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진단 후 병원내원과 약 처방 없었다면 보험부활시

ADHD진단 후 병원내원과 약 처방 없었다면 보험부활시

작성일 2024.05.1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ADHD진단 후 병원 내원과 약 처방 없었다면 해지보험 부활시 고지하지 않아도 되나요?

고용량의 콘서타를 처방받아서 먹고 있었는, 먹으나 안먹으나 데 차이가 없어서 마지막으로 병원 내원한지 3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 48kg에 56mg을 먹었는데도 효과x. adhd가 아닌 것 같습니다)

손해보험 보험료 미납부로 보험이 해지된게 11월이고, 병원에서 adhd를 진단받은게 12월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약을 먹은게 2월 초였고요. 

이 경우에 해지된 보험을 다시 부활시킬 경우, adhd건을 고지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거나 adhd때문에 부활신청이 반려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만약 최대한 불이익을 받지 않으려면 정신과를 가지 않아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보험사를 찾아가 부활시키는게 맞을까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부활시에도 처음 가입과 동일하게 고지의무가 적용되는데요.

보험상 고지의 의무는 5년이내 의사의 진단을 받고 수술, 입원,

7일이상 통원치료(동일치료내용), 30일이상 처방(동일치료내용)을 받았거나

3개월이내 모든 치료내용과 1년이내 재검을 받은 사실을 말하는겁니다.

적어주신 내용상으로 처방이 30일 이상이라면 5년이내에 고지의무에 속하게 됩니다.

정신과 관련 치료는 순수 암보험이 아니면 부활 거절이 날듯하네요.

적어드린 고지의무 잘 따져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추가의 궁금하신부분은 체택후 추가질문이나 네임카드 통해 질문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0일미만의 처방시에 한해서

3개월이 지나야 고지의무에서 문제가 없습니다

그 전에 부활심사하시면 거절일 것같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비공개 조회수 3 작성일방금

ADHD진단 후 병원 내원과 약 처방 없었다면 해지보험 부활시 고지하지 않아도 되나요?

고용량의 콘서타를 처방받아서 먹고 있었는, 먹으나 안먹으나 데 차이가 없어서 마지막으로 병원 내원한지 3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 48kg에 56mg을 먹었는데도 효과x. adhd가 아닌 것 같습니다)

손해보험 보험료 미납부로 보험이 해지된게 11월이고, 병원에서 adhd를 진단받은게 12월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약을 먹은게 2월 초였고요.

이 경우에 해지된 보험을 다시 부활시킬 경우, adhd건을 고지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거나 adhd때문에 부활신청이 반려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만약 최대한 불이익을 받지 않으려면 정신과를 가지 않아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보험사를 찾아가 부활시키는게 맞을까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ADHD 진단 내용을 보험사에 고지해야 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ADHD진단 후 병원 내원과 약 처방 없었다면 해지보험 부활시 고지하지 않아도 되나요?

고용량의 콘서타를 처방받아서 먹고 있었는, 먹으나 안먹으나 데 차이가 없어서 마지막으로 병원 내원한지 3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 48kg에 56mg을 먹었는데도 효과x. adhd가 아닌 것 같습니다)

손해보험 보험료 미납부로 보험이 해지된게 11월이고, 병원에서 adhd를 진단받은게 12월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약을 먹은게 2월 초였고요.

이 경우에 해지된 보험을 다시 부활시킬 경우, adhd건을 고지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거나 adhd때문에 부활신청이 반려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만약 최대한 불이익을 받지 않으려면 정신과를 가지 않아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보험사를 찾아가 부활시키는게 맞을까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답변]

ADHD 진단 후 병원 내원과 약 처방이 없었다면 보험 부활 시 고지하지 않아도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ADHD 진단 사실을 고지하지 않고 보험을 부활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보험사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황을 정확히 확인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부활 신청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ADHD 보험가입

안녕하세요 ADHD 보험가입 문의드립니다 - 정신과의원에 총 5회 내원 - 우울증 설문 및 심전도 검사 (추가검사 없음) - 우울증 약처방 총 28일치 - ADHD 진단을 위한 설문 및 CAT...

adhd진단 받은 것만으로도 후에 보험...

... 진단 후 adhd로 판정을 받든 받지 않든 간에 정신과에서 진단을 받았다는 이 기록 하나만으로도 보험 가입에... 가급적 병원기록은 없을때 가입해두시는걸 권장은 드립니다....

약처방 받으면 종합보험 들기 힘든가요?

... 어느병원이든 안갈거구요 3개월이내 병원 내원 고지대상입니다. 실효로인한 일반 부활의 경우 더욱이 가입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다만 팔팔정을 처방받은 원인...

ADHD 성인 보험 가입

... ADHD 이외에도 불안장애 진단을 받아 불안장애 1번을... 정신과를 총 4번 내원하였습니다. 정신과는 올해... 숙지 상담에 임하셔야 합니다. 보험은 설득을 당해서...

실비보험 부활후 병원갔을경우 실비혜택...

... ㅠㅠ 보험부활에 있어 처음 가입과 동일하게 고지의무가 발생합니다. 보험상 고지의 의무는 5년이내 의사의 진단을 받고 수술, 입원, 7일이상 내원치료(동일치료내용)...

성인ADHD 질문드립니다 ㅠㅠ

... 감기약 처방받듯이 보험되기 때문에 크게 부담되지... 정말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합니다. 글쓰신 분은 아직 젊으시니 하루라도 빨리 전문ADHD병원에서 진단받아보...

보험의무고지 및 병원5년기록

... 처방은 없었어요 뇌전증 진단은 받지 않았구요 보험... -> 따라서 5년동안에 상담치료만 7번이 없었다면... 언제 병원내원하게 될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따라서 현 시점에...

보험 현장심사 관련 질문

... 실비보험 부활 전에 1차 개인병원진단받은게 아니고, 그저 소견서만 받았습니다. 어떤 진료도, 약 처방도... 1차 개인병원 내원한 부분에 대하여 손해사정사에게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