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INSERT INTO `kin_4_40402` (subject, seo_subject, content, page, description, og_image, time) VALUES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EB%84%88%EB%AC%B4+%EA%B8%89%ED%95%B4%EC%84%9C+%EC%A7%88%EB%AC%B8%EB%93%9C%EB%A6%BD%EB%8B%88%EB%8B%A4', '
\n \n \n

1.()나무는 20X1 4 1일에 장부금액 \\300,000인 토지를 매각하면서 20X4 3 31일에 \\500,000을 수령하기로 하였다. 20X1 4 1일 시장이자율이 10%라고 할 때, ()나무가 20X1년에 인식할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얼마인가? , ()나무의 결산일은 매년 12 31일이고 10%, 3기간 현재가치계수는 0.75131 이다.

\n

  \\65,655

\n

  \\75,655

\n

  \\85,655

\n

  \\115,655

\n

 

\n

2. 12월 결산법인인 ()강원은 액면금액 \\1,000,000, 액면이자율 5%, 만기 20X3 12 31, 이자지급일 매년 말인 사채를 20X1 4 1일에 발행하였다. 이 사채의 권면발행일은 20X1 1 1일이다. 사채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은 10%. 10% 1원의 3기간 단일현가계수는 0.7513이고, 10% 1원의 3기간 연금현가계수는 2.4686이다. ()다빈이 사채와 관련하여 만기까지 인식할 이자비용 총액은 얼마인가?

\n

  \\239.969

\n

  \\252,445

\n

  \\252,469

\n

  \\261,836

\n

 

\n

3. ()강원은 20X1 7 1일 기계장치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5, 잔존가치는 \\10,000이고 연수합계법으로 상각된다. ()강원은 20X3 1 1일 동 기계장치에 대하여 상각방법을 정액법, 잔존가치는 \\5,000, 내용연수는 4년으로 각각 변경하였다. ()강원의 회계기간은 1 1일부터 12 31일까지다. 이러한 회계변경으로 인한 ()다빈의 20X4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인가? (, 법인세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n

  \\4,250 증가

\n

  \\4,750 증가

\n

  \\6,250 증가

\n

  \\7,750 증가

\n

 

\n

4. ()강원은 2X13 1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0원의 3년 만기 사채를 950,258원에 발행하였다. 이자지급일은 매년 12 31일이며 발행 당시 유효이자율은 10%. 사채 전부를 2X14 1 1일에 970,000원에 조기상환하였다. 2X14 1 1일 인식해야 할 조기상환손익은 얼마인가?

\n

  사채상환이익 \\3,979

\n

  사채상환손실 \\3,979

\n

  사채상환이익 \\4,716

\n

  사채상환손실 \\4,716

\n

 

\n

5.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특성 중 간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n

  매출채권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발생주의 매출액이 현금주의 매출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n

  매입채무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매입하고도 지급하지 않은 금액이 신용매입한 금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n

  감가상각비는 당기순이익을 결정하기 위한 비용이지만 현금의 유출이 없으므로 다시 가산해준다.

\n

  당기순이익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산의 증가는 가산하고 부채의 증가는 차감한다.

\n

 

\n

6. 다음은 ()강원의 2X14년 회계자료다.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얼마인가? ,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이자비용은 영업활동으로, 배당금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n

-----------------------------

\n

 *종업원 급여 (2,000,000)

\n

 *매출채권 회수 27,000,000

\n

 *기계장치 처분 9,000,000

\n

 *현금배당 (20,000,000)

\n

 *토지구입 (90,000,000)

\n

 *장기투자자산 처분 60,000,000

\n

 *장기차입금 차입 28,000,000

\n

 *유상증자 30,000,000

\n

 *이자비용 지급 (1,000,000)

\n

 *사채상환 (25,000,000)

\n

-----------------------------

\n

  \\13,000,000 / (\\22,000,000)

\n

  \\22,000,000 / \\22,000,000

\n

  (\\21,000,000) / \\13,000,000

\n

  \\5,000,000 / (\\13,000,000)

\n

 

\n

7. D사는 두 개의 제조부문 A, B와 두 개의 보조부문 S1, S2를 두고 있다. 당년도 6월 중에 각 보조부문에서 생산한 보조용역의 사용원가율은 다음과 같았다.

\n

-----------------------------------

\n

 *보조용역 사용부문       S1  S2   A    B

\n

 *보조용역 제공부문 S1   0   0.2  0.4  0.4

\n

S20.4 0 0.2 0.4

\n

 -----------------------------------

\n

S1부문과 S2부문에서 당월에 발생한 변동원가는 각각 \\38,000 \\200,000이었다. D사는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에 단계배분법을 사용하며 S2부문부터 배분한다. 제조부문 A에 배분해야하는 보조부문 총변동원가는 얼마인가?

\n

  \\140,000

\n

  \\200,000

\n

  \\270,000

\n

  \\220,000

\n

 

\n

8.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n

  도입초기에 활동을 분석하고 활동중심점별로 원가동인을 결정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나,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비용이 많이 지출되지 않는다.

\n

  비부가가치 활동은 제거하고 부가가치활동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통제할 수 있다.

