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시 INCOTERMS 관련 질문

수출입시 INCOTERMS 관련 질문

작성일 2023.08.1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회사 업무를 하다가 INCOTERMS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저희의 경우 해외 회사의 부품을 수리하는 업무를 주로 맡으며 EXW, FCA, DAP, DDP를 주로 사용합니다. 

1. incoterms 뒤에 붙는 국가나 도시 이름은 무엇을 뜻하나요? (ex: EXW Korea)

2. 독일과 수출입을 잦게 하는데, 유럽의 경우 통관 심사가 더욱 복잡하게 이뤄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Duty&Tax의 경우 수령하는 쪽이 부담하는데, 각각의 경우 어떠한 incoterm을 이용해야할까요?
KOR>GER(Duty&Tax Germany 부담), GER>KOR(Duty&Tax Korea 부담)

자세한 경우를 나눠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INCOTERMS 뒤에 붙는 국가나 도시 이름은 해당 거래 조건이 적용되는 장소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EXW Korea는 수출하는 국가가 한국이고, 판매자는 해당 장소에서 제품을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조건을 의미합니다.

2. 독일과의 수출입에서 통관 심사가 복잡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실입니다. Duty Tax의 부담은 INCOTERMS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KOR>GER(Duty Tax Germany 부담): 만약 판매자가 수출국인 한국에 위치하고, 구매자가 독일에 위치한 경우, DDP (Delivered Duty Paid) 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판매자는 수출과 통관 절차를 처리하고, 독일로 제품을 운송하며, 독일의 관세 및 세금을 부담합니다.

- GER>KOR(Duty Tax Korea 부담): 반대로, 판매자가 독일에 위치하고, 구매자가 한국에 위치한 경우, EXW (Ex Works) 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판매자는 제품을 한국으로 운송하기 전에 독일에서 제품을 구매자에게 전달합니다. 이후 통관 및 관세 부담은 구매자에게 있습니다.

위의 예시는 일반적인 경우이며,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실무적인 상황에서는 세관 및 무역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INCOTERMS 조건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1. incoterms 뒤에 붙는 국가나 도시 이름은 무엇을 뜻하나요? (ex: EXW Korea)

- INCOTERMS에서 국가나 도시 이름은 해당 거래 조건이 적용되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EXW Korea"는 한국에서 거래 조건인 EXW(출고 기준)이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 한국에 있는 판매자가 제품을 출고할 때까지의 책임을 지고, 구매자는 그 이후의 비용과 위험을 부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독일과 수출입을 잦게 하는데, 유럽의 경우 통관 심사가 더욱 복잡하게 이뤄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Duty&Tax의 경우 수령하는 쪽이 부담하는데, 각각의 경우 어떠한 incoterm을 이용해야할까요? KOR>GER(Duty&Tax Germany 부담), GER>KOR(Duty&Tax Korea 부담)

- KOR>GER의 경우, 독일로 수출시 통관 심사 등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므로, 구매자인 독일에서 Duty&Tax를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이 경우에는 DAP(해골 도착물가격)를 사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DAP는 판매자가 도맡고까지 제품을 운송하고 통관에 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판매자는 해골에 도착하는 비용을 포함하여 제품 가격을 책정하고, 구매자는 도착 후 발생하는 Duty&Tax를 부담하게 됩니다.

- GER>KOR의 경우, 한국으로 수입시에도 관세 및 세금 지불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에는 DDP(합의 된 도착물가격)을 사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DDP는 판매자가 상품을 목적지까지 배송하고 이에 따른 모든 비용과 관세, 세금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판매자가 모든 비용을 포함하여 판매 가격을 책정하고, 구매자는 추가 비용 없이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는 일반적인 케이스이며, 실제로는 협상에 따라 다른 incoterm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서로 합의하여 적합한 거래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

1. incoterms 뒤에 붙는 국가나 도시 이름은 무엇을 뜻하나요? (ex: EXW Korea)

CIF NewYork U.S. 미국 뉴욕항에서 운임 보험 포함 조건으로 선적 한다는조건을 말함

FOB Pusan Korea 한국 부산항에서 본선 인도조건 간단히 말해 부산항에서 선적 한다는말임 (운임 보험은 미포함)

EXW Korea 한국내 공장에서 인도 조건 이란 말입니다 공장에 와서 물건 직접 갖고 가라는말

2. 독일과 수출입을 잦게 하는데, 유럽의 경우 통관 심사가 더욱 복잡하게 이뤄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Duty&Tax의 경우 수령하는 쪽이 부담하는데, 각각의 경우 어떠한 incoterm을 이용해야할까요?

KOR>GER(Duty&Tax Germany 부담), GER>KOR(Duty&Tax Korea 부담)

질문하신 무역에는 Duty 란 용어는 사용 하지않습니다

면세점 업무관련용어 입니다

DUTY와 TAX의 차이

듀티(DUTY)와 택스(TAX)는 둘 다 세금을 의미하지만 해당되는 세금의종류가 다릅니다.

