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나 주택 매입시, 쉽게 직접 등기 하는 방법을 좀 가르쳐주세요.

상가나 주택 매입시, 쉽게 직접 등기 하는 방법을 좀 가르쳐주세요.

작성일 2008.06.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상가나 주택 매입시, 쉽게 직접 등기 하는 방법을 좀 가르쳐주세요.

급합니다!!!!!!!!!!!!!!!!!!!!!!!!!!!!!!!!!!!!!!

<아주 자세히 설명하시는 분에게 내공 드립니다>

-95걸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홀로 등기 하는 법]
 

구 비 서 류

1. 매수자 1. 주민등록등본 1통
2. 도장
3. 위임장 1통
2. 매도자 1. 인감증명서 (매도용) 1통
2. 주민등록초본 1통 (원초본)
3. 등기권리증
4. 인감도장
3. 부동산중개업소 1. 부동산 거래신고필증 1부 (복사본 1부)
  - 주민증 앞뒤 복사본 1부, 신고서, 매매계약서 복사본 1부 (신고)
2. 부동산매매계약서 1통 (복사본 1부)
3. 부동산 등기부등본 1통
4. 근저당 말소시 1. 인감증명서1통 (매수자)
2. 인감증명서 1통 (매도자) 말소용
5. 시청(민원실) 1. 토지대장 1통(외2필지-3통필요)
2. 건축물대장 1통
6. 시청 세무과 1. 취득세·등록세 신고서 1통
2. 신고필증 1부 (복사본)
3. 부동산매매계약서 1통 (복사본)
7. 농협(국민은행) 1. 취득세·등록세 납부
2. 국민주택채권 매입신청서
  - 과표 2,000만원 이하 채권 필요 없음
  - 2,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 (과표×0.013%)
  -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과표×0.014%)
  - 매매계약서 대금이 1억원 이상이면 수입인지 15만원 매입
8. 등기소 1. 매매계약서 1통 (원본)
2. 등록세영수필 확인서 및 통지서
3. 인감증명서 1통 (매도용)
4. 등기권리증
5. 토지건축물대장, 등본 각1통
6. 주민등록초본 (매도자) 1통
7. 부동산거래 신고필증 1통
8. 매매목록 1통
9. 신청서 부본 및 기타 (신청서부본,국민주택채권,위임장)
□ 채권 매입하기
  - 2005년 1월 5일 이후 국세청 기준시가가 고시된 부동산(아파트,대형연립주택)에 대해서는
    국세청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채권을 매입 하여야 합니다.
  - 그 이외의 주택(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빌라등)에 대해서는 개별주택가격을 기준으로 매입합니다.
  - 정확한 국민주택채권 매입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등록세영수필확인서(등기소보관용)에 기재
    되어있는 해당 건물의 기준금액(국세청 기준시가,개별주택가격,시가표준액)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절대 낙찰가를 기준으로 하지 않습니다.
 

시가표준액

매입금액(주택 - 기타지역)

매입금액(주택.건물 - 특 · 광시)

국민주택채권 매입비

2천만이상~5천만미만

시가표준액의 1.3%

시가표준액의 1.3%

5천만이상~1억미만

시가표준액의 1.4%

시가표준액의 1.9%

1억이상~1억6천만미만

시가표준액의 1.6%

시가표준액의 2.1%

1억6천만이상~2억6천만미만

시가표준액의 1.8%

시가표준액의 2.3%

2억6천만이상~6억미만

시가표준액의 2.1%

시가표준액의 2.6%

6억이상

시가표준액의 2.6%

시가표준액의 3.1%

  - 국민은행가면 신규/해지 창구로 가서 채권 사러 왔다고 하면 창구직원은 얼마 살거냐라고 물어보면서
    채권매입용지를 한장 줄 겁니다. 용지 받아서 용도 코드에는 부동산 등기, 징구기관에는 법원 등기소
    라고 기입하시고 즉시 매도에 체크 하시면 됩니다.
  - 국민은행 직원들이 얼마 사라고 알려 주기도 하지만 보텅은 알려주지 않으니 등록세영수필확인서(등
     기소 보관용) 밑에 나와있는 해당 물건의 기준 금액을 확인하시고 위표나 국민은행 홈페이지 - 국민
     주택기금 - 국민주택채권 - 매입대상 및 금액 - 부동산 등기에서 요율을 확인하세요. 즉시 매도할 때 
     자기부담금이 얼마정도 되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은행이 없는 일부 군지역들은 농협대행점에서 구입하면 됩니다.
  - 영수증을 주면 채권발행번호를 등록세 및 국민주택채권 내역서에 기재하면 됩니다.
 