\n

  활동기준으로 원가계산을 수행하므로 제품구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신축적으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n

  원가계산을 위하여 실제로 수행된 활동과 원가동인을 측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하면 업무실적과 성과평가의 인과관계가 명확해지고 피평가자가 평가결과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n

 

\n

9. ()세종은 단일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는 고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여 기말재공품의 평가는 평균법을 사용한다, 당기원가계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n

--------------------------------

\n

기초재공품       수량          400

\n

                       재료원가    \\150,000

\n

                       가공원가    \\140,000

\n

                       완성도       30%

\n

당기완성량                        2,300

\n

공손수량 200

\n

기말재공품       수량          500

\n

                        완성도      60%

\n

당기발생원가    착수량       2,600

\n

                        재료원가   \\600,000

\n

                        가공원가   \\400,000

\n

--------------------------------

\n

품질검사를 합격한 수량의 5%에 해당하는 공손수량은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검사는 공정의 50%, 완성시점에서 이루어진다. 완성품에 배분되는 정산공손원가는 얼마인가?

\n

  \\49,000

\n

  \\48,250

\n

  \\45,000

\n

  \\40,250

\n

 

\n

10. ()희망은 하나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동일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조과정의 전공정을 통하여 20%의 감손이 발생하며, 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고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평균법에 의할 경우 완성품의 단위당 원가는 얼마인가?

\n

----------------------------------------------------

\n

                        수량(리터)           완성도

\n

기초재공품 2,820 ?

\n

 당기착수           12,000

\n

 당기완성            8,000

\n

기말재공품 4,600 40%

\n

 

\n

                         재료원가             가공원가            합계

\n

기초재공품\\80,000\\160,000 \\240,000

\n

당기발생액\\670,000\\800,000 \\1,470,000

\n

\\1,710,000

\n

-----------------------------------------------------

\n

  162.5

\n

  160

\n

  145.4

\n

  130

\n

 

\n

11. 표준원가계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n

  표준원가계산은 원가차이를 배분하기 전에는 원가흐름의 가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n

  표준원가를 사용해서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회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업무가 간소화되고 신속해진다.

\n

  표준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정상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과 같이 실제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n

  표준원가를 설정하면 예산을 수립할 때 간편하다.

\n

 

\n

12. 갑기업과 을기업은 판매비가 거의 필요 없는 유사한 제품을 생산한다. 갑기업이 직접(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을기업은 전부원가계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조건이 같다면 다음 사항 중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어떤 것인가?

\n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n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n

  생산량이나 판매량과 관계없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n

  생산량이 판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n

 

\n

13. 부가세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n

  매출채권이 법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대손되어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손세액을 그 대손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매출세액에서 뺄 수 있다.

\n

  일반과세자 중 법인은 전자세금계산서를 의무발급해야 하며, 발급하지 않은 경우 가산세가 부과된다.

\n

  거래처별로 1역월의 공급가액을 합하여 해당 월의 다음달 10일까지 합계액에 의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n

  영세율이 적용되는 모든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해서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된다.

\n

 

\n

14.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거은?

\n

  건축물이 있는 토지를 취득하여 건축물을 철거하고 토지만을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취득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불공제한다,

\n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자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아니하면 공급받는 자가 관할세무서장의 확인을 받아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n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제조·가공한 재화 도는 창출한 용역이 과세대상인 경우에만 의제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n

  세금계산서에 의하여 확인되는 매입세액만 공제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로부터 신용카드매출전표를 발급받은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n

 

\n

15. 부가가치세 차가감 납부세액 및 납세절차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n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전송에 대한 세액공제는 개인사업자에 한하여 적용된다.

\n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제출불성실가산세가 적용된다.

\n

  개인사업자는 예정시고기간마다 관할세무서장이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에 50%를 곱한 금액을 결정하여 고지한 세액(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한다.

\n

 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영세율을 적용받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조기환급기간의 환급세액을 조기환급한다.

\n

 

\n

16. 간이과세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n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업종별 부가가치율과 세율을 곱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하다.

\n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개인사업자는 최초의 과세기간에 있어서는 무조건 간이과세자로 한다.

\n

  간이과세자는 간이과세 포기신고를 함으로써 간이과세를 포기하고 일반과세자로 전환할 수 있다.

\n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2,4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n


