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연예과

방송연예과

작성일 2023.11.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번주 부터 드라마 배우를 목표로 잡은 중3 남학생입니닺
연극 경험은 초5때 딱 한번뿐이고요..
그 뒤로 코로나 때매 아예 못했는데 갑자기 드라마를 보고 배우를 하고싶다는 마음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연극 학원 다니기는 제 지역에는 연극 학원이 없어요..그래서 유튜브로 독해하려해요
방송연예과 가려면 공부를 많이 잘해야 되나요?
방송연예과 가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될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방송연예과 #방송연예과 순위 #방송연예과 있는 대학 #방송연예과 진로 #방송연예과 입시 #방송연예과 나무위키 #방송연예과 고등학교 #방송연예과 실기 #방송연예과 선택과목 #방송연예과 얼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드라마나 영화 배우가 하고 싶다는 부분으로 방송연예과를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카메라 수업에 특화된 대학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고 해당 학과는 사실 연극영화과 에서 파생되어 나온 학과이기도 하다 봅니다.

연영과는 연극영화과의 줄인말이고 무대연기와 매체연기를 하는 연기자! 즉 배우를 말합니다. 방송연예과로 인지도 있는 방송연기과(방송연예과) 관련으로는 중앙대, 건국대, 숭실대, 동덕여대, 성신여대, 세종대... 대학등이 알려진 대학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대연기와 매체연기 수업에 차이는 조금 있지만 사실 그리 크지는 않습니다. 연기예술학과 / 방송연예과 / 연극영화과 / 연기과 / 영화과(연출제외)... 등 이름은 다르지 모두 비슷한 학과라 봐도 무방한 수준입니다. 실제로 입시학원에서도 이런 학과들 입시를 다르게 준비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자유연기 준비에서와 매체쪽이 강한 학교는 매체연기 대본/대사를 하기는 하고 모집요강에 학교별 특기를 보고 조금씩 차이가 생기기는 합니다.

방영과도 단편영화도 만들지만 그냥 다 공연준비해서 올리고 하기도 합니다. 연영과도 단편영화 만들고 합니다. 무대연기 영역이 조금 더 강하게 있는지 아닌지 여부라 봅니다. 사실 매체연기와 무대연기에 차이가 없다고 말하는 분들도 은근 많습니다. 또한 매체연기 하는 분들도 무대연기 배운것이 도움이 되기도 하며 매체연기와 무대연기에 차이는 없다고 말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어느정도는 맞는 말이라 생각하기도 합니다. 상황에 맞는 연기가 되어야 하니까요.

무대연기의 인기가 줄어들고 매체연기 위주로 많이들 생각하니 요즘 점점 비중이 커지는 느낌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전공자 이어야 하나? 이부분은 아닙니다. 물론 전공자가 더 좋기는 하겠지만 현장에 나가면 반반 수준으로 봅니다. 또한 예전에는 인지도 생기면 최종학력을 만들려고 특별전형/실기자전형 형식으로 많이들 들어가기도 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공부를 잘 해야하나? 부분에서는 당연히 잘하면 좋습니다. 상위대학이라면 지금 세상으로는 30%정도? 물론 학교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이정도 성적반영이 됩니다. 내신으로는 3등급 수준이 좋다고들 말합니다.

유튜브 보고 연습한다? 뭐 그것도 좋지만 독학이 참 어려운 부분입니다.

평소에도 항상 신경쓰면 좋은 것은~

1번 체중감량

2번 체력훈련 이거 정말 중요합니다.

3번 발음 연습

4번 유연성 운동

5번 대본 읽기 및 작품 많이보기

6번 대화시 상대방 아이컨텍과 경청하며 대화하기

.

.

.

이런 것들 하시면 좋습니다!