 

[별지제48호의3서식 취득세 및 등록세 신고서] < 개 정 >                                                    (앞면)

 

관리번호 :      -

        취득세 및 등록세 신고서

                  □ 기한내 신고   □ 기한후 신고

신고인

구분

성명

(법인명)

주민(법인)

등록번호

전화번호

주                소

취득자(신고자)

 

 

 

 

전소유자

 

 

 

 

취득물건

의 표시

            시(도)         시(군․구)         읍(면․동)

취득물건내역

취득물건

취득일자

면적

류(지목/차종)

용도

취득원인

취득가액

 

 

 

 

 

 

 

 

 

 

 

 

 

 

 

 

 

 

 

 

 

세목

과세

표준액

세율

산출세액①

감면 세액   ②

기납부세액

가산세

신고세액 합계

(①-②-③+④)

신고

불성실

납부

불성실

계④

합  계

 

 

 

 

 

 

 

 

 

취득세등

취득세 신고세액

 

%

 

 

 

 

 

 

 

농특세 신고세

(취득세)

부과분

 

%

 

 

 

 

 

 

 

감면분

 

%

 

 

 

 

 

 

 

등록세등

등록세 신고세액

 

%

 

 

 

 

 

 

 

지방교육세 신고세액

 

%

 

 

 

 

 

 

 

농어촌특별세신고세액(등록세감면분)

 

%

 

 

 

 

 

 

 

 ※ 구비서류

 1. 취득가액등(매매계약서,잔금영수증,법인장부등)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사본 각 1부.

 2. 감면신청서 1부. 3. 비과세확인서 1부. 4. 기납부세액 영수증 사본 1부. 5. 위임장 1부(대리인에 한한다).

   지방세법 제120조제1항, 제150조의2제1항, 제260조의4, 동법시행령제86조제1항, 제104조의2제3항 농어촌특별세법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위와 같이 신고합니다.

                              년      월      일

                        신고인                 (서명 또는 인)

                        대리인                 (서명 또는 인)

                                         시장군수구청장 귀하

접수(영수)일자인

 

 

위  임  장

  위 신고인 본인은 위임받는 자에게 취득세 및 등록세신고에 관한 일체의 권리와 의무를 위임합니다.

위임자(신고인)              (인)

 

 

위임

받는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위임자와의 관계

 

 

 

주소

 

전화번호

 

 

 

      

 

---------------------------------------------------------------------------

접수증(취득세 및 등록세 신고서)

신고인(대리인)

접수년월일

취득물건 신고내용

접수번호

 

 

 

 

   지방세법 제120조제1항, 제150조의2제1항, 제260조의4, 동법시행령제86조제1항, 제104조의2제3항 농어촌특별세법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한 신고서의 접수증입니다.

접수자

접수일

(서명 또는 인)

 

                                                                      


  (뒷면)

< 작 성 요 령 >

1. 관리번호 란은 과세관청에서 기재하는 사항으로서 신고인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2. “기한내 신고”란은 취득일(잔급지급일 등)로부터 30일이내에 신고하는 경우에 표기(∨)하고, “기한후 신고”란은 기한내 신고기간이 경과한 날부터 30일이내에 신고하는 경우에 표기(∨)합니다.

3. 신고인 란은 납세의무자를 기재하고, 전소유자 란은 취득하는 과세대상인 부동산(토지․건축물), 차량, 기계장비, 입목, 항공기, 선작, 항공기, 선박, 광업권, 어업권, 회원권의 전소유자를 기재하며, 법인구분 란은 영리․비영리법인 등을 구분하여 기재합니다.