\n

너무 급해서 1:1 질문드립니다ㅠㅠ 질문이 많지만 답변 좀 부탁드려요♡

\n


\n \n\n \n \n \n \n\n \n \n\n \n \n \n
', '4_40402_239576749', ' 1.(주)나무는 20X1년 4월 1일에 장부금액 \\300,000인 토지를 매각하면서 20X4년 3월 31일에 \\500,000을 수령하기로 하였다. 20X1년 4월 1일 시장이자율이 10%라고 할 때, (주)나무가 20X1년에 인식할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얼마인가? 단, (주)나무의 결산일은 매년 12월 31일이고 10%, 3기간 현재가치계수는 0.75131 이다.  ① \\65,655  ② \\75,655  ③ \\85,655  ④ \\115,655   2. 12월 결산법인인 (주)강원은 액면금액 \\1,000,000, 액면이자율 5%, 만기 20X3년 12월 31일, 이자지급일 매년 말인 사채를 20X1년 4월 1일에 발행하였다. 이 사채의 권면발행일은 20X1년 1월 1일이다. 사채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은 10%다. 10%의 1원의 3기간 단일현가계수는 0.7513이고, 10%의 1원의 3기간 연금현가계수는 2.4686이다. (주)다빈이 사채와 관련하여 만기까지 인식할 이자비용 총액은 얼마인가?  ① \\239.969  ② \\252,445  ③ \\252,469  ④ \\261,836   3. (주)강원은 20X1년 7월 1일 기계장치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10,000이고 연수합계법으로 상각된다. (주)강원은 20X3년 1월 1일 동 기계장치에 대하여 상각방법을 정액법, 잔존가치는 \\5,000, 내용연수는 4년으로 각각 변경하였다. (주)강원의 회계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 이러한 회계변경으로 인한 (주)다빈의 20X4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인가? (단, 법인세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① \\4,250 증가  ② \\4,750 증가  ③ \\6,250 증가  ④ \\7,750 증가   4. (주)강원은 2X13년 1월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0원의 3년 만기 사채를 950,258원에 발행하였다. 이자지급일은 매년 12월 31일이며 발행 당시 유효이자율은 10%다. 사채 전부를 2X14년 1월 1일에 970,000원에 조기상환하였다. 2X14년 1월 1일 인식해야 할 조기상환손익은 얼마인가?  ① 사채상환이익 \\3,979  ② 사채상환손실 \\3,979  ③ 사채상환이익 \\4,716  ④ 사채상환손실 \\4,716   5.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특성 중 간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매출채권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발생주의 매출액이 현금주의 매출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② 매입채무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매입하고도 지급하지 않은 금액이 신용매입한 금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③ 감가상각비는 당기순이익을 결정하기 위한 비용이지만 현금의 유출이 없으므로 다시 가산해준다.  ④ 당기순이익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산의 증가는 가산하고 부채의 증가는 차감한다.   6. 다음은 (주)강원의 2X14년 회계자료다.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얼마인가? 단,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이자비용은 영업활동으로, 배당금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  *종업원 급여 (2,000,000)  *매출채권 회수 27,000,000  *기계장치 처분 9,000,000  *현금배당 (20,000,000)  *토지구입 (90,000,000)  *장기투자자산 처분 60,000,000  *장기차입금 차입 28,000,000  *유상증자 30,000,000  *이자비용 지급 (1,000,000)  *사채상환 (25,000,000) -----------------------------  ① \\13,000,000 / (\\22,000,000)  ② \\22,000,000 / \\22,000,000  ③ (\\21,000,000) / \\13,000,000  ④ \\5,000,000 / (\\13,000,000)   7. D사는 두 개의 제조부문 A, B와 두 개의 보조부문 S1, S2를 두고 있다. 당년도 6월 중에 각 보조부문에서 생산한 보조용역의 사용원가율은 다음과 같았다. -----------------------------------  *보조용역 사용부문       S1  S2   A    B  *보조용역 제공부문 S1   0   0.2  0.4  0.4 S20.4 0 0.2 0.4  ----------------------------------- S1부문과 S2부문에서 당월에 발생한 변동원가는 각각 \\38,000과 \\200,000이었다. D사는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에 단계배분법을 사용하며 S2부문부터 배분한다. 제조부문 A에 배분해야하는 보조부문 총변동원가는 얼마인가?  ① \\140,000  ② \\200,000  ③ \\270,000  ④ \\220,000   8.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도입초기에 활동을 분석하고 활동중심점별로 원가동인을 결정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나,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비용이 많이 지출되지 않는다.  ② 비부가가치 활동은 제거하고 부가가치활동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통제할 수 있다.  ③ 활동기준으로 원가계산을 수행하므로 제품구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신축적으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④ 원가계산을 위하여 실제로 수행된 활동과 원가동인을 측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하면 업무실적과 성과평가의 인과관계가 명확해지고 피평가자가 평가결과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9. (주)세종은 단일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는 고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여 기말재공품의 평가는 평균법을 사용한다, 당기원가계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기초재공품       수량          400개                        재료원가    \\150,000                        가공원가    \\140,000                        완성도       30% 당기완성량                        2,300개 공손수량 200개 기말재공품       수량          500개                         완성도      60% 당기발생원가    착수량       2,600개                         재료원가   \\600,000                         가공원가   \\400,000 -------------------------------- 품질검사를 합격한 수량의 5%에 해당하는 공손수량은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검사는 공정의 50%, 완성시점에서 이루어진다. 완성품에 배분되는 정산공손원가는 얼마인가?  ① \\49,000  ② \\48,250  ③ \\45,000  ④ \\40,250   10. (주)희망은 하나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동일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조과정의 전공정을 통하여 20%의 감손이 발생하며, 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고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평균법에 의할 경우 완성품의 단위당 원가는 얼마인가? ----------------------------------------------------                         수량(리터)           완성도 기초재공품 2,820 ?  당기착수           12,000  당기완성            8,000 기말재공품 4,600 40%                            재료원가             가공원가            합계 기초재공품\\80,000\\160,000 \\240,000 당기발생액\\670,000\\800,000 \\1,470,000 \\1,710,000 -----------------------------------------------------  ① 162.5  ② 160  ③ 145.4  ④ 130   11. 표준원가계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표준원가계산은 원가차이를 배분하기 전에는 원가흐름의 가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② 표준원가를 사용해서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회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업무가 간소화되고 신속해진다.  ③ 표준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정상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과 같이 실제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④ 표준원가를 설정하면 예산을 수립할 때 간편하다.   12. 갑기업과 을기업은 판매비가 거의 필요 없는 유사한 제품을 생산한다. 갑기업이 직접(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을기업은 전부원가계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조건이 같다면 다음 사항 중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어떤 것인가?  ①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②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③ 생산량이나 판매량과 관계없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④ 생산량이 판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13. 부가세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매출채권이 법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대손되어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손세액을 그 대손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매출세액에서 뺄 수 있다.  ② 일반과세자 중 법인은 전자세금계산서를 의무발급해야 하며, 발급하지 않은 경우 가산세가 부과된다.  ③ 거래처별로 1역월의 공급가액을 합하여 해당 월의 다음달 10일까지 합계액에 의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④ 영세율이 적용되는 모든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해서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된다.   14.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거은?  ① 건축물이 있는 토지를 취득하여 건축물을 철거하고 토지만을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취득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불공제한다,  ②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자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아니하면 공급받는 자가 관할세무서장의 확인을 받아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③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제조·가공한 재화 도는 창출한 용역이 과세대상인 경우에만 의제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④ 세금계산서에 의하여 확인되는 매입세액만 공제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로부터 신용카드매출전표를 발급받은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15. 부가가치세 차가감 납부세액 및 납세절차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전송에 대한 세액공제는 개인사업자에 한하여 적용된다.  ②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제출불성실가산세가 적용된다.  ③ 개인사업자는 예정시고기간마다 관할세무서장이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에 50%를 곱한 금액을 결정하여 고지한 세액(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한다.  ④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영세율을 적용받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조기환급기간의 환급세액을 조기환급한다.   16. 간이과세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업종별 부가가치율과 세율을 곱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하다.  ②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개인사업자는 최초의 과세기간에 있어서는 무조건 간이과세자로 한다.  ③ 간이과세자는 간이과세 포기신고를 함으로써 간이과세를 포기하고 일반과세자로 전환할 수 있다.  ④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2,4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너무 급해서 1:1 질문드립니다ㅠㅠ 질문이 많지만 답변 좀 부탁드려요♡ ', 'https://cboard.net/sitemap/og_image.php?text=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link=https://cboard.net/k/4_40402_239576749', '2015.11.29')
Data too long for column 'content' at row 1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15.11.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나무는 20X1 4 1일에 장부금액 \300,000인 토지를 매각하면서 20X4 3 31일에 \500,000을 수령하기로 하였다. 20X1 4 1일 시장이자율이 10%라고 할 때, ()나무가 20X1년에 인식할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얼마인가? , ()나무의 결산일은 매년 12 31일이고 10%, 3기간 현재가치계수는 0.75131 이다.

