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전기제품의 KC인증 문의.

산업용 전기제품의 KC인증 문의.

작성일 2018.08.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사에서 생산 예정중인 산업용 전기제품의 KC 인증에 대해 문의합니다.

일단 자사제품은 기존에 비슷한 제품이 없는 분야입니다.

제품은 
폴리카보네이트(PC) 가공시 생기는 백화현상(뿌옇게 되는 현상)을 
기계내부에서 화학용제를 기화시켜 도포하여 투명하게 해주는 제품으로
기존에는 없는 제품이라보니 카테고리를 찾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제품크기는 15*30*14.5mm이며
220V를 기계에 연결하여 내부에서 24V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제품이며,
주 사용처는 아크릴/PC 가공업체나 부품가공업체(CNC등)를 타켓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일반 생활용품이 아닌데 인증(KC인증, 전기안전인증)을 받아야하는지?
2. 받아야한다면 KC인증을 어디서 어떤 제품군으로 받아야 하는지?
3. 인증비용과 인증기간을 알고 싶습니다.
4. 인증받는 기간동안 판매를 해도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5. 만일 인증받는제품과 모양이 조금 바뀌면 다시 인증을 받아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인증컨설턴트 디케이디에스 (DKDS) 입니다.

문의 주신 내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해당 제품에 대한 정확한 기능 및 용도를 확인해야 정확한 안내를 들일 수 있으나,
작성해 주신 내용을 토대로 문의 주신 내용에 답변드립니다.

1. 일반 생활용품이 아닌데 인증(KC인증, 전기안전인증)을 받아야하는지?
A.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제품도 회로 등으로 구성된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2. 받아야한다면 KC인증을 어디서 어떤 제품군으로 받아야 하는지?
A. 정확한 제품군 확인을 위해서는 제품의 구성, 용도 등을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단, 해당 제품의 내부에 모터, PCB 등이 있다면 제품군과 상관 없이 
   적합성평가는 반드시 받으셔야 합니다.

3. 인증비용과 인증기간을 알고 싶습니다.
A. 해당 제품은 AC 220 V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전기용품 및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다만,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 확인이 어려워 전기용품에 대해서는 대상 여부를 안내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합성평가에 대해서만 기간 및 비용 안내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메일 주소를 알려주시면 해당 제품에 대한 기간 및 비용 안내드리겠습니다.

4. 인증받는 기간동안 판매를 해도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A. 인증을 받는 기간에는 판매를 하실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용품과 적합성평가를 2개 모두 받는 경우 약 2개월의 시간이 소요되고
    적합성평가만 받는 경우 2 주 정도가 소요 됩니다.
    제조와 동시에 빠른 판매를 하고자 하시는 경우 제품을 제조하시면서 인증 진행도 동시에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5. 만일 인증받는제품과 모양이 조금 바뀌면 다시 인증을 받아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A. 내부 구조, 부품 변경 없이 단순 외형만 변경된 경우 별도로 인증을 받지 않으셔도 됩니다.
    파생모델 추가를 통해 진행 가능하십니다.

상기 내용과 관련해 상세한 내용은
저희 네임카드의 메일로 연락주시면
상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산업기계 KC 인증전기 안전 문의

요즘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 보면 중국 전기 상품들이 KC 인증 없이 마구잡이로... 안녕하세요 ISC 인증원입니다 산업용 제품들도 KC인증의 전자파 인증은 받아야 하며...

전기제품 KC인증 관하여 CE인증 문의...

... 안녕하세요 ISC 인증원입니다 전기안전인증의 경우 일부 주요 부품은 KC 또는 CB가 있어야 하지만 완제품의 경우 CB인증이 없어도 KC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매트 KC인증 관련 질문

... 한국 제조 공장에서 KC인증을 받으려 하는데 조절기를... 문의하신 부분 관련하여 하기와 같이 정리드립니다. 1. 해당제품의 경우 전기안전/ 전자파 인증대상입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