 학점인정대상학교 (전적대)

→ 기존에 다니셨던 대학을

졸업하시거나 중퇴했을 경우

해당 대학에서 얻은 학점은

학점은행제에서 인정받을 수 있고

3. 자격증

자격증 취득 시 학점인정

전문학사학위

전공자격증 2개 또는

전공자격증 1개 + 일반자격증 1개

학사학위

전공자격증 3개 또는

전공자격증 2개 + 일반자격증 1개

4. 독학사 (대학검정고시 개념)

→ 각 단계에서 합격한 과목들은

학점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1단계:과목당 4학점 인정

2,3단계:과목당 5학점 인정 됩니다.

문의 주시면 어려움없이 단기간에

과정 끝낼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

댓글 확인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인테리어 전문 교육기관에서 진로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선생님입니다.

실내건축기사 자격요건에 대해 궁금점을 가지고 있으셔서 도움을 드리고자 답변 드립니다.

Q넷에 공지된 내용들로 봤을때는 응시조건이 안됩니다.

3년제 관련학과의 경우 기사자격증은 졸업이후 + 경력 1년 이라고 명시되어 있기에 질문에 적으신 것처럼 졸업 전 휴학시기에 2년경력은 인정받지 못하시고, 졸업이후에 6개월 + 1개월 경력만 인정받을 수 있어 현재로서는 응시자격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이번 공지된 23년도 공지된 자격증 일정에는 1회차 기사 시험의 경우 2월까지 응시자격증 갖춰야만 가능하다 공지되어 있으므로 남은 2개월간 경력을 더 쌓는다 하더라도 1년 미만이므로 1회차는 사실상 불가합니다.

그럼으로 만약 1회차 시험응시를 준비하신다면 산업기사를 목표로 준비하시면 되고, 2회차는 일정상 애매하긴 한데, 2회차나 내년 마지막 회차인 4회차에 응시한다면 기사까지 응시가능하니 해당 회차로 준비하신다면 기사자격증으로 준비하면 됩니다.

응시자격 및 경력인정에 대해서는 Q넷 사이트를 통해 회원가입 후 '응시자격자가진단'을 해보시거나 1644-8000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는데, 유선상으로는 통화연결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Q넷 응시자격자가진단

- 자격증 응시 자격요건

- 자격증 경력인정 유사직무범위

- 자격증 응시자격 서류안내

- 자격증 23년도 시험일정

추가적으로 실내건축산업기사 자격증 준비에 참고하실 수 있도록 좀더 내용 남겨드립니다.

실내건축산업기사의 경우 필기의 경우 교재를 통해 독학으로도 많이들 합격 하시지만 실기 준비를 위해서는 손제도 작도하는 법을 배워야 하는데, 아쉽게도 서울 지역이 아니라면 이렇게 전문적으로 자격증 실기를 준비할 수 있는 인테리어 전문학원이 없다시피 한것이 현실입니다.

지점이 많이 있는 컴퓨터그래픽학원이나 디자인학원들에서 준비가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막상 갔더니 제대로 된 교육과정이 진행되지 않아 고배를 맛보는 분들이 대다수 였죠.

그럼으로 거리가 가까우면 당연히 좋겠지만 이보다 주 목적인 자격증 취득 부분을 더욱 더 생각하셔서 거리가 있더라도 제대로 된 전문 자격증학원에서 준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더군다나 다른 자격증 시험과 달리 실기시험이 직접 도면 작도 하는 시험이다보니 1년 전체 합격률이 썩 좋은 편은 아니라 학원 선택이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격증 준비를 위해 학원에는 보통 제도판 및 작도 용지인 트레이싱지 정도만 있고 나머지 개인 사용 도구들은 본인이 준비하셔야 하는데, 제도판도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학원들이 있고 제도판도 몇 없어 수업 외에도 더 남아서 예습, 복습을 하고 싶어도 불가한 학원들이 있으니 이 부분 또한 학원 선택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개인 사용 도구들에 대해서는 어떤 학원을 가더라도 어자피 시험볼때도 시험장에는 제도판하고 트레이싱지만 주기 때문에 개인 도구들이 없으면 실기 시험을 치르지 못하기에 도구는 애초에 본인이 준비를 하셔야 하구요.

