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작성일 2022.05.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 문제 자세히 좀 알려주세요.. 초록색 밑줄그은 저 공식이 뭘 말하는거고 dQ/dP가 뭘말하는건지 왜 답이 30만원 인하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혹시나 아예 감을 못잡고 질문하시는거라면,

그...교재나 강의안에서 해당부분을 읽어보셔야합니다.

[공식의 도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느냐를 측정하는 한가지 척도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정의는, 수요량의 가격의 변화량의 백분율 대비 변화량의 백분율 입니다.

수식으로는

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Q는 수요량의 변화를 의미하고 △P는 가격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풀어서 얘기하자면 △Q는 (가격변화후 수요량 - 가격변화전 수요량), △P는 (바뀐가격 - 이전가격).

처럼 생각해 볼 수 가 있고요.

여기서 변화 정도를 아~~~~주 미세하게 잡아서 가격이 아~~~~주 약간 변화할때 변화하는 수요량의 정도, 다시말해 특정한 한 점에서의 탄력성(점탄력성이라고도 불림)을 측정하기위해 미분개념을 사용합니다.

dQ는 수요량의 변화 dP는 가격의 변화인데 d는 미분때 쓰는 기호죠.

백분율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숫자)/(전체 또는 기준) 의 방식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우리는 특정한 한 점 (P,Q) 에서의 탄력성에 관심이 있으니 각 변화량을 P와 Q로 나눠주면 각 백분율이 표현이 됩니다.

그 다음에는 뭐...간단한 수학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의미]

기업의 이윤은 총수익-총비용 입니다.

총수익 부분은 다시 판매가격X판매수량 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경제학에서 기업의 목표는 이윤의 극대화라고 가정을 합니다.

일단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서...총비용부분은 제껴두고, 총수익만 따져봅시다.

독점판매자(또는 가격을 조정할 수 있는 판매자)를 가정해봅시다.

수요의 법칙을 떠올려보면 가격과 수요량은 반대로 갑니다.

즉 독점판매자가 가격을 올리면, 수요량이 내려가고

가격을 내리면, 수요량이 올라갑니다.

그럼 총수익의 변화는 올라갈까요 줄어들까요?

답은 알 수 없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입니다.

여기서 가격탄력성개념이 등장합니다.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황이라면, 가격을 내리는게 총수익을 올려줄것입니다.

왜냐하면 가격을 조금 내리면, 그에 비해 수요량이 많이 올라갈것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이 가격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상황이라면, 가격을 올리는게 총수익을 올려줄것입니다.

왜냐하면 가격을 많이 올려도, 그에 비해 수요량이 적게 내려갈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가격탄력성이 (-)2 라고 생각해봅시다.

가격탄력성은 변화량의 백분율의 비율이었습니다.

(-)2 라는 의미는 가격이 1% 변할때 수요량은 2% 변하는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의 현재 가격이 100이고 판매량도 100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현재 총수익은 100X100 = 10000 입니다.

가격탄력성이 (-)2인 상황이라면...

가격을 약 1만큼 올릴때, 판매량은 약 2만큼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수익은 101X98 = 9898 이 되는거죠.

반대로, 가격을 약 1만큼 내리면, 판매량은 2만큼 올라간다는 거니까

수익은 99X102 = 10098 이 되는거죠.

가격탄력성이 0.5라면, 가격을 2만큼 변화시킬때 판매량은 1만큼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때는 가격을 올리는게 더 많은 수익을 주게 됩니다.

가격탄력성이 (-)1이라면 가격이 변화하는 비율과 판매량의 변화비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상태라는것이고,

이때는 가격을 올리든 내리든 수익의 변화가 없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가격탄력성이 (-)1보다 높으면 가격을 내리는게 더 많은 수익을 주고,

가격탄력성이 (-)1보다 낮으면 가격을 올리는게 더 많은 수익을 주게 됩니다.

가격탄력성은 가격을 내릴수록 점점 낮아지고, 올릴수록 점점 높아지게 되기때문에...

결국 가격탄력성이 (-)1이 될때까지 가격을 조정하는것이 최대수익을 가져다주게 됩니다.

[문제의 풀이]

수익의 극대화를 시키는 상황은 가격탄력성이 (-)1이되는 상황이라고 위에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럼 가격탄력성 수식을 다시 가져와보죠.

앞에 dQ/dP부분은 Q를 P에 대해 미분하시면 됩니다.

Q=200-2P 로 수요함수가 주어져있기 때문에 -2가 됩니다.

즉,

이므로, 2P=Q가 만족되어야 합니다. 이걸 수요함수에 대입해서 계산해보면 P=50, Q=100이 나옵니다.

현재가격이 80이므로 가격을 30 낮춰야 하겠죠.

[팁(?)]

선형의 수요함수가 주어져있을 경우, 가격탄력성이 (-)1이 되는 부분은 언제나 선분의 정중앙점입니다.

Q=200-2P 이면 x절편 200, y절편 100이고 위의 과정이 없이 그냥 x=100, y=50 일때 가격탄력성이 (-)1이 됩니다.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균형가격...

... 상한가격을 설정한다고 하면 공급부족의 크기는 어떻게 되나요... 미시경제학 처음 배우는데 너무 어렵습니다 도와주세요 1. 지금 문제는 두 점 사이의 탄력성...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 (1)가격 탄력성 = delta Q / delta P P = -1/aQ + K/a로 정리해 보면 P와 Q coordinates 상에서 linear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slope는 불변이죠? 고등학교 때 배웠듯이 그럼...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관련 질문입니다.

... 수요의 교차가격탄력성은 얼마인가? b. 가격 P가 2$로 상승했다고 하자.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얼마인가? 수요의 교차가격탄력성은 얼마인가? 2. 아래표는 인스턴트...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기울기 계산 질문

... 탄력성을 구할 땐 기울기의 역수을 이용해야 되는데 왜 -2를 그대로 대입하는지 궁금해서요 Qd=70-2p의 기울기가 -2가 아니라 -0.5인가요? 제발 알려주세요ㅜㅜ P= a + bQ...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문제 좀 봐주세요

문제 ) 어떤 재화의 수요함수가 P=0.1q^2 ㅡ 4q + 60 으로 주어져 있다면 q=10 일때 수요의 의 가격탄력성은? ( ^2 -----> 제곱입니다. ) 해설) q=10 일때 P=30 이고, dP/dq = 0.2q...

미시경제학 가격탄력성

... 가격이 상승할 수록 가격탄력성은 커지고 가격이 하락할수록 가격탄력성은 작아진다는것은 알겠는데 왜 그러한 결과가 나오는지는 모르겠네요;;; 탄력성 공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