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미래가치, 현재가치 계산 헷갈려요.

연금 미래가치, 현재가치 계산 헷갈려요.

작성일 2020.08.1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영구연금 말고 일반적인 연금 질문인데요.

제가 구매한 책에 적힌 예시를 보고 이해가 안 되서 네이버를 찾아봤는데도 조금 헷갈리네요.




여기서 첫 번째 식(FV = $100 X 1.1^3 + $100 X 1.1^2 + $100 X 1.1)은 매년 이자를 받는 식으로 계산을 한 거잖아요.
그래서 이렇게 계산하면 책에 기재된 것처럼 $364.1이 나옵니다.
그런데 세 번째 식(FV = C X 1/r[(1+r)^n-1])은 답이 $331이 나와요.
위의 식을 다르게 표시한 것뿐인데 말이죠..

제가 네이버에 찾아봐도 5년이면 승이 4 3 2 1 0 , 10년이면 9 8 7 6 5 4 3 2 1 0 으로 가던데..
그래서 제가 $100 X 1.1^2 + $100 X 1.1 + $100 으로 계산하니까 밑에 식처럼 $331이 나오더라구요.
1. 이자를 마지막 해에도 받는 걸로 계산하는게 맞는건가요? 첫번째 식이 틀린게 아닌가 해서요.




그리고 여기서는 첫번째 식과 세번째 식의 답이 동일하게 $248.69가 나오더라구요.
근데 기간 3년, 이자율 10%는 동일하고 미래가치->현재가치로 바뀐 것 뿐인데
이건 왜 1제곱 2제곱 3제곱 으로 계산하는게 세번째 식(등비수열 공식으로 정리한 것)과 답이 같은 건가요?
2. 미래가치는 마지막해의 이자를 계산하지 않지만 현재가치로 할인할 때는 3년간의 이자율을 다 계산하는게 맞는 건가요?

※ 정리하자면
1. 저 예시에서 미래가치 계산을 할때는 마지막해 이자를 계산하는게 맞는건지, 등비수열 공식처럼 계산을 하지 않는 것이 맞는건지?
2. 현재가치로 할인할 때는 모든해 이자를 계산하는게 맞는건지? 그래서 등비수열 공식과 답이 같은지?

대학생이고 2학기 수강과목 예습 중인데 이해가 안 돼서요..
빠르고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금 미래가치 계산기 #연금 미래가치 공식 #연금 미래가치 #연금 미래가치 계산 #재무관리 연금 미래가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정리하자면

1. 저 예시에서 미래가치 계산을 할때는 마지막해 이자를 계산하는게 맞는건지, 등비수열 공식처럼 계산을 하지 않는 것이 맞는건지?

미래가치든 현재가치든 등비수열공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나

각각의 경우에서 C 는 초항들어가야죠. (연금 100 이아니라)

예시 문제에서

미래가치에서는 C= 100*1.1

현재가치에서는 C=100/1.1

이 들어가면 두케이스 모두 직접계산하는것과 공식이 동일하죠.

때문에 C 에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않을뿐

위 공식은 둘다 맞아요.

2. 현재가치로 할인할 때는 모든해 이자를 계산하는게 맞는건지? 그래서 등비수열 공식과 답이 같은지?

결론은 등비수열공식을 써도 되나

이자를 모든해를 적용하는지에 대해선 문제마다 다를수있으니

초항 C 를 잘 고려해야 합니다.

예컨데 미래가치 계산 문제에서

연금을 기말에 납입하여 이자를 받는다고 제시된다면

3년뒤 현금흐름은

100 + 100*1.1 + 100*1.1^2

가 될테고 이경우 공식에는 C = 100 을 넣어야겠죠.

3줄요약

미래가치 공식 맞음

현재가치 공식도 맞음

다만 문제에 따라 C 값을 잘 넣어야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첫번째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교재의 '2-1.연금의 미래가치'는 지문에 오류가

있으니 교수님께 정정 요청해보시어요

지문에서 물어본 것은 평가시점은 '3년 말'로

가정하고 '매년 초' 균등하게 발생하는

선불연금의 미래가치가 얼마냐를 물어본 것인데,

교재에 제시된 식은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식

입니다. 그래서 혼선이 있는 겁니다.