보통 개인이 준비하는 도구로는 학원마다 약간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 아래와 같습니다.

드로잉 템플릿(넘버명 : 101, 106, 201), 마스킹테이프, 지우개, 이레이징쉴드, 샤프 또는 연필, 빗자루, 삼각자(60도, 45도), 스케일자 30cm, A2파일, 채색도구 마카(신한마카 60색A)

위 도구들은 보통 큰 문방구(ex.알파문구)에서 구매 가능하고, 학원에서 구매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필기

필기 시험의 경우 4지선다형의 객관식 시험으로 보통 교재를 구입하여 과년도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독학을 통해서도 어느정도 쉽게 합격이 가능하고, 전문 인테리어학원의 경우 필기강의도 진행하고 있어 학원에서 준비한다면 손쉽게 합격이 가능합니다.

관련 예시문제들 몇가지 남겨드립니다.

- 비례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등비수열 ② 황금분할 ③ 착시 ④ 모듈(module)

- 상업공간의 실내계획에 있어 구매심리 5단계 중 관계가 적은 것은?

① 주의(Attention) ② 권유(Persuasion) ③ 욕망(Desire) ④ 행위(Action)

- 창의 외부에 날개형의 빗살을 달아 일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① 커튼 ② 블라인드 ③ 루버 ④ 발

- 다음의 각 디자인 요소와 느낌과의 연결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정렬해 있는 점 - 선의 느낌을 줌

② 수직선 - 안정감이 있고 조용한 느낌

③ 기하곡면 - 유순하고 수리적 질서가 있음

④ 육면체 - 곧고 딱딱함

- 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면의 종류로는 장방형, 삼각형, 곡선형이 있다.

② 면은 위치를 나타낸다.

③ 면은 입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다.

④ 면은 같은 선을 가깝게 반복시킴으로써 느낄 수 있다.

- 다음의 각 석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화강암 -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며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大材)를 얻을 수 있다.

② 점판암 - 대기 중에서 변색, 변질하지 않으며 석질이 치밀하고 박판으로 채취가 가능하다.

③ 트래버틴 - 수성암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실내장식에 사용된다.

④ 사암 - 단단한 것은 구조용재에 적합하나 대체로 외관이 좋지 못하며, 연약한 것은 실내장식재로 사용된다.

-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경미한 수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작용하여 시멘트의 풍화를 발생시키는 것은?

① 일산화탄소 ② 아황산가스 ③ 분진 ④ 이산화탄소

- 골재 중의 유해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쇄석 ② 후민산 ③ 이분(泥分) ④ 염분

- 다음 중 가장 밀도가 큰 것으로 방사선의 투과도가 낮아 건축에서 방사선 차폐용 벽체에 이용되는 것은?

① 알루미늄 ② 동 ③ 주석 ④ 납

- 다음 중 구조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재질이 균일하고 강도가 큰 것이어야 한다.

② 내화, 내구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③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④ 외관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 일종의 스프링 힌지로 전화박스 문이나 공중화장실 문 등에 사용되며, 저절로 닫혀지지만 15cm 정도는 열려있게 하는 것은?

① 피벗 힌지 ② 플로어 힌지 ③ 래버터리 힌지 ④ 도어 스톱

- 도면표시기호 중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① 製 ② D ③ THK ④ R

- 벽돌구조의 아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아치는 수직 압력을 분산하여 부재의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② 창문의 너비가 1m 정도일 때 평아치로 할 수 있다.

③ 문꼴 너비가 1.8m 이상으로 집중하중이 생길 때에는 인방보로 보강한다.

④ 본아치는 보통 벽돌을 사용하여 줄눈을 쐐기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 다음 각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철근콘크리트구조는 대부분 습식 구조이다.

② 목구조는 대부분 건식 구조이다.

③ 철골구조는 가구식 구조이다.

④ 조적구조는 일체식 구조이다.

- 다음 중 도학을 이용하지 않고 45°와 60°삼각자의 2개 1조로 그을 수 있는 빗금의 각도가 아닌 것은?

