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관련 질문드립니다.

아파트 매매관련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13.11.0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올해 32살 청년입니다.

 

제가 내년에 결혼을 계획하고 있는데  그래서 아파트를 전세로 하던지 매매를 하던지 집을 구해야 되는데

 

보금자리론이니 대출에 관련된 내용은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

 

아파트를 구하기 위해선 뭐부터 어떻게 해야될지 막막한데..

 

제 연봉은 3,500정도 되며 현재 빌라에 전세(4000만원)에 있습니다.

 

모아는돈은 한 2천만원 정도 되구요.

 

나머지돈은 대출을 받던지 보금자리론(?)인가 그런제도를 통해서 집을 구할려면

 

뭐부터 해야 할까요?

 

그런제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력10년차 전문가 입니다.
긴 장문, 복사글이 아닌 질문에 대해 간단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인터넷에는 과장되게 한도,금리를 써 놓은것은 거의 안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무조건 대출이 된다는거에 현혹되지 마시길 바랍니다.
 
현재 가능한것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 아파트를 구하기 위해선 뭐부터 어떻게 해야될지..?

우선 부동산을 통해 집을 구하셔야 합니다.

은행 정식상담사와 상담 받으시고, 승인심사 후

서류 준비하시어, 은행에서 자필서명 하시면 됩니다.

 

질문) 모아논 돈은 한 2천만원 정도 되구요..?

집을 구하시려면 자금이 많이 확보되셔야 합니다.

한도는 시세의 최대 85%까지 금융기관으로 가능합니다.

 

원하시는대로 최대한 좋은조건으로 대출이 진행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지식in

""대출분야""

2011년선정 "" 파워지식in""

"" 대출분야""  전문가 순위 전체랭킹 TOP 2위입니다

소수분들만 받을수있는 저금리로 현혹이 아닌

현재 님의조건으로 받을수있는 최상의조건으로

요점만 간단히 적어서

답변드리겠읍니다

 

PS::
수도권지역이라면

년4,46%론 80%까지

가능하시고요

주택금융공사론 년3,15~3,9%론 60%까지

년4,15~4,4%론 70%까지

가능하실수있습니다

또 60%이하대출도 무관하시다면

년2,6~3,4%로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로 가능하실수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되셨다면

""답변확정""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보증금대출-연4~5% 부터 보증금의최대83%까지

 

 

 

부동산대출-연3.5%부터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세와 현긂 합해 6000 정도 되네요. 약 1억에서 1억5천 정도하는 주택을 대출 껴서 매수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금액에 맞는 주택을 알아보는 게 먼저겠습니다.
살 집이 특정이 되면 매가가 나오고 그에 따라 대출 받아야 할 돈도 계산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대출은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 대출 등을 이용해 저금리로 융통하는게 좋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집 사는 건 쓰레기 줍는 꼴"



ⓒ연합뉴스 민달팽이유니온과 금융정의연대, 한국청년연대 등 시민단체 대표들이 29일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정부의 전월세대책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3.8.29

극심한 전세난 속 서울ㆍ수도권 부동산 중개업소를 돌아다니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이것이다. "지금 사버려요, 더 좋은 기회는 없어요." 혹할 조건은 많다. 정부나 금융기관의 저리 대출 상품이 쏟아져 나왔다. 전세가는 치솟는데 매매가는 지지부진하니 '조금 더 보태서 그냥 사버려?'라는 심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지금 집을 사라고 권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현재 전세난의 원인이 '매매 부진'에서 왔다고 확신한다는 것이다. 경기도 수원 광교 지역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최 아무개씨는 "너도나도 집 사기를 미루고 전세로만 살려고 하니 전셋집이 모자랄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정부 역시 전세난의 원인을 "낮은 집값 상승 기대 등으로 매매를 늦추면서 전세 수요가 증가했다"라고 분석하며 그 해결책으로 '전세 수요의 매매 전환 유도'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매매 부진이 전세난을 불렀다는 분석은 곧 집값이 오를 날이 머지않았다는 전망과 통한다. 예전 같으면 집을 샀을 사람들이 집값 상승이 주춤한 지금 전세를 선택하며 관망한다는 것은 그만큼 (매매) 대기 수요가 쌓여 있다는 뜻이다. 그 대기 수요가 부동산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날이 바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가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현재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전국 평균 67.4% (8월 기준)까지 달한 만큼 '그날'은 바로 코앞이라는 것이다. 서울 장지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차라리 집을 사겠다는 사람들 심리가 작동하기 시작하다가 그게 전반적인 분위기로 확산되면 그때부터 너도나도 우르르 매수세로 돌아서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실제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그런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10월16일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택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지수인 주택경기실사지수(HBSI)가 조사가 시작된 지난해 7월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10월7일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6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하기도 했다(한국감정원).

