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 생산가능곡선, 포페이팅, 교역조건선 질문입니다

무역학 생산가능곡선, 포페이팅, 교역조건선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6.08.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생산가능 곡선 관련 질문인데 설문 3번하고 4번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3:한국은 Y재의 기회비용이 미국보다 낮아서 미국에 대해 Y재 비교우위를 갖는다
4:한국과 미국의 비교우위 재화에 특화하여 교역하는 경우, 양국의 소비점은 생산가능곡선보다 원점에서 먼 지점에서 형성된다.
특히 3번은 기회비용이 한국이 더 낮아서 맞는 설문아닌가요?

2. 포페이팅 문제인데 4번설문 아무리봐도 맞는 말 같아요.. 지급보증은행 필요성, 수입상이 발행하는 환어음 맞는거 같은데ㅠㅠ답은 1번입니다

3. 마지막 질문입니다! '관세가 수입상품에 부과되면 다른 수입상품의 '상대가격'이 하락하고 그에 따라 수출상품의 교역조건이 개선된다' 여기서 상대가격을 제가 잘 이해를 못하겠는데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3번 선택지. 생산가능곡선의 의미를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해당 문제의 생산가능 곡선에서 한국이 Y재에 모든 생산요소를 투입했을 때 Y재 12개를 생산 할 수 있고,

반면 미국은 Y재 36개를 생산할 수 있으니, 한국은 미국에 비해 Y재 생산에 따른 기회비용이 큰 것이지요.

한편 X재는 양국 모두 전 생산요소를 투입했을 때 동일하게 X재 24개를 생산할 수 있으니 한국은 X재, 미국은 Y재에 비교우위를 갖는 것입니다.

4번 선택지. 생산가능 곡선 그려보면 더욱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데...

그냥 상식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무역 전에는 당연히 미국이나 한국이나 생산가능 곡선 상에서. 그러니까 자국에서 생산한 만큼의 재화를 소비할 수 있겠죠? 하지만 비교우위재화에 특화하면 두 국가 모두 교역의 이익이 생길 것이고, 생산가능 곡선을 벗어난 점에서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4번 선택지는 그런 의미입니다.


2.

객관식 문제란 게 어쩔 수 없지요 .. 애매한 것이 나타나면 보다 명확하게 문제와 부합하는 선택지를 상대적으로 풀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포페이터가 인정하는 일류 기업이 아닌경우 은행의 지급보증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나,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고, 포페이팅이 무소구(無遡求) 조건 수출환어음 매입이라고 불리는 점을 봤을 때 포페이팅에 대해 가장 명확히 설명한 것은 1번 선택지입니다.


3.

상대가격이란 쉽게 말해서 수입재 가격에 비교했을 때의 수출재 가격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출재 가격/수입재 가격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말로는 (순상품)교역조건이라고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들고오신 문장 자체가 그렇게 매끄럽지 않은데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만약 국제 수요를 좌우할 정도의 대국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그 대국이 관세를 부과한다면, 대국의 해당 수입상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것이고, 그 수입상품의 국제가격은 하락할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가격, 즉 교역조건이 개선된다는 것이죠.

생산가능곡선, 포페이팅, 교역조건선...

... 생산가능 곡선 관련 질문인데 설문 3번하고 4번 이해가... 특화하여 교역하는 경우, 양국의 소비점은... 포페이팅 문제인데 4번설문 아무리봐도 맞는 말 같아요.....

생산가능곡선 교역 조건

... 그생산가능곡선 문제를 풀다 보니 교역조건이라는 것이 나오더군요.... 교역조건에 관한 질문은 끊임없이 등록되기 때문에 정형화된 답변을 하나...

경제학 생산가능곡선 질문 받아주세요!!

... 다른 나라와 비교우위 통한 교역으로 생산가능곡선 밖의 점을 소비, 즉 무역 이전의 생산 수준에 비해 더 많은 소비가 가능한 겁니다.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 즉 저기서 -y...

경제학 생산가능곡선 질문드립니다

... A,B가 교역하지 않을 경우 A는 고기에 150분, 감자에 330분 투입하여 생산 및 소비를 하고 B는 고기와 감자의 생산에 절반에 해당하는 시간을 투입하고 소비한다고...

맨큐의 경제학 9판 3장 응용문제...

교역관련 문제에서 부분특화를 하라는 말이 없으면... 말씀하신것처럼 생산가능곡선 및 소비가능곡선을 그려서 판단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질문에서...

사회 생산가능곡선 질문이요

... 통해 교환비율이 3:1임을 어떻게 알 수있나요? 갑 국 생산점이 (0,20) 인데 교역 후 소비점이 (15,15) 이니까 x재 15와 y재 5를 교환하였습니다. 그래서 15:5=3:1의 비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