① 30° ② 50° ③ 75° ④ 105°

- 벽돌의 종류 중 특수벽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붉은벽돌 ② 경량벽돌 ③ 이형벽돌 ④ 내화벽돌

- 다음 중 도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축척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배치도 : 1/100∼1/500 정도

② 평면도 : 1/50∼1/200 정도

③ 입면도 : 1/50∼1/200 정도

④ 단면도 : 1/300∼1/500 정도

- 리벳의 직경이 30mm일 때 리벳 구멍의 직경은?

① 31.0mm ② 31.5mm ③ 32.0mm ④ 32.5mm

- 리벳치기에 있어서 피치(pitch)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① 리벳 지름의 1.25배 ② 리벳 지름의 2.0배 ③ 리벳 지름의 2.5배 ④ 리벳 지름의 3.0배

- 건축설계도면에서 전개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각 실 내부의 의장을 명시하기 위해 작성하는 도면이다.

② 각 실에 대하여 벽체 및 문의 모양을 그려야 한다.

③ 축척은 1/200 정도로 한다.

④ 벽면의 마감재료 및 치수를 기입하고, 창호의 종류와 치수를 기입한다.

- 블록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적식 블록조에서 세로줄눈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줄눈으로 한다.

② 블록구조는 지진과 같은 수평력에 약하지만, 보강 철근을 사용하면 수평력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증가한다.

③ 블록은 중공부의 경사에 의한 살 두께가 두꺼운 쪽을 위로 가게 쌓는다.

④ 장막벽 블록조는 뼈대를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철골구조로 하고 칸막이벽으로서 블록을 쌓는 방식이다.

# 실기

실기 시험의 경우 작업형 + 필답형(시공실무) 시험이며, 작업형의 경우 직접 손으로 도면설계를 통해 평면도, 입면도, 천정도, 투시도를 5시간 30분안에 작도를 해야 하고, 필답형의 경우 주관식으로 12문제 내외로 출제되고 시공과 적산, 공정표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실기시험의 경우 실내디자인 또는 건축학과 전공생들도 독학은 불가능 하다 생각하시는 것이 편한 생각으로 학원을 통해 전문적으로 준비하셔야 하는데, 아무래도 작업형의 경우 따로 예시된 도면 없이 설계조건이 주어지고, 설계대상 공간의 크기와 높이 및 디자인과 공간구획 등 배치에 관련하여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도면의 스케일등 도면 자체에 대한 요구사항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업공간에 대한 상점이나 매점, 전시공간들이 주어지고 과정에 출제되었던 테마와 비슷하게 나오기는 하지만 공간의 목적이나 요구사항이 매번 다르므로 교재를 통한 독학이 어렵습니다.

또한 작업형 실기시험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제한시간내에 모든 도면을 완성해야 하고(투시도의 경우에는 채색작업을 하지 못했을 경우 채점대상에서 제외) 5시간 30분안에 모든 도면을 완성하지 못하면 실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필답형 실기시험의 경우 공정표나 가설공사의 적산은 건축기사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출제되고 있다보니 실내디자인과 학생분들의 경우 건축과나 건축공학과와 달리 시공에 대한 부분을 거의 배우지 않았다보니 여기에서 또한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그래서 실기시험은 전문 학원을 통해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 디자인학원 및 컴퓨터학원에서도 자격증 강의를 한다고 하지만 단순 도면 작업형에 대한 기초적인 부분들만 강의하고 필답형 시공실무는 전혀 다루고 있지 않다보니 합격을 위해서는 학원 선택 또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내건축 산업기사 : 주어진 주제(상업공간 위주. ex 커피숍,패스트푸드, 판매매장)에 맞게 도면 작도(평면도, 입면도, 천정도, 투시도+컬러링), 시공실무(시방서, 적산, 공정표)

1) 작업형

작업형의 경우 각 등급별 작업형 시험마다 반복되는 테마 유형이 있어 실기시험 보기전 이 테마들을 한번씩 다 작도 해보는 것이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인데, 기능사 문제 위주로 연습하셨다면 실기시험에서 테마 자체가 틀리다 보니 처음 겪는 테마가 나오면 제한 시간내 다 완성을 못하거나, 틀리거나 빼먹은 부분이 많아 감점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능사의 경우 원룸 같이 주거공간 테마가 나오는 반면, 산업기사의 경우 상업공간 테마로서 커피숍, 패스트푸트, 판매점 등등 이런 유형의 테마들이 나오는데, 주어진 도면도 없는 시험에서 컨셉부터 테마까지 잡아 새롭게 도면을 작도 해야 하니 이 부분에서 제한 시간내 모든 도면을 완성하지 못하거나 완성한다 하여도 틀린 부분이 많이 감점점수가 높아 불합격 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작품명 - 안경점

1. 요구사항

주어진 도면은 근린생활지구 내에 위치한 안경점이다.

