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적립자산의 이자수익 인식

사외적립자산의 이자수익 인식

작성일 2023.12.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외적립자산의 이자수익이 왜 7,467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밑에 식이 작게 풀이된 부분에서 2/12와 1/12는 어떻게 나온것이고 -2,000+70,000이 왜 나온것인지 알려주세요
제발 설명해주세요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외적립자산 내역을 보면

기초 88000

9/30 2000 감소

12/1 70000 증가

여기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는데 결과는 같아요.

1번 방법은 계정 잔액의 유지기간을 따지는 방법(교재의 방법)

기초~9/30 직전까지 잔액은 88000 -> 9개월 유지

10/1~11/30까지 잔액은 88000-감소2000=86000 -> 2개월 유지

12/1~기말 잔액은 86000+증가70000=156000 -> 1개월 유지

그러면 (88000x9개월 유지+86000x2개월 유지+156000x1개월 유지)/총 12개월 = 월평균 잔액이 됩니다.

여기에 이자율을 곱해요.

2번 방법은 계정 기초/증/감액 각각의 기말까지 남은 기간을 따지는 방법

기초 88000은 기초부터 있었으니 기말까지 12개월 남음

감소 2000은 9/30에 발생했으니 기말까지 3개월 남음

증가 70000은 12/1에 발생했으니 기말까지 1개월 남음

그러면 (88000x12개월-2000x3개월+70000x1개월)/총 12개월 = 월평균 잔액이 됩니다.

여기에 이자율을 곱해요.

결과는 같으니 둘 중에 본인이 이해가 더 잘 가는 방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사외적립자산의 기대수익이...

... 관점에서 수익의 반대는 비용이므로, 비용의 차감은 수익과 같죠. 따라서 사외적립자산으로 인해 기대되는 이자수익을 퇴직급여(비용)의 차감으로 회계처리한다는 뜻입니다.

사외적립자산의 기대수익 인식(재무회계)

... 대변에 어떤 이름으로 오든지간에 순확정급여부채 또는 자산에 대한 순이자사외적립자산에 대한 부분이 비용의 차감 혹은 수익으로 인식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사외적립자산. 확정급여채무

사외적립자산과 확정급여채무에 재측정요소가 있는데요, 어떤경우에 손실과 수익으로 인식하나요? 예를들어 전... 이자비용증가가 부채의 증가임을 생각해보시면 비용항목...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순퇴직급여 구할때 사외적립자산에 대한 이자수익을 차감하는 이유가 뭔가요? 퇴직연금운용자산(싸외적립자산)에서 발생한 이자만큼 퇴직급여불입액이...

회계질문입니다

여기서 01년도 사외적립자산의 이자수익과 확장급여채무의... 6월까지 인식하는거 같고 이자수입도마찬가지일텐데 그럼 문제서 01년 6월30일 현금 90000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