여러 부분에 있어서 혼자서만 해야한다면 해보셔도 좋다 봅니다. 독학은 하지 말라는 말도 있지만 제 생각은 이것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물론 독학의 단점이 존재합니다. 안좋은 습관이 생긴다는 것인데 전 그래도 하라고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런저런 핑계로 발만 쿵쿵 구르지 마시고 해보세요 물론 잘 해야합니다. 발음과 발성도 기본이고 대본분석이나 캐릭터 분석이나 등등 해보고 배우관련 카페나 유튜브등에 영상 올려서 피드백도 들어보시고 님도 스스로 보면서 뭐가 어색하고 어떤 부분이 미흡한지 판단하면서 하나하나 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아시는 것 처럼 연기는 스포츠 종목에서 일반적인 구기종목 처럼 혼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과 호흡하면서 해봐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연기학원이 어려운 분들은 스터디라도 만들어서 다양한 분들과 같이 하시기를 권면드립니다. 카페(우리연기할래) 등에 보셔도 학생 스터디방이 있습니다. 이런 곳등으로 알아보시고 같이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적당한 것이 없다면 님이 만들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배우 훈련은 처음에는 나를 알아가는 것이 시작으로 보이고 이후에 받아드리고 다시 만들어 가는 그런 모든 훈련이라봅니다. 자기.말투.움직임.습관등 자신의 색을 알아가는 작업을 하며 만들어 가기도 하고 만들어 지기도 한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연구하고

표현해보고

찍어보고

체크하고

다른분들 연기도 보고

여행도 가고

작품도 보고

다양한 경험도 쌓고

사랑도 해보고

이별도 해보고

.

.

.

다양한 감정을 훈련하는 것에서는 간접경험을 위한 감정연습을 위해서 하는 것들로...

-영화나 드라마 작품보기

-웹툰등 만화보기 (김남길 배우 표정연기 추천)

-다큐멘터리 보기 (하정우 배우 추천)

-콘서트/영화관/무대공연 보기 (최민식 배우 추천)

-책읽기

-여행다니기

​.

.

.

이렇게 보고 느끼고 습득해서 각자의 다양한 감정의 방을 만드는 노력을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훈련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라 봅니다.

다른분들 소견으로는

------------

도움이 될 만한 카페 추천 드립니다. 약 14만명 함께 정보를 나누는 카페입니다. 에서 "우리연기할래" 이렇게 검색하시면 카페가 바로가기로 나옵니다. 서로 다양한 정보를 나누는 곳이니 정말 많은 도움 될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악어연기학원입니다.

우선 ,독학은 절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연기는 혼자하게 되면 객관적으로 나를 봐주는 이가 없어

나의 잘못된 점을 파악하기 힘들고, 자칫 하여 나쁜습관들이

몸에 베어

나중에 나쁜 습관들을 빼는게 더 힘들고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됩니다.

보통 연극영화과/뮤지컬과에 진학할 때는

학교마다 조금씩 상이하지만

내신 비율이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성적관리도 하셔야

대학 진학에 있어서 성적때문에 떨어지는 일이 없답니다!

또한 실기부분에서는 단지 연기만 잘하는게 아닌

특기인 보컬,무용,몸의움직임, 질의응답,즉흥연기, 당일대사

자유연기 등등 준비해야 할 과목이 굉장히 많습니다

학교마다 조금씩 요구하는 사항들도 있고,

많은 정보와 빠르게 변화는 입시체계를 알고 준비하시려면

전문적인입시학원에 다니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현재 질문자님이 중3인 어린나이라 바로 입시준비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기 준비는 빠를수록 합격률이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악어연기학원에서는 현재 중2-고2 학생들을 위한

작품강화반이 마련되어져 있습니다.

기초적인것부터 대회출전까지 도와드리며, 대회출전은 수상목적이 아닌

무대경험위주로 내가 알지못했던 습관들까지 파악해줍니다.

저희악어연기학원 블로그에 있는 작품강화반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crocodileactors/223268519249

저희 악어연기학원에는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다니고 있으며

현재 신사지점/왕십리지점/노원지점/천안지점

4지점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1:1개별맞춤,세세한 멘탈케어

연기,특기인 보컬 ,무용,몸의 움직임, 걸음걸이 자세,

또 배우가 되기위한 인성까지 모든 가르침으로 지도하고있습니다.

더 궁금한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문의주세요

더 자세한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의 밝은내일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이상 악어연기학원이였습니다!!

중앙대 방송연예과는 국어,영어,사회...

방송연예과 반영 과목에 국어,영어,사회교과의 전과목이라고 나와있는데 국어,영어,사회만 반영한다는거에요? 2024 대입 기준 중앙대 교과전형 학생부 반영방법이니...

대학을 가서 방송연예과 가면 어떤거

대학을 가서 방송연예과 가면 어떤거 배우나요? 방송연예과가도 모델일 할 수 있나요? 방송연예과의 경우 보통 연극, 연기, 영화 등 전반적인 공연예술 및 방송에 대해 배우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