2. 두번째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교재의 '2-2.연금의 현재가치'에선

저축시점을 ' 매년 말' 로 가정하고 정상연금

의 현재가치를 추정하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지문만 보았을 땐, 저축시점이 초인지

말인지 알 수 없는 경우이니, 교수님께 꼼꼼한

답변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문제풀이

그럼 저축만기가 '3차년도 말'이라는 가정하에

저축주기를 매년 말과 매년 초로 구분해서

만기금(FV)과 만기금의 오늘시점 가치(PV)

각각 추정해볼게요~

□ 가정

• 저축주기(N): 연간 1회(N=1)

• 저축액(C): 매년 $100씩 복리저축

• 이자율(R): 연간 10.00%

• 저축기간(T): 3년

• 3년 후 만기금: FV

• 만기금의 오늘의 가치: PV

□ 3년 후 만기금(FV) 추정

위의 가정치들을 '연금의 미래가치' 식에

대입하여 3년 후 만기금 'FV'을 추정하면,

1. 매년말 $100씩 저축시엔 연금의 미래가치는

아래의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식 으로

추정합니다.

FV=C× Annuity future value factor

FV=C×[ {(1+R÷N)^(T×N)-1}÷(R÷N) ]

FV=100×[(1+0.1÷1)^(1×3)−1]÷(0.1÷1)

FV=100×3.31

FV= $ 331

2. 매년초 $100씩 저축시엔 연금의 미래가치는

아래의 선불연금의 미래가치식으로

추정합니다.

정상연금은 매년 말에 저축하고 T년 말에

만기금을 받으며, 선불연금은 매년 초에

저축하고 T년 말에 만기금을 받습니다.

따라서 선불연금은 정상연금 대비 이자가

'(1+R÷N)' 이 한번더 붙습니다.

FV=C× Annuity future value factor

×(1+R÷N)

FV=C×[ {(1+R÷N)^(T×N)-1}÷(R÷N) ]

×(1+R÷N)

FV=100×[ {(1+0.1÷1)^(1×3)−1}÷(0.1÷1)]

×(1+0.1÷1)

FV=331×(1+0.1÷1)

FV= $ 364.1

□ 3년 후 만기금의 오늘시점 현재가치(PV) 추정

1. 매년말 $100씩 저축시엔 연금의 현재가치는

아래의 정상연금의 현재가치식으로 추정합니다.

PV=C× Annuity present value factor

PV=C×[1-{1÷(1+R÷N)^(T×N)} ]÷(R÷N)

PV=100×[1−{1÷(1+0.1÷1)^(3×1)}]÷(0.1÷1)

PV=100×2.48685

PV=$ 248.69

2. 매년초 $100씩 저축시엔 연금의 현재가치는

아래의 선불연금의 현재가치식으로 추정합니다.

PV=C× Annuity present value factor

×(1+R÷N)

PV=C×[{1-(1÷(1+R÷N)^(T×N)) }÷(R÷N)

×(1+R÷N)

PV=100×[{1−(1÷(1+0.1÷1)^(3×1))}÷(0.1÷1)]

×(1+0.1÷1)

PV=100×2.48685×(1+0.1÷1)

PV=248.69×(1+0.1÷1)

PV=$ 273.56

재무관리 연금현재가치 계산

... 오늘 시점 2기의 현금흐름의 현가 • 미래 시점(T): 5차년도 말 --5차년도는... 퇴직연금의 오늘시점 현재가치 ₩ 3,814,986.95(97) (+) 1기에 수령하는 연금의...

연금현재가치 미래가치 계산

... ㅠㅠ 연금현재가치미래가치 문제인데요.. 예를들어 1. 현재 20살인... (미래가치) 이자율 : 10% 라고 하면 계산하는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제발...

연금미래가치현재가치..

연금미래가치현재가치 계산법 차근차근 쉽게 공식과 함께 풀이해서 알려주세요~! 아 그리고 영구연금에 대해서도요. 1) 4매년 400만원씩 3년간 연리 12%로...

연금현재가치미래가치

10년뒤부터 매년 50만원씩 10년간 받는연금현재가치미래가치점... 받은 연금현재가치계산하고, 이를 다시 현재시점의 현재가치계산하면...

국민연금 현재가치미래가치

... 있는데 미래가치연금을 높게 납부 했을때고 현재가치가 실제 받을 금액과... 이유와 미래가치가 어떻게 해서 나오는 금액인지 계산 방식 알려주세요 안녕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