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능력지수 cpk계산 질문

공정능력지수 cpk계산 질문

작성일 2023.07.1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상한규격은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 cpk계산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예를 들자면 0.12이상만 나오면 기준내 적합으로 판단하는 상황입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상한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에는 CpK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CpK는 공정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한규격과 최소 규격 모두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지수입니다.

만약 상한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에는 다른 지수를 사용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p 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p 지수는 공정의 분산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지수로, 상한규격이 없는 경우에 적합한 지수입니다.

Pp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p = (USL - LSL) / (6 * 표준편차)

여기서, USL은 최소 규격, LSL은 최소 규격, 표준편차는 공정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p 값이 1보다 크면 공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p 값이 0.12 이상이면 기준 내 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상한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에는 CpK 대신 Pp 지수를 사용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상한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에는 CpK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CpK는 공정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한규격과 최소 규격을 모두 고려하는 지수입니다. 상한규격이 없는 경우에는 CpK를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상한규격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Pp 지수를 사용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Pp는 공정의 분산을 고려하여 계산되는 지수로, 최소 규격과 데이터의 분산을 비교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합니다.

Pp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Pp = (최대값 - 최소값) / (6 * 표준편차)

Pp가 1보다 크면 공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p는 최소 규격만 고려하기 때문에, 공정의 불량률이 최소 규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적합한 공정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규격을 초과하는 불량률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불량률을 고려하여 공정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불량률 지수인 DPMO (Defects Per Million Opportunitie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PMO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수를 기준으로 공정의 능력을 평가합니다. DPM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PMO = (불량의 수 / 총 기회 수) * 1,000,000

DPMO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공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공정의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인포마마입니다.

상한 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 공정 능력 지수 (CPK)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정의 평균을 구합니다.

2. 공정의 표준 편차를 구합니다.

3. 최소 규격을 공정의 평균에서 뺍니다.

4. 결과값을 공정의 표준 편차로 나눕니다.

5. 결과값이 1보다 크면 공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공정의 평균이 0.15이고 표준 편차가 0.05인 경우, 최소 규격을 공정의 평균에서 뺍니다. 결과값은 0.10입니다. 0.10을 공정의 표준 편차로 나누면 2입니다. 따라서 공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CPK는 공정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CPK가 높을수록 공정이 더 안정적이고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공정능력지수 cpk계산 질문

... CpK공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한규격과 최소 규격 모두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지수입니다. 만약 상한규격이 없고 최소 규격만 있는 경우에는 다른 지수를...

공정지수 Cpk의 불량율 계산방법이

... 002 인데 어떻게 계산되는것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ㅜㅜ 인천 중소벤처기업부 비지니스지원단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간략히 답변드립니다 1. CPk(공정능력지수) CPk...

CPK(공정능력지수)계산 부탁드립니다!

... 공정능력지수계산해야하는데 제가 수학을 잘 못해서요. 아래... Cpk = Min ( USL – 평균, 평균– LSL) 3 * s(sigma), 3 * s(sigma) USL=1.05 LSL=0.95 PROCESS MEAN...

공정능력지수(cpk)에 대해서

공정능력지수 cp와 cpk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cpk변환 파일이 있으시면... (Cpk, Cp, Ppk, Pp)에 대해 문의하셨나요? (질문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저도 이 문제로...

공정능력지수 Cpk질문입니다.

... 나와이써서 질문 올립니다.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방법은 Z값을 활용한 시그마수준과 Cp,Cpk를 활용하는... 정도를 공정능력지수에 반영하기 위해 주어진 양측규격한계...

Cpk, Cp (공정능력지수) 구하는 질문입...

... 문의하신 Cpk, Cp (공정능력지수) 구하는 질문에 대하여 답변드립니다. 우선 글로써 답변을 드립니다. ■ 공정능력지수의 개념 공정능력(Process capability) 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