매매 아니면 월세 거래로 이원화될 것

하지만 전세가 상승이 결국은 매매 시장을 달굴 것이라는 전망이 이론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현아 전문위원대우가 작성한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의 상관관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 한국감정원 박기정 연구위원도 '전세 시장의 지역별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매매 가격 변화는 전세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전세 가격 변화는 매매 가격 변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전세 가격은 집값의 70%, 80%, 90% 이상으로 계속 오르기만 할까? 전문가들은 매매 수요가 정체되고 임대 수요만 팽창한 상황에서 변화의 방향은 결국 '월세 전환 확대'로 향하리라고 예측한다. 20%대에 불과하던 전국 아파트 주택 거래의 월세 비중이 올 들어 이미 30%대로 증가했지만(위 표 참조) 곧 70% 비중을 차지하는 전세 시장을 대체할 만큼 주요 임대 형태로 성장하리라는 것이다.



한국감정원 박기정 연구위원은 "저금리 전세 공급자들의 월세 전환 선호는 전월세 전환율이 시장 금리 수준으로 낮아질 때까지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임대 시장 내 전세 시장의 비중은 점차 위축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경기개발연구원의 봉인식 연구위원도 '존폐 기로의 전세제도' 보고서를 통해 "전세 제도는 저금리 시장 침체 상황에서 더 이상 유지되기 힘들다. 조만간 주택 시장은 매매와 월세 거래로 이원화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월세 거래 확대가 꼭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착한부동산투자연구소 장인석 대표는 "애초에 전세 제도가 사라지고 월세화가 되는 것이 시장 논리상 자연스러운데 나라에서 전세자금 대출이나 매매 유도 정책으로 그 변화를 억지로 막다 보니 건설 대기업과 은행만 이득을 챙기고 서민들은 전세난에 시달리게 됐다"라고 말했다. 장 대표는 "기회비용과 물가상승률 등을 따져보았을 때 전세를 고집하는 것이 세입자에게 꼭 유리한 선택은 아니다. 전세 보증금으로 깔고 앉았을 목돈을 차라리 다른 곳에 투자하면 월세 비용을 충당하고도 남을 수익을 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블로그에 '매매 부진이 전세 가격을 올렸다는 착각에 대한 보고서'라는 글을 쓴 신주원(가명) 펀드매니저도 의견이 비슷하다. 잔인하지만 지금의 전세난이 '부동산 시장이 균형을 되찾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인구 구조, 주택 공급, 세계경기 추세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 집값은 너무 높고 전세가는 너무 낮은 불균형이 존재했는데(실제 OECD가 발표한 '2013 행복지수' 자료에서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주거(임대) 지출 비용은 OECD 34개국 가운데 러시아 다음으로 가장 낮다) 지금 그 간격이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집값은 싸지고 전세가는 비싸지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경제가 일본과 같은 장기 침체로 가리라고 전망하는 강 펀드매니저는 "높은 전세금을 못 버텨 그보다 4000만~5000만원 더 내고 집을 사는 것은 쓰레기를 줍는 꼴이다"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계속 전세로 버틸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저금리 기조로 전세의 월세화가 진행되는 것도 막을 수 없고, 부의 쏠림이 극심해져 웬만해선 '렌트 시커'(rent seekerㆍ불로소득을 노리는 지대 추구자)가 등에 꽂은 빨대를 뽑아내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추가 소득 창출' 아니면 '절약'밖에 없다. 남들보다 조금 더 많이 벌거나(추가 소득 창출) 외곽의 오래된 집으로 옮겨 주거비를 아끼는 길(절약)만이 지금의 전세난, 앞으로의 주거난에 대처하는 가장 현명한 자세라는 것이다.

변진경 기자 [email protected]

싱싱한 뉴스 생생한 분석 시사IN Live - [ 시사IN 구독 ]

청약X소득기준X자산기준X경쟁X    

      0순위 100%우선입주 OK

 


 강남세곡지구 25평1억 3천/33평 2억 5천
(2013년 6월기준)

상속받은 아파트 매매 시기 질문드립니다.

상속아파트 관련 문의 드립니다. 현재는 무주택이며 올해... 상속받은 아파트 매매시기를 어떻게 해야할지... 해당 질문에 대한 정확한 사실 판단 및 비과세 등 절세에 관한...

아파트 매매 관련 질문드립니다.

16년도에 누나와 공동명의로 아파트 분양권을 구매해서 (매매가 4억2000만원) 제 이름으로 대출을 받았었습니다. 19년도 말에 제 단독명의(5억2000만원)로 변경을 하고...

아파트매매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파트 매매계약서 쓸려는데 처음이다보니 아는게 없어서 주담대도... 있을까 질문드립니다 거래 조건은 이렇습니다 저는 만36세며 아파트 가격은 2억, 제...

아파트 매매 관련 질문드립니다.

아파트 매매라 모르는게 투성이라 질문드립니다. 대단지 아파트를 매매하려고... 매매 시 근저당 관련해서 확인해봐야 할것들이 있을까요? 그냥 가계약금 10퍼센트 넣으면...

아파트 매매 관련 질문드립니다.

... 전세기간 중 전세집이 안나간 상태에서 아파트 매매 후 아파트에서 거주가... 전세기간 중 전세집이 안나간 상태에서 아파트 매매 후 아파트에서 거주가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