  \65,655

  \75,655

  \85,655

  \115,655

 

2. 12월 결산법인인 ()강원은 액면금액 \1,000,000, 액면이자율 5%, 만기 20X3 12 31, 이자지급일 매년 말인 사채를 20X1 4 1일에 발행하였다. 이 사채의 권면발행일은 20X1 1 1일이다. 사채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은 10%. 10% 1원의 3기간 단일현가계수는 0.7513이고, 10% 1원의 3기간 연금현가계수는 2.4686이다. ()다빈이 사채와 관련하여 만기까지 인식할 이자비용 총액은 얼마인가?

  \239.969

  \252,445

  \252,469

  \261,836

 

3. ()강원은 20X1 7 1일 기계장치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5, 잔존가치는 \10,000이고 연수합계법으로 상각된다. ()강원은 20X3 1 1일 동 기계장치에 대하여 상각방법을 정액법, 잔존가치는 \5,000, 내용연수는 4년으로 각각 변경하였다. ()강원의 회계기간은 1 1일부터 12 31일까지다. 이러한 회계변경으로 인한 ()다빈의 20X4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인가? (, 법인세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4,250 증가

  \4,750 증가

  \6,250 증가

  \7,750 증가

 

4. ()강원은 2X13 1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0원의 3년 만기 사채를 950,258원에 발행하였다. 이자지급일은 매년 12 31일이며 발행 당시 유효이자율은 10%. 사채 전부를 2X14 1 1일에 970,000원에 조기상환하였다. 2X14 1 1일 인식해야 할 조기상환손익은 얼마인가?

  사채상환이익 \3,979

  사채상환손실 \3,979

  사채상환이익 \4,716

  사채상환손실 \4,716

 

5.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특성 중 간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매출채권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발생주의 매출액이 현금주의 매출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매입채무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매입하고도 지급하지 않은 금액이 신용매입한 금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감가상각비는 당기순이익을 결정하기 위한 비용이지만 현금의 유출이 없으므로 다시 가산해준다.

  당기순이익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산의 증가는 가산하고 부채의 증가는 차감한다.

 

6. 다음은 ()강원의 2X14년 회계자료다.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얼마인가? ,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이자비용은 영업활동으로, 배당금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

 *종업원 급여 (2,000,000)

 *매출채권 회수 27,000,000

 *기계장치 처분 9,000,000

 *현금배당 (20,000,000)

 *토지구입 (90,000,000)

 *장기투자자산 처분 60,000,000

 *장기차입금 차입 28,000,000

 *유상증자 30,000,000

 *이자비용 지급 (1,000,000)

 *사채상환 (25,000,000)

-----------------------------

  \13,000,000 / (\22,000,000)

  \22,000,000 / \22,000,000

  (\21,000,000) / \13,000,000

  \5,000,000 / (\13,000,000)

 

7. D사는 두 개의 제조부문 A, B와 두 개의 보조부문 S1, S2를 두고 있다. 당년도 6월 중에 각 보조부문에서 생산한 보조용역의 사용원가율은 다음과 같았다.

-----------------------------------

 *보조용역 사용부문       S1  S2   A    B

 *보조용역 제공부문 S1   0   0.2  0.4  0.4

S20.4 0 0.2 0.4

 -----------------------------------

S1부문과 S2부문에서 당월에 발생한 변동원가는 각각 \38,000 \200,000이었다. D사는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에 단계배분법을 사용하며 S2부문부터 배분한다. 제조부문 A에 배분해야하는 보조부문 총변동원가는 얼마인가?

