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세무2급 종합원가계산 공손 검사시점

전산세무2급 종합원가계산 공손 검사시점

작성일 2021.09.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합격수량이 왜 이렇게 나오는지 이해가 안가요 ㅠㅠㅜ



#전산세무2급 종합원가계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질문해 주신 문제를 T 계정으로 옮겨 그려줍니다.

T 계정의 차변의 합(기초재공품 + 당기착수량)과 대변의 합(당기완성량 + 기말재공품 + 공손수량)은 같으므로

주어진 수량을 T 계정에 넣으면 총 공손수량 200개를 구할 수 있습니다.

총 공손수량은 정상공손수량 + 비정상공손수량인데

문제에서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의 10%에 해당하는 공손 수량은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고 하였으므로

각 요구 사항 별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을 구해줍니다.

당기완성량 1,000개는 기초재공품 400개로 먼저 구성되고 난 다음 당기착수량 600개로 구성되었을 것이고

기초재공품은 기초에 이미 25% 완성이 되어있었으므로 당기에 25% ~ 100%만큼 완성하였을 것입니다.

당기착수량은 당기에 착수가 시작되었으므로 0% ~ 100%만큼 완성하였을 것입니다.

기말재공품은 당기에 착수가 시작되었으나 기말 완성률이 75%이므로 0% ~ 75%만큼 완성하였을 것입니다.

요구 사항(1) 을 확인해 보면 공정의 20% 때에 검사한 경우

기초재공품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전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 아니고

당기착수량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고

기말재공품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입니다.

따라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은 600개 + 800개 = 1,400개입니다.

정상공손수량은 합격품의 10%이므로 140개입니다.

비정상공손수량은 총 공손수량(200개)에서 정상공손수량(140개)을 뺀 60개입니다.

요구 사항(2) 을 확인해 보면 공정의 60% 때에 검사한 경우

기초재공품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고

당기착수량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고

기말재공품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입니다.

따라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은 400개 + 600개 + 800개 = 1,800개입니다.

정상공손수량은 합격품의 10%이므로 180개입니다.

비정상공손수량은 총 공손수량(200개)에서 정상공손수량(180개)을 뺀 20개입니다.

요구 사항(3) 을 확인해 보면 공정의 80% 때에 검사한 경우

기초재공품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고

당기착수량이 당기완성품이 된 것은 당기에 검사를 받아 합격한 것이어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고

기말재공품은 당기에 검사를 받지 아니하였으므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이 아닙니다.

따라서 당기 품질검사에 합격한 수량은 400개 + 600개 = 1,000개입니다.

정상공손수량은 합격품의 10%이므로 100개입니다.

비정상공손수량은 총 공손수량(200개)에서 정상공손수량(100개)을 뺀 100개입니다.

전산세무 2급 종합원가계산

... 매출원가수량이 90,000단위 기초제품+완성품(제조원가)-기말재품=매출원가 15,000+( )-20,000=90,000 그러므로 완성품수량이 95,000단위 완성품 환산량은? 95,000+(10...

개별원가계산 전산세무2급

... (아래자료 참고) ~-제품과 기말재공품원가가 기말에 완성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종합원가계산과 같은 기말재공품의 평가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