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만기 후 연금저축펀드로 보내는게 이득인 이유?

ISA 만기 후 연금저축펀드로 보내는게 이득인 이유?

작성일 2024.02.0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ISA 계좌를 개설해서 앞으로 매달 넣어보려 하는데 찾아보니깐 3년 만기 채우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이라고 하는데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면 그 목돈을 55세 까지 빼지않고 쭉 가지고 가야되는거 아닌가요..?그럼 나이 들어서야 편하겠지만 그저 목돈이 묶이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ISA만기시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isa 만기 #isa 만기 연장 #isa 만기일 설정 #isa 만기 50년 #isa 만기시 주식 #isa 만기 연금저축 #isa 만기 후 재가입 #isa 만기 후 #isa 만기시 #isa 만기 확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Q. ISA 계좌를 개설해서 앞으로 매달 넣어보려 하는데 찾아보니깐 3년 만기 채우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이라고 하는데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면 그 목돈을 55세 까지 빼지않고 쭉 가지고 가야되는거 아닌가요..?그럼 나이 들어서야 편하겠지만 그저 목돈이 묶이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ISA만기시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A. ISA계좌는 중단기용 절세용 계좌로 연금저축/IRP와 다르게 장기적으로 돈이 묶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단기로 목돈을 만드실 분들은 3년 의무기간을 반드시 채우시고 해지하셔서 원금과 수익을 절세 혜택을 받고 해지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단기 목돈이 필요하지 않고 노후 대비로 저축하실 여력이 되시면 ISA계좌 만기 해지 후 연금계좌(연금저축/IRP)로 이전 시 (연금저축/IRP 최대 900만원 납부시 148500원/118800원 세액공제 받는 것과 별개로) 추가적인 세액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투자를 하면서 추가적인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어서 추천드립니다. 목돈이 묶이는 득실과 세액 공제 득실을 비교하셔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ISA계좌 추가세액 공제 금액과 ISA계좌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글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https://m.site.naver.com/1iM74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정식등록업체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카드

업계 1위 상담사 누누페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ISA 만기 후 연금저축펀드로 이동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연금저축 계획에 관련된 혜택을 받기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제 혜택: 몇몇 국가에서는 연금저축펀드에 투자하는 것에 대해 세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 세금이나 이자에 대한 세금 감면과 같은 혜택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저축 계획: ISA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동하면 투자를 장기적으로 계획하고 퇴직 시 기금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금저축 계획은 퇴직 시에 일시불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 동안 월급처럼 수령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됩니다.

금리나 수익률의 안정성: 연금저축펀드는 종종 장기적인 투자에 적합한 안정적인 금리나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ISA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동함으로써 퇴직 시에 안정적인 수입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가장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국가에 따른 세법, 현 상황, 개인의 재무 목표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액결제 및 콘텐츠이용료는 SKT, LG U+, KT 3사 모두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하시며,

소액결제 및 콘텐츠이용료는 각 한도 최대 100만원까지 가능하십니다

미납 및 정책이 있으셔도 가능하십니다

추가상담 있을시 말씀 댓글 남겨주시면 도움 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연금저축으로 이체하면 55세까지 자금이 묶여 버리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ISA를 이용하여 연금저축의 덩치를 키우는 이유는

첫번째, 금융소득종합과세와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득으로 만들기 위함이며

두번째, 연금저축의 과세는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과 발생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되고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비과세 이기 때문입니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언제든지 인출하여 비과세가 됩니다.

이 금액을 55세 이전에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문의 하신 내용에 대한 운용전략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최소 가입 기간이 3년으로 짧아졌습니다. ISA에 가입할 때 만기를 5년 혹은 10년으로 설정했어도 가입 3년만 지나면 언제든지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누리면서 해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흔히 ISA의 연금 전환이라고 불리는 방안이 생겼는데, 이렇게 해지한 ISA 만기 금액을 연금저축이나 IRP 계좌에 납입하면 세액공제라는 또 하나의 세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금저축 계좌, IRP 계좌에 매년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 이미 납입하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해제한 ISA 자금을 연금으로 전환해서 입금하면 추가로 더 세액공제가 된다는 게 핵심입니다.

연금 계좌 세액공제 납부 한도는 2023년 현재 연 900만 원입니다. 만기가 된 ISA를 연금으로 전환하면 전환 납입액의 10%를 300만 원 한도로 추가적으로 세액공제해 줍니다. 세액공제 한도가 최대 1200만 원으로 늘어나는 셈이죠. 한도를 다 채웠다면 1200만 원의 최대 16.5%의 세액공제율을 곱해 198만 원을 절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연금 계좌 세액공제는 연말정산뿐 아니라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도 절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를 더 절세하고 싶은 분들에게 굉장히 좋은 방법입니다. 여기서 연금 계좌에는 매년 세액공제 기준으로 1800만 원까지만 입금할 수 있는데, ISA를 해제한 자금은 이 1800만 원과 별도로 입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ISA 계좌를 개설해서 앞으로 매달 넣어보려 하는데 찾아보니깐 3년 만기 채우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이라고 하는데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면 그 목돈을 55세 까지 빼지않고 쭉 가지고 가야되는거 아닌가요..?그럼 나이 들어서야 편하겠지만 그저 목돈이 묶이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ISA만기시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이득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3년 해지 후 마련한 목돈의 일부를 연금저축이나 IRP계좌로 이체를 할 수 있는데요. 이처럼 연금전환을 하는 것이 이득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금계좌로 들어가는 자금은 연금저축의 자체 한도인 1,800만 원과 상관없이 넣을 수 있으며, 10% 만큼 세액공제를 추가(최대 300만 원 한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