  \140,000

  \200,000

  \270,000

  \220,000

 

8.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도입초기에 활동을 분석하고 활동중심점별로 원가동인을 결정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나,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비용이 많이 지출되지 않는다.

  비부가가치 활동은 제거하고 부가가치활동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통제할 수 있다.

  활동기준으로 원가계산을 수행하므로 제품구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신축적으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원가계산을 위하여 실제로 수행된 활동과 원가동인을 측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하면 업무실적과 성과평가의 인과관계가 명확해지고 피평가자가 평가결과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9. ()세종은 단일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는 고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여 기말재공품의 평가는 평균법을 사용한다, 당기원가계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기초재공품       수량          400

                       재료원가    \150,000

                       가공원가    \140,000

                       완성도       30%

당기완성량                        2,300

공손수량 200

기말재공품       수량          500

                        완성도      60%

당기발생원가    착수량       2,600

                        재료원가   \600,000

                        가공원가   \400,000

--------------------------------

품질검사를 합격한 수량의 5%에 해당하는 공손수량은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검사는 공정의 50%, 완성시점에서 이루어진다. 완성품에 배분되는 정산공손원가는 얼마인가?

  \49,000

  \48,250

  \45,000

  \40,250

 

10. ()희망은 하나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동일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조과정의 전공정을 통하여 20%의 감손이 발생하며, 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고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평균법에 의할 경우 완성품의 단위당 원가는 얼마인가?

----------------------------------------------------

                        수량(리터)           완성도

기초재공품 2,820 ?

 당기착수           12,000

 당기완성            8,000

기말재공품 4,600 40%

 

                         재료원가             가공원가            합계

기초재공품\80,000\160,000 \240,000

당기발생액\670,000\800,000 \1,470,000

\1,710,000

-----------------------------------------------------

  162.5

  160

  145.4

  130

 

11. 표준원가계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표준원가계산은 원가차이를 배분하기 전에는 원가흐름의 가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표준원가를 사용해서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회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업무가 간소화되고 신속해진다.

  표준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정상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과 같이 실제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표준원가를 설정하면 예산을 수립할 때 간편하다.

 

12. 갑기업과 을기업은 판매비가 거의 필요 없는 유사한 제품을 생산한다. 갑기업이 직접(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을기업은 전부원가계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조건이 같다면 다음 사항 중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어떤 것인가?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나 판매량과 관계없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 판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13. 부가세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매출채권이 법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대손되어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손세액을 그 대손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매출세액에서 뺄 수 있다.

  일반과세자 중 법인은 전자세금계산서를 의무발급해야 하며, 발급하지 않은 경우 가산세가 부과된다.

  거래처별로 1역월의 공급가액을 합하여 해당 월의 다음달 10일까지 합계액에 의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영세율이 적용되는 모든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해서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된다.

 

14.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거은?

  건축물이 있는 토지를 취득하여 건축물을 철거하고 토지만을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취득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불공제한다,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자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아니하면 공급받는 자가 관할세무서장의 확인을 받아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제조·가공한 재화 도는 창출한 용역이 과세대상인 경우에만 의제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에 의하여 확인되는 매입세액만 공제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로부터 신용카드매출전표를 발급받은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15. 부가가치세 차가감 납부세액 및 납세절차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전송에 대한 세액공제는 개인사업자에 한하여 적용된다.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제출불성실가산세가 적용된다.

  개인사업자는 예정시고기간마다 관할세무서장이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에 50%를 곱한 금액을 결정하여 고지한 세액(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한다.

 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영세율을 적용받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조기환급기간의 환급세액을 조기환급한다.

 

16. 간이과세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업종별 부가가치율과 세율을 곱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하다.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개인사업자는 최초의 과세기간에 있어서는 무조건 간이과세자로 한다.

  간이과세자는 간이과세 포기신고를 함으로써 간이과세를 포기하고 일반과세자로 전환할 수 있다.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2,4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너무 급해서 1:1 질문드립니다ㅠㅠ 질문이 많지만 답변 좀 부탁드려요♡



#화장실이 너무 급해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나무는 20X1 4 1일에 장부금액 \300,000인 토지를 매각하면서 20X4 3 31일에 \500,000을 수령하기로 하였다. 20X1 4 1일 시장이자율이 10%라고 할 때, ()나무가 20X1년에 인식할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얼마인가? , ()나무의 결산일은 매년 12 31일이고 10%, 3기간 현재가치계수는 0.75131 이다.