다음의 요구조건에 따라 도면을 작성하시오.

​2. 요구조건

1) 설계면적 : 8,000mm X 7,200mm X 2,700mm(H)

문SIZE : 1,800mm X 2,100mm(H)

2) 요구공간 및 가구 : 제품진열공간, 상담공간, 대기공간, 검안실, 작업공간, 계산대, 쇼케이스, 벽체선반형 디스플레이

* 그외에 가구 및 집기는 수검자가 임의로 더 넣어도 좋다.

​3. 요구도면

1) 평면도(가구 및 바닥 마감재 표기) : 1/30 SCALE

* 평면도 주변의 여유공간에 설계개요(DESIGN CONCEPT)를 180자 이내로 작성하시오.

2) 천정도(설비, 조명기구 배치 및 범례표 작성/천장마감재 표기) : 1/30 SCALE

3) 내부입면도 D방향 1면(벽면 재료 표기) : 1/50 SCALE

4) 실내투시도(채색작업은 필수) : NONE SCALE

* 계획의 포인트가 좋은 지점에서 1소점 혹은 2소점으로 투시법으로 작성하되, 작성과정의 투시 보조선을 반드시 남길 것

2) 필답형-시공실무

필답형의 경우 최근 12문제 정도가 출제되고 있으며, 계산문제는 1문제 또는 2문제로 매번 시험마다 랜덤입니다.

합격 기준점은 100점 만점중 필답형이 40점을 차지하고 있고, 작업형이 60점을 차지하고 있는데, 과락없이 두 유형점수를 합산하여 총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그렇다보니 작업형으로 60점 만점 받는것이 힘들어 필답형에서 절반정도 맞춰 20점 정도만 나와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전제조건은 작업형에서 제한시간내 모든 도면을 완성해야 합니다.)

1. 다음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① 찐마루 :

② 막만든아치 :

③ 거친아치 :

2. 석재공사시 가공 및 시공상 주의사항을 4가지 쓰시오.

3. 도배공사시에 관한 주의사항이다. <보기>안에 괄호 안을 채우시오.

도배지의 평상시 보관온도는 ( ① ) 이상이어야 하고, 도배 시공 전 ( ② ) 전부터는 5℃ 정도를 유지해야 하며, 도배 시공 후 ( ③ ) 까지는 16℃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4. 조적조 정의에 대해 차이점을 근거해서 설명하시오.

① 내력벽 :

② 장막벽 :

5.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의 특징을 2가지 쓰시오

6. 다음 유리의 특성을 기술하시오

① 로이유리 :

② 접화유리 :

7. 다음 <보기>의 재료중 수경성 재료를 모두 고르시오.

① 돌로마이트 프라스터 ② 진흙질 ③ 시멘트 모르타르 ④ 회반죽 ⑤ 킨즈시멘트 ⑥ 아스팔트 모르타르 ⑦ 순석고

8.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① 이음 :

② 맞춤 :

③ 쪽매 :

9. 건축공사의 공사원가 구성에서 직접공사비 구성에 해당되는 비용 4가지를 쓰시오.

10. 단면 형태를 보고 치장줄눈의 용어를 쓰시오.

11. 정상적으로 시공될 때 공사기일 30일 공사비는 1,000,0000원이고, 특급으로 시공할 때 공사기일은 20일 1,500,000원이라면 공기 단축시 필요한 비용구매를 구하시오.

12. 블록의 압축강도를 구하시오.

블록길이 : 390mm, 높이 : 190mm, 두께 : 150mm, 블록살두께 : 25mm, 블록무게 : 15kg, 속빈부분너비 : 70mm, 최대하중 : 300k/n

여기까지 궁금점에 대해 적어드렸는데, 어떻게 남겨드린 답변이 도움은 되셨나요??​

모쪼록 남겨드린 답변이 자격증 취득에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 아직 이 분야에 대해 정보들이 많이 부족하신 만큼 전문 교육기관을 통해 구체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문 상담을 통해 자격증 취득을 위해 무엇을 공부해야 하고, 어떻게 자격증 준비를 하면 좋을지 등등 전문적으로 자격증 취득에 대한 계획을 세워보실 수 있기에 단순 인터넷으로만 알아보시지 마시고 구체적인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꼭!! 추천 드립니다.

