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차손 의미

손상차손 의미

작성일 2022.03.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손상차손은 공정가치를 구해 장부가액이 공정가치보다 높을때 그만큼을 손실로 인식하는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역설적이게도 손상차손의 핵심은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자산의 장부가액이 회수가능액보다 많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것이라고 하네요 다시 말해서 장부가액이 공정가치보다 높을때 그만큼을 손실로 인정하는게 손상차손인데 손상차손의 핵심은 장부가액이 공정가치보다 높지 않게 표시하라는 의미로 이해가 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손상차손 의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회계는 보수주의에 입각해 회계처리를 하기 때문에 자산은 가능한 적게 부채는 가능한 많이 인식해서 투자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장부금액 이상으로 올라가는 금액은 인식하지 않고 내려가는 손상의 금액은 인식합니다.

손상차손, 손실충당금 계정의 의미

손상차손, 손실충당금 계정의 의미가 와닿지가 않습니다. 기업은 처음부터 손실에 대한 대비로 손실충당금 계정에 일정 금액을 넣어두나요? 그리고 손상차손(손실)이 발생하면...

손상차손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손실충당금이랑 손상차손의 계정과목이 혼동됩니다. 손실충당금은 손실될것을... 2,000이라는 의미입니다. 현재가치할인차금으로 표시하는 계정이 있고 본계정에 직접...

손상차손, 공정가치 평가

... 손상이 + 란 말은 손상차손이 환입됬다는 의미입니다. 2. 처분손실은 공정가치와는 별도로 거래금액이 장부가(공정가치)보다 낮을 경우입니다. 1.2의 예를 설명 드리자면...

금융 자산의 손상차손

금융 자산의 손상과 관련된 기업 회계의 규정 상각후 원가를 장부 금액으로 하는... 따라서, 유효이자율이 매기간마다 변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만약 최초 유효 이자율이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