  \65,655

  \75,655

  \85,655

  \115,655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토지의 처분금액

= 500,000×(r=10%, n=3인 현재가치계수)

= 500,000×0.75131

= 375,655


     토지의 처분금액 375,655

(-) 토지의 장부금액 300,000

-----------------------

(=) 토지의 처분이익 75,655

(차) 장기미수금 500,000 (대) 토지 300,000, 현재가치할인차금 124,345, 토지처분이익 75,655


2. 12월 결산법인인 ()강원은 액면금액 \1,000,000, 액면이자율 5%, 만기 20X3 12 31, 이자지급일 매년 말인 사채를 20X1 4 1일에 발행하였다. 이 사채의 권면발행일은 20X1 1 1일이다. 사채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은 10%. 10% 1원의 3기간 단일현가계수는 0.7513이고, 10% 1원의 3기간 연금현가계수는 2.4686이다. ()다빈이 사채와 관련하여 만기까지 인식할 이자비용 총액은 얼마인가?

  \239.969

  \252,445

  \252,469

  \261,836


2001/01/01 기준

사채의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액면이자의 현재가치 + 액면금액의 현재가치

= 50,000×2.4686 + 1,000,000×0.7513 = 874,730

사채할인발행차금 = 1,000,000 - 874,730 = 125,270

액면이자 총액 = 50,000×3년 = 150,000

이자비용 총액 = 125,270+150,000 = 275,270 >> 2001/01/01 기준 유효이자 총액

2001/01/01 ~ 2001/03/31 까지 유효이자 발생액

= 874,730×10%×3개월/12개월 = 21,868

201/04/01 ~ 2004/12/31 까지 이자비용 총액

= 275,270 - 21,868 = 253,402

네개의 보기에 답이 없네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사채권면상의 발행일과 실제상의 발행일이 다를 경우의 구체적인 회계처리를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402&docId=238778204&qb=6raM66m0&enc=utf8&section=kin.qna&rank=1&search_sort=0&spq=0


3. ()강원은 20X1 7 1일 기계장치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는 5, 잔존가치는 \10,000이고 연수합계법으로 상각된다. ()강원은 20X3 1 1일 동 기계장치에 대하여 상각방법을 정액법, 잔존가치는 \5,000, 내용연수는 4년으로 각각 변경하였다. ()강원의 회계기간은 1 1일부터 12 31일까지다. 이러한 회계변경으로 인한 ()다빈의 20X4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인가? (, 법인세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4,250 증가

  \4,750 증가

  \6,250 증가

  \7,750 증가


연수합계법에 의한 2003년 1년분 감가상각비

= 90,000×4/15×6/12 + 90,000×3/15×6/12

= 12,000 + 9,000

= 21,000

---

잔존가치 5,000, 내용연수 4년으로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에 해당하므로,

전진적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2002/12/31 장부금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연수합계법에 의한 1년 6개월분 감가상각비)  

= 100,000 - (90,000×5/15×6/12 + 90,000×5/15×6/12 + 90,000×4/15×6/12)

= 100,000 - (15,000+15,000+12,000)

= 58,000

2003 정액법에 의한 1년분 감가상각비

= (58,000 - 5,000)/4년

= 13,250

회계변경 전 감가상각비 = 21,000

회계변경 후 감가상각비 = 13,250

회계변경 후 당기순이익 = 7,750 증가 


연수합계법에 관한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402&docId=238434568&qb=7Jew7IiY7ZWp6rOE67KV&enc=utf8&section=kin.qna&rank=1&search_sort=0&spq=0


4. ()강원은 2X13 1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0원의 3년 만기 사채를 950,258원에 발행하였다. 이자지급일은 매년 12 31일이며 발행 당시 유효이자율은 10%. 사채 전부를 2X14 1 1일에 970,000원에 조기상환하였다. 2X14 1 1일 인식해야 할 조기상환손익은 얼마인가?

  사채상환이익 \3,979

  사채상환손실 \3,979

  사채상환이익 \4,716

  사채상환손실 \4,716


2014/01/01 장부금액

= 기초장부금액 +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

= 기초장부금액 + (기초장부금액×유효이자율 - 사채액면금액×액면이자율)

= 950,258 + (950,258×10% - 1,000,000×8%)

= 965,284


     장부금액 965,284

(-) 사채상환금액 970,000

------------------------

사채상환이익(손실) (4,716)  


5.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특성 중 간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매출채권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발생주의 매출액이 현금주의 매출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매입채무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매입하고도 지급하지 않은 금액이 신용매입한 금액보다 크다는 것이다.

  감가상각비는 당기순이익을 결정하기 위한 비용이지만 현금의 유출이 없으므로 다시 가산해준다.

  당기순이익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산의 증가는 가산하고 부채의 증가는 차감한다.


정답은 4번

자산의 증가는 차감하고, 부채의 증가는 가산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채권의 증가는 차감하고, 매입채무의증가는 가산하는 것입니다.


6. 다음은 ()강원의 2X14년 회계자료다.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얼마인가? ,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이자비용은 영업활동으로, 배당금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

 *종업원 급여 (2,000,000)

 *매출채권 회수 27,000,000

 *기계장치 처분 9,000,000

 *현금배당 (20,000,000)

 *토지구입 (90,000,000)

 *장기투자자산 처분 60,000,000

 *장기차입금 차입 28,000,000

 *유상증자 30,000,000

 *이자비용 지급 (1,000,000)

 *사채상환 (25,000,000)

-----------------------------

  \13,000,000 / (\22,000,000)

  \22,000,000 / \22,000,000

  (\21,000,000) / \13,000,000

  \5,000,000 / (\13,000,000)