Duty는 Inbound

Tax 는 Outbound 의미

'Duty'라는 단어의 뜻이 '국내로들여오는 물품에 대한 세금', 즉 수입 관세의 의미로 해석DutyFree Shop은 관세와 소비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담배소비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는 면세점을 말합니다 반대로

Tax는 소비세(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를 말합니다Taxfree shop 은 소비세(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만 면제되는 곳입니다

DFS는 '세금이 보류된 매장'

듀티 프리 면세점은 전문적인 용어로 보세구역, 보세판매장이라고 한다. 과세가 보류됐다는 뜻이다. 일반적인 시내 면세점, 공항의 출국장 면세점 등이 다 여기에 해당.

듀티 프리 면세점은 출국할 때에만 이용할 수 있는데, 어차피 외국인들이 면세점에서 물건을 사서 외국으로 가져갈 것이기 때문에 세금을 뗐다 돌려주고 하는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기 위해 세금의 부과를 잠시 보류한 것이다.

내국인도 해외로 나가서 쓸 물건이라는 전제 하에 면세점 쇼핑을 허용하고 일정액 세금을 면제해 주고 있다. 물론 상당수 해외여행객이 쓰지 않고 그대로 가져 들어올 물건을 산다는 것이 제도의 맹점. 결론적으로 듀티 프리 면세점에서 물건을 샀다면 엄밀히 말해 면세된 물품을 산 게 아니라 과세가 보류된 물품을 산 것이다.

TAX Free 는 '세금을 돌려주는 매장'

반면 택스 프리 면세점은 세금이 붙은 물건을 구입한 후 출국장에서 세금을 돌려받는 면세점입니다 . 물품에 붙은 세금을 나중에 돌려받는다고 해서 '사후 면세점'이라고도 합니다

질문요지에 대한 답은

수출입시 나라마다 대부분 국가들은

FOB 는 대부분 수출일경우 사용하는 정형 거래 조건입니다 이때는 어느나라든 수출시는 세금은 면제 일반적인 VAT(부가가치세) 는

사후 환급 해줍니다

CIF는 대부분 수입조건이므로 이때는 관세 가 부과 됩니다

특정지역일경우 나 지리상문제가있는 곳은 달리 다른 적합한 조건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FOB CIF가 전세계 수출입 시 거래 조건으로 90%이상 사용합니다

참고로 현행 사용하는 정형 거래 조건 형식입니다

Deal of Conditions

(거래조건)

Delivery Conditions

(인도조건)

FCA

Free Carrier

내륙 FCA

(terrestrial delivery)

지정장소 운송인 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해상 FCA

(maritime delivery)

Same as above

FAS

Free Alongside Ship

지정선적항 선측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FOB

Free On Board

지정선적항 본선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CFR

Cost and Freight

지정목적항 운임포함 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지정목적항 운임 보험료 포함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CPT

Carriage Paid To

지정목적지 운임

지급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CIP

Carriage & Insurance Paid to

지정목적지운임보험료지급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CNI

Cost and Insurance

지정목적항 운임보험포함 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DAP

Delivered At Place

DAF/DES/DDU통합조건

지정장소 국경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매수인수입통관)

지정목적항 착선인도조건

DAT

Delivered at Terminal

지정목적항 부두인도조건

(매도인수출통관)

(매수인수입통관)

DTP

Delivered at Terminal Paid

지정목적지 관세지급인도조건

(매도인 수출및수입통관)

DPP

Delivered at Place Paid

Same as above

반출시 Incoterms 2020 명기 관련 질문...

... 자재반출(한국->인도): 계약자(Seller) [DDP, A site warehouse] Incoterms 2020 Q2. 질문드리는 이유는 Incoterms 2020 조건에서 운송의 왕복 조건이 발생할 때 Seller 와 Buyer의...

해외 수출입 관련 필요한 서류(베트남)

... 귀하의 경우, 베트남에서 제조하는 제품의 종류와 수량, 수출입 규모 등을 고려하여 , 적절한 절차와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질문 x 추가답변 x 많은 이해...

운송비 부담 관련 Incoterms 및...

... 근데 새로운 거래처가 생겼는데 다른 조건으로 운송이 되야 해서 질문 드립니다.... 우선 운송비 항목은 명시가 되면 안될테고, Incoterms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수출입금액 산출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 [수출입 원가 산출 방법]* INCOTERMS 조항 수출입 무역시 수출 또는 수입원가 산정시... [무역통계에 관련수출입 금액 산정] 우리나라의 수출입통계는 관세청...

무역법 incoterms에 대해 질문합니다.

... 무역법 공부중에 궁금한게 생겨 질문합니다. 인코텀즈같은 경우는 cisg와 같이... 다음 수출입시 거래은행으로 부터 제재를 받아 신용장 개설이 안됩니다 다른나라로 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