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식품위생법에서 총리령으로 위임하면 법규명령 아닌가요?

행정법) 식품위생법에서 총리령으로 위임하면 법규명령 아닌가요?

작성일 2023.06.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행정법을 공부하다 여쭙니다.
식품위생법에서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을 총리령으로 위임한다 했을 때 그 총리령에서 제재기준 등을 정했을 때 재판규범이 되질 못하다고 보았습니다.
그 전에 공부할 때 법이 총리령으로 위임하면 그건 법규명령이고 법규명령은 대외적 구속력이 있다고 보았는데 재판규범이 되지 못한다는 건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

행정규칙도 상위법과 결합해서 법규명령이 될 수 있지만 제제기준을 정하는 경우에는 대외적 구속력이 없다가 맞는 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식품위생법에서 총리령으로 위임하면 그 총리령은 법규명령이 됩니다. 그러나 법규명령이라 하더라도, 그 내용이 재판규범이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재판규범이 되기 위해서는 법규명령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하며, 법규명령의 범위 내에서 적용 가능한 법적 규제를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법규명령의 내용이 법원에서 검토 가능하도록 법적으로 구체적인 규정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총리령에서 제재기준 등을 정하는 경우에는 법규명령이지만, 그 내용이 재판규범이 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행정규칙도 상위법과 결합하여 법규명령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재기준을 정하는 경우에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제재기준이 법적 구속력을 갖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재기준을 정하는 경우에는 법적 근거가 있는 법규명령을 통해 구체적인 규제를 설정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행정법 문제) 시행규칙 대외적 구속력

... (재량준칙)-총리령 Ⅱ. 개별기준 3. 식품접객업 11. 44조... 상위법인 식품위생법 75조 5항의 위임규정에 근거하여 총리령형식(법규명령형식)으로 규정된 것입니다. 그런데...

행정법 질문 ㅜㅜ

... 부령은 법규명령이니까 행정규칙과 반대 아닌가요?... 상위법인 식품위생법 75조 5항의 위임규정에 근거하여 총리령형식(법규명령형식)으로 규정된 것입니다. 그런데...

행정법 국회규칙이 법규명령?

... 법원은 사법기관아닌가요? 왜 대법원규칙이나... 대통령령ㆍ총리령ㆍ부령 2) 국회규칙ㆍ대법원규칙ㆍ헌법재... 있으나, 행정법 학습서에는 법규명령으로 보고 있습니다....

행정법 법규명령형식 행정규칙

... 법규명령이라는 개념 속에 부령, 총리령, 대통령령 등이... 위에 제시된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의 행정처분기준'이 곧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과연 형식은 법규명령이나...

행정법 질문

... 행정법을 공부하다가 헷갈리는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식품위생법 75조 5항의 위임규정에 근거하여 총리령형... (이와 관련하여서는 아래 법규명령과 행정규칙 부분을...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9조는 집행명령인...

... 보건위생 증진을 위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식품운반업자 위의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9조는 집행명령인건가요? 집행명령,위임명령 모두 형식이 법규명령인...

행정법 질문

식품위생법 제36조 (시설기준) 은 행정규칙이고 총리령으로 정하는 시설기준~은 법규명령 아닌가요?? 근데 강의 중에 위임명령되어 총리가 행정규칙을 자유롭게 정한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