남겨드린 답변에 대한 궁금점이나 다른 질문이 있으시다면 아래 부분을 통해 톡 주시면 되고, 만약 전문적인 상담을 받고 싶으셔도 아래 부분을 통해 톡 남겨주세요~ :)​

☆ 실내건축 자격증 전문학원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자세한건 Q-net 홈페이지에서 자가진단 하시거나

1644-8000으로 직접 전화하셔야 합니다

아직 기사 응시자격은 갖추지 못하신 것 같습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 인정 받거나

경영학사 취득하신다면

웬만한 기사 자격증 모두 응시 가능합니다

국내에 최소 900명이상의 플래너들이 있습니다

과연 이 안에서 직접 학은제로 학위취득 경험이 있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요?

장담컨대 5%도 안될겁니다.

저는 온,오프라인 학점은행제를 통해

직접 학사학위를 취득한 경험자입니다.

경험해보지도 않고 할 수 있다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과는 다릅니다.

제 경험을 기반으로 개개인 상황에 맞춰

가장 쉽게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는 플랜만을 제공해드립니다.

저는 학점은행제로 2000만원의 손해를 본 피해자이기도 합니다

절대 저와 같은 상황을 여러분들에게 만들어드리지 않겠습니다.

시간, 비용 최소화 시켜드리겠습니다.

카톡 : kimsn9421

번호 : 010-3902-6067

오픈카톡 : https://open.kakao.com/o/szbsbkIe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직 실내건축기사 응시자격은 안되시는걸로 보입니다

큐넷에 응시자격 자가진단을 해보시면

더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적대 학점을 가져와 학점은행제를 이용해

106학점을 이수 하시면 기사 응시자격 갖추실 수 있습니다

상담 비용은 없으니

아래 연락처로 편하게 문의주시면

이해하기 쉽고 자세하게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카톡 : heojun4189

번호 : 010-4189-4085

오픈카톡 : https://open.kakao.com/o/s0Dh5OQe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정식평가인정기관 학습플래너 안플래너입니다!

빠르게 답변 남겨드릴게요!

아직 응시자격이 안되실것으로 보여지나 우선 큐넷에 직접 문의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3년제 졸업하셨다면 학점은행제로 학점 끌어오셔서 기사 응시자격 만드실 수 있으니 문의 남겨주시면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여러번 물어보시기 보다는 한 번의 상담으로 모든 과정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적이고, 꼼꼼하게 원하시는 과정 마칠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 해드리겠습니다!

▼▼▼아래 배너 클릭 시 100% 1:1 무료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실내건축기사 자격확인

... 어디서 확인하는지 모르겠어용.... 안녕하세요.^^ 인테리어 전문 교육기관에서... 실내건축기사 자격요건에 대해 궁금점을 가지고 있으셔서 도움을 드리고자 답변...

실내건축기사 자격 문의

... 답변 관련분야여야 하는데 희망하신 자격 자격실내건축기사이기 때문에 큐넷 사이트를 통해 응시자격 자가진단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불충족시 온라인 과정을...

실내건축 기사 자격 요건 질문 (병역특례)

... 혹시 실내건축 기사 자격이 될까요??? 그리고 이런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사이버평생교육원 박철현 플래너 입니다! 저는...

실내건축기사 응시 자격

안녕하세요~ 실내건축 기사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싶은데 3년제 관련학과 졸업에 총 이수 학점이 120점이면 응시 가능할까요? 실무경력 2년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내건축기사 응시자격

안녕하세요 실내건축기사 자격증 응시자격 관련입니다 관련학과 3년제 졸 후에 실무... 응시자격 확인은 아래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 응시자격...

실내건축기사 자격

4년제대학 신소재공학과 졸업생인데 실내건축기사 응시자격이 되나요? 관련학과가... 응시자격 여부 확인 바랍니다. 혹시나 응시자격이 안되신다면 학점은행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