투자활동 현금흐름

기계장치의 처분 9,000,000 +

토지의 구입 90,000,000 -

장기투자산의 처분 60,000,000 +

투자활동 현금흐름 21,000,000 -


재무활동 현금흐름

현금배당 20,000,000 -

장기차입금의 차입 28,000,000 +

유상증자 30,000,000 +

사채의 상환 25,000,000 -

재무활동 현금흐름 13,000,000 +


7. D사는 두 개의 제조부문 A, B와 두 개의 보조부문 S1, S2를 두고 있다. 당년도 6월 중에 각 보조부문에서 생산한 보조용역의 사용원가율은 다음과 같았다.

-----------------------------------

 *보조용역 사용부문       S1  S2   A    B

 *보조용역 제공부문 S1   0   0.2  0.4  0.4

...............................S2   0.4   0  0.2 0.4

 -----------------------------------

S1부문과 S2부문에서 당월에 발생한 변동원가는 각각 \38,000 \200,000이었다. D사는 보조부문원가의 배분에 단계배분법을 사용하며 S2부문부터 배분한다. 제조부문 A에 배분해야하는 보조부문 총변동원가는 얼마인가?

  \140,000

  \200,000

  \270,000

  \220,000

 

S2부문 200,000

...S1부문 200,000×0.4=80,000

...A부문 200,000×0.2=40,000

...B부문 200,000×0.4=80,000


S1부문 38,000+80,000=118,000

...A부문 118,000×0.4/(0.4+0.4)=59,000

...B부문 118,000×0.4/(0.4+0.4)=59,000


제조부문 A에 배분해야 하는 보조부문 총변동원가

= 40,000 + 59,000

= 99,000

네개의 보기 중에 정답이 없네요^^


8.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도입초기에 활동을 분석하고 활동중심점별로 원가동인을 결정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나,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비용이 많이 지출되지 않는다.

  비부가가치 활동은 제거하고 부가가치활동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관리함으로써 원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통제할 수 있다.

  활동기준으로 원가계산을 수행하므로 제품구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신축적으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원가계산을 위하여 실제로 수행된 활동과 원가동인을 측정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하면 업무실적과 성과평가의 인과관계가 명확해지고 피평가자가 평가결과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정답은 1번


9. ()세종은 단일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원재료는 고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여 기말재공품의 평가는 평균법을 사용한다, 당기원가계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기초재공품       수량          400

                       재료원가    \150,000

                       가공원가    \140,000

                       완성도       30%

당기완성량                        2,300

공손수량200

기말재공품       수량          500

                        완성도      60%

당기발생원가    착수량       2,600

                        재료원가   \600,000

                        가공원가   \400,000

--------------------------------

품질검사를 합격한 수량의 5%에 해당하는 공손수량은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검사는 공정의 50%, 완성시점에서 이루어진다. 완성품에 배분되는 정산공손원가는 얼마인가?

  \49,000

  \48,250

  \45,000

  \40,250

 

1. 물량흐름


기초재공품 400개

당기착수량 2,600개

합계 3,000개


완성품 2,300개

기말재공품 500개(완성도 60%)  

공손품 200개

합계 3,000개


정상공손품 = (2,300개+500개)×5% = 140개


2. 완성품환산량


재료원가

완성품 2,300개

기말재공품 500개

정상공손품 140개

비정상공손품 60개

합계 3,000개


가공원가

완성품 2,300개

기말재공품 300개 >> 500개×60%=300개

정상공손품 70개 >> 140개×50%=70개

비정상공손품 30개 >> 60개×50%=30개

합계 2,700개


3.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

재료원가 = (150,000+600,000)/3,000개 = 750,000/3,000개 = @250

가공원가 = (140,000+400,000)/2,700개 = 540,000/2,700개 = @200


4. 원가계산

정상공손품의 원가 = 재료원가 + 가공원가 = 140개 × @250 + 70개 × @200 = 49,000

완성품에 배분되는 정상공손원가 = 49,000×2,300개/(2,300개+500개) = 40,250


10. ()희망은 하나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동일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조과정의 전공정을 통하여 20%의 감손이 발생하며, 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고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평균법에 의할 경우 완성품의 단위당 원가는 얼마인가?

----------------------------------------------------

                        수량(리터)           완성도

기초재공품2,820 ?

 당기착수           12,000

 당기완성            8,000

기말재공품4,600 40%

 

                         재료원가             가공원가            합계

기초재공품\80,000\160,000 \240,000

당기발생액\670,000\800,000 \1,470,000

\1,710,000

-----------------------------------------------------

  162.5

  160

  145.4

  130


1. 물량흐름


기초재공품 3,000리터 ... ④

당기착수량 12,000리터

합계 15,000리터 ... ③


완성품 10,000리터 >> 8,000리터/(1-20%)=10,000리터 ... ① 

기말재공품 5,000리터 >> 4,600리터/(1-8%)= 5,000리터 ... ②

합계 15,000리터

1:0.2=0.4:A, A =0.08/1 = 0.08(8%감손)  


2. 완성품환산량


재료원가

완성품 10,000리터

기말재공품 5,000리터

합계 15,000리터


가공원가

완성품 10,000리터

기말재공품 2,000리터 >> 5,000리터×40%=2,000리터

합계 12,000리터


3.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

재료원가 = (80,000+670,000)/15,000리터 = @50

가공원가 = (160,000+800,000)/12,000리터 = @80


4. 완성품원가

= 재료원가 + 가공원가 = 10,000리터×(@50 + @80) = 1,300,000

완성품 단위당 원가 = @50 + @80 = @130


11. 표준원가계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표준원가계산은 원가차이를 배분하기 전에는 원가흐름의 가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표준원가를 사용해서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회계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업무가 간소화되고 신속해진다.

