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포트폴리오 이론 관련 질문입니다ㅜㅜ

재무관리 포트폴리오 이론 관련 질문입니다ㅜㅜ

작성일 2024.05.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재무관리 수업 내용 중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두 위험자산의 상관계수가 -1이면, 두 자산으로 구성된 무위험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나요?

이게 아무리봐도 틀린 답인 것 같은데 이유가 뭔가요?


#재무관리 포트폴리오 #재무관리 포트폴리오 이론 #재무관리 포트폴리오 효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상관계수가 -1인 두 자산으로 무위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는 내용은 일반적으로 봤는 때는 참입니다.

하지만 항상 맞는 것은 아니며,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상관계수는 두 자산의 가격 움직임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상관계수가 -1이라는 것은 두 자산이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적절한 비율로 두 자산을 조합하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0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포트폴리오는 무위험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무위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조건이 있습니다

  1. 1) 상관계수 -1: 두 자산의 상관계수가 -1이어야 합니다.

  2. 2) 양의 자산 비중: 두 자산의 비중이 모두 양수이어야 합니다. 즉, 한 자산을 팔아서 다른 자산을 사는 식의 레버리지 없이 두 자산을 모두 보유해야 합니다.

  3. 3) 변동성: 두 자산의 변동성(표준편차)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합니다.

아래는 상관계수가 -1일 때도 무위험 포트폴리오가 아닐 수 있는 이유들입니다

  1. 현실적 제약: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 상관계수가 정확히 -1인 자산을 찾기 어렵습니다. 시장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어 상관계수가 완벽하게 -1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변동성의 불균형: 두 자산의 변동성이 크게 다르면, 적절한 비율로 조합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3. 거래 비용: 실제로 자산을 거래하는 데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비용은 이론적인 무위험 포트폴리오를 실현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재무관리 포트폴리오 이론 관련 질문이...

다음중 포트폴리오 이론에 대한 설병으로 옳은 것은? 1. 무위험자산과 위험자산의 수익률의 상관계수는 -1이다. 2. 보통 시장에 존재하는 위험자산들의 수익률의 상관계수는...

위험 관련 문제 질문드립니다 ㅜㅜ

재무관리 교과서에 있는 연습문제인데 답이 안적혀있어서 곤란하네요 ㅜㅜ... 풀이과정과 함께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표준편차 30%, 기대수익률 18%의 포트폴리오를...

재무관리 질문이요 급해용! ㅜㅜ(내공!!)

재무관리 관련 질문인데요!! 만약에 회사가 100억을 빌려야... ㅡㅜㅜ 회가사 100억을 빌리는 방법이요!! 어떤 방법이... 단, 파산비용이론에 따르면 부채가 많은 상황에선...

안전 관련 공기업 질문드립니다.

... 있을까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공기업... ㅜㅜ!! https://blog.naver.com/lovemy5737/222023594991 공기업 사무직... 간단히 말해서 모듈형은 이론을 알면 쉽게 풀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