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호감도를 높힐 수 있는 이 마케팅 명칭이 뭔가요?

제품의 호감도를 높힐 수 있는 이 마케팅 명칭이 뭔가요?

작성일 2021.12.14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문은 제목 그대로입니다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이나, 제품에 큰 관심이 있는 유저들에게 한정판 이벤트를 벌이는 등 
고객에게 제품과 관련된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여
그 제품과 고객과의 유대감을 형성해 결과적으로 매출을 높이는 마케팅 명칭이 뭔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관심있는 유저들 = 타켓팅 마케팅

특별한 경험 = 리미티드 마케팅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디마케팅' 기법과 유사하네요

디마케팅에 대한 설명입니다.

판매를 억제하는 것이 마케팅 전략이다.(?) 고객 수를 의도적으로 줄이고 제품 판매를 억제하는 디마케팅이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 확산되고 있다.

삼성패션연구소가 작성한 '기업의 디마케팅(demarketing) 목적과 효과적인 활용 방법' 보고서는 "최근 불투명한 경기상황이 지속되면서 디마케팅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며 국내외 기업의 디마케팅 활용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디마케팅이란 판매증가에 마이너스가 되는 행동으로 상품 구매를 의도적으로 줄이는 마케팅 기법.

의류 품질표시의 '탈색됨', '세탁 시 줄어듦' 등과 같이 제품의 단점을 표시하거나 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경고문을 부착하는 것, 세제업체들이 사용량을 축소할 것을 권유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는 언뜻 보면 '고객을 차버리는 행위'로 마케팅의 기본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소비자들에게 진실한 정보를 제공해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충성도'가 낮은 고객을 배제하는 대신 우량고객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수익 극대화라는 마케팅의 기본 원칙에 충실한 기법 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하고 있다.

최근 인터넷업체와 홈쇼핑업체들이 '돈 안 되는 고객'과의 거래를 끊고 우량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 디마케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힐 수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프리챌은 지난번에 유료회원제로 전환했으며 게임사이트 한게임을 운영하는 NHN과 다음커뮤니케이션 등도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는 휴면 계정을 삭제하고 있다.

초창기 회원 수 늘리기에만 급급했던 인터넷 업체들은 이젠 반대로 회원 수를 줄이면서 시스템 증설에 필요한 추가 부담을 줄이고 인터넷 속도저하 등을 사전에 막아 우량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LG홈쇼핑이 700여 만 명에 달하는 고객 중 6개월마다 구매 횟수, 구입 단가 등을 고려해 최상위 고객 5천여 명에게만 할인쿠폰과 VIP 카탈로그를 발송하는 것도 디마케팅의 사례로 볼 수 있다.

공익에 부합하는 행위를 통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디마케팅이 도입되기도 한다. 국내 한 게임업체의 경우 청소년 회원이 부모님 동의를 얻은 시간에만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맥도날드(Mc Donald) 프랑스 지점의 경우 어린이들의 비만을 우려해 한 어린이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자제시키고 있다.

고급화와 차별화를 지향하는 명품 브랜드도 수요 억제로 제품의 희소성을 유지해 구매심리를 더욱 증대시키는 디마케팅 전략을 구사한다.

파리의 루이뷔통(Louis Vuitton) 본점은 여행객이 제품을 구입하면 여권번호를 컴퓨터에 입력해 같은 여행객이 1년 내에 다시 살 수 없도록 철저한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 명품 에르메스는 수천만 원이 넘는 여성용 핸드백을 주문에 따라 수작업으로 '한정생산'하고 있으며 대중들에게 제품이 널리 알려져 판매되는 것이 브랜드 이미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연예인들에게 옷을 입히는 '스타 마케팅'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처럼 다양한 이유로 기업들이 디마케팅 기법을 구사하지만 최근 확산되는 디마케팅의 특징은 전략이 아니라 불황에 따른 디마케팅이라는 점"이라고 지적하면서 경기가 하락세로 진입한 이상 '매출보다 수익'을 추구하는 디마케팅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 신용카드사 사례를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신용카드가 활발히 지급되던 시기가 아니라 신용카드업계가 어려움을 겪게 된 시기를 중심으로 보시면 됩니다. (신규카드는 많이 발급, 한도액은 까다롭게 정의, 구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입니다.

한정판( 리미티드, Limited) 마케팅이라고 합니다.

리미티드(Limited : 한정판) 마케팅은 `가격 한정`, `장소 한정`, `기간 한정` 등

다양한 한정 이벤트 등으로 남들이 쉽게 가질 수 없는 제품을 소유하고 있다는

희소성과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는 과시성을 보여주는 가치소비 또는 과시소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공급을 제한해 결과적으로는 수요를 늘리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을 일부러 소량 생산하고, 한정 판매를 통해 소비 욕구를 자극하는

적극적인 마케팅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정판 마케팅은 헝거(Hunger)마케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의 사례로는

- 나이키의 ‘에어조던 시리즈’

- 스타벅스의 봄, 벚꽃, 여름, 가을, 홀리데이 등 각 시즌마다 한정 MD 출시

- BMW 자동차 : M340i 퍼스트 에디션 340대 한정 판매

- 르노삼성자동차 : XM3 온라인 스페셜 에디션 333대 한정 판매

- OB맥주 : 카스 별자리(355ml 카스캔 제품 4개 야광 색상 12개 별자리)

에디션 한정판매 등을 사례로 들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02-2110-6351~3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호감도를 높힐 수 있는 이 마케팅 명칭이...

... 소통이나, 제품에 큰 관심이 있는 유저들에게 한정판 이벤트를... 그 제품과 고객과의 유대감을 형성해 결과적으로 매출을 높이는 마케팅 명칭이 뭔가요? '디마케팅' 기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