4. 취득물건의 표시 란은 취득물건의 소재지를 말하며, 부동산(토지․건축물)은 토지․건축물의 소재지, 선박은 선적항, 골프회원권은 골프장 소재지, 차량(기계장비)은 등록지 등을 기재합니다.

5. 취득물건내역 란은 취득세 과세대상이 되는 물건의 내역 등을 기재합니다.

  ․ 취득물건 란은 취득세 과세대상이 되는 부동산(토지․건축물), 선박, 차량, 기계장비, 항공기, 어업권, 광업권, 골프회원권, 종합체육시설이용회원권 등을 물건별로 기재합니다.

  ․ 취득일자 란은 잔급지급일(잔금지급일전에 등기․등록 또는 사실상 사용하거나 사용․수익하는 경우에는  등기․등록일 또는 사용․수익일 등 지방세법시행령 제73조의 규정에 의한 취득시기에 해당되는 취득일자를 말합니다) 등을 기재하고,

  ․ 면적 란은 부동산의 경우 ◦㎡(지분의 경우 ◦◦분의 ◦)으로 , 차량의 경우는 ◦◦cc․적재정량으로, 선박의 경우는 ◦◦톤으로, 어업권 은 어업권 설정 면적 등을 기재합니다.

  ․ 종류(차종) 란은 부동산의 경우 주거용․영업용․주상복합용 등 사용형태를 구분 기재하고, 차량(항공기)의 경우는 차종(항공기 종류)․연식 및 차량번호를 기재하며, 선박은 선박종류 및 구조를 기재하고, 골프회원권은 회원의 종류인 법인․개인 등을 기재합니다.

  ․ 취득원인 란은 매매로 취득하여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에는 매매로, 상속 또는 증여는 상속 또는 증여로 각각 기재하며, 소유권 보존(신축 등)으로 인한 취득은 원시취득 등을 기재합니다.

  ․ 취득가액 란은 취득당시의 가액을 말하는 것이므로 매매계약서 또는 취득에 소요된 사실상 비용(법인의 경우 장부가액 등)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에 의하여 확인되는 것과 일치해야 합니다.

  ․ 용도 란은 취득한 물건의 사용용도(주거용, 상업용, 공장용, 자가용, 영업용, 법인용, 개인용 등)를 기재합니다.

6. 세율은 취득세의 일반적인 세율인 1000분의 20을 기재하고, 중과세 대상이 되는 고급주택․별장․고급오락장(유흥주점영업장, 도박장 등)․고급선박은 1000분의 100을 기재하고, 대도시내 법인의 주사무소용 부동산의 취득 및 공장신설 등은 1000분의 60을 기재하며, 등록세의 세율은 지방세법 제131조 내지 제146조의 일반 및 중과세율을 기재합니다.

7. 산출세액 란은 취득가액에 세율을 곱하여 산출된 세액을 기재합니다.

8. 감면세액 란은 지방세법 제5장․조세특례제한법 및 지방자치단체감면조례의 규정에 의하여 지방세가 감면되는 대상을 말하며 해당되는 감면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감면세액을 기재합니다.

9. 기납부세액 란은 동일한 과세물건에 대하여 취득가액의 변동, 경감취소 등으로 과소납부 또는 납부하여야 할 세액을 기한후 신고하는 경우 등으로서 이미 납부한 세액을 기재합니다.

10. 취득세 가산세 란은 기한후 신고를 하는 신고인에게 해당되는 사항으로서 “기한내 신고”기한 경과한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신고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며, 이 경우 신고불성실가산세는 50%감면(20%→10%)되는 신고불성실가산세(①-②-③×10%)를 기재하고, 납부불성실가산세는 취득일부터 30일이 경과한 날부터 납부일까지의 일자수에 1일 10,000분의 3의 세율을 곱하여 산출한 세액을 기재합니다.

       ※ 가산세의 면제대상이 되는 신고인은 기한후 신고할 경우 가산세면제신청서(제8호의3서식)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11. 자진납부할 세액 란은 신고인이 납부해야 할 세액(①-②-③+④)을 기재합니다.