  표준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정상원가계산에서의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액과 같이 실제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표준원가를 설정하면 예산을 수립할 때 간편하다.


정답은 3번

표준원가계산에서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실제생산량 또는 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조업도를 기준으로 배부합니다.


12. 갑기업과 을기업은 판매비가 거의 필요 없는 유사한 제품을 생산한다. 갑기업이 직접(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을기업은 전부원가계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조건이 같다면 다음 사항 중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어떤 것인가?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 정상생산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나 판매량과 관계없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이 갑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생산량이 판매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갑기업의 기말재고액이 을기업의 기말재고액보다 클 것이다.

 

정답은 1번

변동원가계산(갑기업)은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당기비용으로 처리하나, 전부원가계산(을기업)은 제조원가로 처리하므로, 생산량이 판매량을 초과하면 기말재고액이 발생하고, 따라서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기말재고액이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기말재고액보다 크고 또한 당기순이익도 크게 되는 것입니다.


13. 부가세와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매출채권이 법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대손되어 회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손세액을 그 대손이 확정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매출세액에서 뺄 수 있다.

  일반과세자 중 법인은 전자세금계산서를 의무발급해야 하며, 발급하지 않은 경우 가산세가 부과된다.

  거래처별로 1역월의 공급가액을 합하여 해당 월의 다음달 10일까지 합계액에 의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영세율이 적용되는 모든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해서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된다.


정답은 4번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라도 국내거래(내국신용장이나 구매확인서 등에 의한 거래)에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합니다.


14.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거은?

  건축물이 있는 토지를 취득하여 건축물을 철거하고 토지만을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취득과 관련된 매입세액은 불공제한다,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자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아니하면 공급받는 자가 관할세무서장의 확인을 받아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제조·가공한 재화 도는 창출한 용역이 과세대상인 경우에만 의제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에 의하여 확인되는 매입세액만 공제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로부터 신용카드매출전표를 발급받은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정답은 4번

사업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반과세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고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구분되는 신용카드매출전표등을 발급받은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그 부가가치세액은 제38조 제1항 또는 제63조 제3항에 따라 공제할 수 있는 매입세액으로 봅니다.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를 제출할 것

(2) 신용카드매출전표등을 제71조 제3항을 준용하여 보관할 것.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증명 자료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매출전표등을 보관하는 것으로 봄.

 

15. 부가가치세 차가감 납부세액 및 납세절차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전송에 대한 세액공제는 개인사업자에 한하여 적용된다.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제출불성실가산세가 적용된다.

  개인사업자는 예정시고기간마다 관할세무서장이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에 50%를 곱한 금액을 결정하여 고지한 세액(예정고지세액)을 납부한다.

 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영세율을 적용받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조기환급기간의 환급세액을 조기환급한다.


정답은 2번

매입처별세금계산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매입세액공제가 되지 않으므로, 가산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매입처별세금계산서를 제출하여 매입세액공제를 받지 않고 세금계산서 등을 제출하여 매입세액공제를 받는 일정한 경우에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16. 간이과세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업종별 부가가치율과 세율을 곱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하다.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개인사업자는 최초의 과세기간에 있어서는 무조건 간이과세자로 한다.

  간이과세자는 간이과세 포기신고를 함으로써 간이과세를 포기하고 일반과세자로 전환할 수 있다.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 2,4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납부세액을 납부할 의무를 면제한다.


정답은 2번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개인사업자가 사업개시일 속하는 연도의 공급대가가 4,800만원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하여 간이과세자로 등록한 경우에는 무조건 간이과세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만,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사업자는 사업개일이 속하는 연도의 공급대가에 따라 간이과세자에 관하 규정이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너무 급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급해서 질문 드립니다.. 개인회생중이구요 말씀 드리기전 7천만원의 빚을 앉고 회생을 신청 하엿구요 한달에 190만씩 납부를 하였습니다(한달 급여230-260)...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사이가 껄끄러운 친구 인스타 게시물에 실수로 좋아요를 2번이나 눌러버렸어요.. 너무 당황해서 바로 좋아요 취소를 누르고 제 계정 탈퇴까지...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 너무 급해서 1:1 질문드립니다ㅠㅠ 질문이 많지만 답변 좀 부탁드려요♡ 1. (주)나무는 20X1년 4월 1일에 장부금액 \300,000인 토지를 매각하면서 20X4년 3월 31일에...

너무급해서 질문드립니다

10일 명의변경신청서를 냈는데 채권이매각됐다는건알겠는데 대부분 계좌변경신청서도 같이 내른것같아서요 명의변경신청서만 제출한거는 다른의미인가요??? 특별한 사유가...

너무 급해서 1:1 질문드립니다...

두가지 도장 한문좀 확인 해주실수 있을까요.. 도저히 찾다가 힘들어서요 ㅠㅠ 꼭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왼쪽] 鍾烈(종열) 쇠북종. 매울열. [오른쪽] 聖揆(성규) 성인성. 헤아릴규.

너무 급해서 질문드립니다 !!!

... 민간분양과 달리 공공은 무조건 10만원씩만을 인정한다는 글을 봐서 지금 너무 혼란스럽고 다급해서 급하게 질문드립니다 도와주세요 !!! 네이버 지식인 분양, 청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