12. 농어촌특별세자진납부계산서 란은 취득세와 동시에 신고납부해야 하는 농어촌특별세를 말하는 것으로서 농어촌특별세법 제3조 및 제5조의 규정에 의하여 산출한 세액을 기재하며, 지방교육세 란은 지방세법 제260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산출한 세액을 기재합니다.

13. 첨부서류

  ․ 취득가액을 입증할 수 있는 매매계약서, 법인은 법인장부(취득가액 입증), 증여는 증여계약서 등을 말하며, 매매계약서 등의 취득가액과 취득신고서상의 취득가액과 다르지 않도록 기재해야 합니다.

    ※ 취득가액이 입증되는 매매계약서(부동산검인계약서 등)를 이중으로 작성하거나, 허위로 작성하여 취득가액을 허위․과소신고하는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취득신고를 신고인을 대리하여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14. 신고인은 납세의무자를 말하며, 서명 또는 날인이 없는 경우에는 신고서는 무효가 되며, 대리인이 신고하는 경우에도 서명 또는 날인이 없거나 위임장이 없으면 무효가 됩니다.

15. 접수(영수)일자인 및 접수증은 취득세 신고 접수창구(과세관청)에서 기재하는 사항이므로 신고자는 기재하지 아니하며, 신고인은 반드시 접수증을 수령해야 하고, 접수증의 간인 및 시장․군수․구청장대리인의 서명 또는 날인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출처 : [기타] 나홀로등기하기.운산

쉽게 직접 등기 하는 방법을 좀 가르쳐주...

상가나 주택 매입시, 쉽게 직접 등기 하는 방법을 좀 가르쳐주세요. 급합니다!!!!!!!!!!!!!!!!!!!!!!!!!!!!!!!!!!!!!! <아주... 표시 시(도) 시(군․구) 읍(면․동) 취득물건내역 취득물건...

소유권이전등기방법좀 가르쳐주세요...^^

단독주택 소유권이전등기방법좀 가르쳐주세요...... 대하여는 주택(토지와 건물 포함)과 주택상가 등 모든... 소유권이전등기하는 경우는 제외)을 매입하셔야 합니다....

직접등기하는 방법을 상세히 부탁...

... 고맙겠습니다.) 쉽게 설명해 주세요 내공드립니다.^^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직접 할 경우 하루 정도 초기에는 걸립니다. 부동산권리변동을마무리지으려면등기를하여야...

법적 용어좀 가르쳐주세요 (등기,분양...

... 알기쉽게 자세히좀 설명해주세요 예를 들어주시면 더욱... 따라 .군수.도지사(예외:건설부장관) 3방법:시행... 등기.등록할 때 주택촉진법에 의해 강제매입하는 것으로...

전세계약하는방법좀 가르쳐주세요.

... 잔금을 받는 날 등기소에 직접 가서 확인하고 등기이전... 부담하고 등기를 이전 할 수 있어 부담이 줄어 듭니다. 현 주인은 쉽게 매매대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귀하는...

셀프주택증여하는방법좀가르쳐주세요

... 증여등기를 셀프로 하는 경우에 준비서류와 절차는... 국민주택채권 , 수입인지, 법원증지 (14,000원) 매입한다. - 취득세영수증 중 등기소용을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2p...

부동산 매매하는좀 가르쳐 주세요..

... 계시면 가르쳐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새집 말구요 중고집,, 사는 방법및 매매하는법이 궁금하네요... 1) 건물 감정가 10억 X 70% = 7억 2) 7억 - 상가세입자...

취등록세 납부와 셀프등기시에 필요한...

... 다가구 상가주택에 대한 취 등록세 가격을 알고 싶습니다.. 2. 셀프등기 하는 방법을 차례대로 쉽게 알려주시면... 셀프등기시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셀프등기 방법 알려주세요

... 깔끔하고 쉽게 등기이전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국민주택채권 , 법원증지 (15,000원) 매입한다.... 관할등기소에 제출하면 된다. - 나중에 처리가 되면 직접 찾아도 되나...

받을수 있는 방법 좀 가르쳐주세요

... 있는 방법이 없나요?? 소송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절차 아시는분 가르쳐 주세요.. 그리고.. 기간은... 새로운 임차인이 구해져 원만하게 처리되면 좋지만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