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농업협동조합)과 일반은행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농협(농업협동조합)과 일반은행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작성일 2003.11.01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사는곳은 워낙 시골이라 유명은행은 없더라도 항상 농협은 있는데요.
젤 많이 있더라구요. 근데 이게 일반 은행과는 무슨 차이가 있나요?

그리고 하나만 더 축협(축산업협동조합)은 또 어던건지도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
답변주시는 분들 항상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설립의의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통하여 농업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생산자 단체로, 농업 및 생활자재 구입, 생산농산물 판매, 필요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주식회사(일반은행)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뿐만 아니라 공제사업(1965.6 시작)·지도사업 등을 겸영(兼營)하는 종합농협의 형태를 취한다. 설립 당시 농협은 이동(里洞)조합·시 및 군조합·중앙회로 조직되었다.

농업협동조합의 계통조직은 회원농협과 중앙회의 2단계 형태를 취하고 있다. 회원농협은 면 또는 시·군 지역 내의 일반 농업인의 조합원으로 하는 지역농업협동조합(약칭 지역농협)과 지역농협보다 넓은 업무구역(군 또는 도 단위)을 가지고 특정품목 재배농가를 조합원으로 하는 전문농업협동조합이 있다.

중앙회는 지역농협과 전문농협을 회원으로 하는 전국 연합조직으로 농업협동조합중앙회라고 한다. 회원농협은 활동성의 여하에 따라 좌우되는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기본적인 조직이다. 읍과 면에서 가장 큰 민간조직 중의 하나로 조합원의 농업생산 지원, 농산물 판매 및 가공, 조합원에 대한 자금공급, 조합원의 생활지원 등 조합원 생활의 모든 면에 걸쳐 경제적·사회적 서비스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회는 개별 회원농협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합조직으로 전국에 도 단위 지역본부와 시·군지부를 두고 있으며, 회원조합을 위한 자급의 수급조절, 농업자재와 생활물자 구매·공급, 농산물 판매·가공 지원, 농정활동 등 연합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산하단체에 농협대학, 농민신문사, 농협유통(1995. 4 설립), 농업기술교류센터(1991. 1 개관), 농협무역, 농협아그로(1995. 2 설립), 농협선물, 남해화학(경영 참여) 등이 있다.

2. 특수성
농협의 특수성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1961년 설립 당시에 농촌개발을 위해 정부 주도로 설립되었고, 전 농업인을 대상으로 사업이 수행되었다. 따라서 전국적 계통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농가의 영농과 가계에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경영하는 종합농협이다. 따라서 농협은 농가영농과 가계의 종합지원에 유리하며, 각종 사업의 연계를 통하여 유기적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농협은 운동체적 성격과 경영체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운동체로서 봉사위주의 농민지도와 농촌개발을 중시하는 한편, 경영체로서 수지균형 유지와 능률·경영성과를 중시하고 있으며, 정부의 각종 농촌개발사업을, 즉 식량증산·유통개선·농촌복지 등 정책사업을 정부로부터 위촉받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농업생산자조합과 지역조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농촌지역의 종합지원 및 개발센터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3. 주요시설
회원조합의 경우 주(主)사무소와 지(支)사무소를 운영하고 있고, 농산물의 공동판매를 위해 농산물집하장, 농산물공판장, 농협슈퍼마켓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농산물과 농업생산용 자재의 안전보관과 적기공급을 위해 양곡창고·비료창고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농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생필품을 적정가격으로 공급하여 간접적으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있는 생활물자 연쇄점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공장, 미곡종합처리장 등의 가공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농기계의 고장수리, 부품교체, 부품공급 등 사후봉사를 위해 마련된 농기구서비스센터, 농기계용 유류의 수요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농업에 필요한 유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유류취급소 및 주유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중앙회는 소비지의 농산물유통 활성화를 위해 농산물물류센터와 하나로클럽 등 농산물직거래판매장과 집배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밖의 주요시설로는 연수원·교육원 공제수련소 등이 있다.

4. 역할
농협은 농민조합원의 경제·복지·문화 증진을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조합원의 권익주장을 대변함으로써 국민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개하는 사업은 크게 지도·경제·신용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지도사업은 벤처농업, 자원절약형농업, 관광농업, 지역농업종합개발사업 등을 추진하여 영농과 생활을 지원하고, 생활문화 교육사업, 농도(農都)교류사업, 농도불이운동을 추진하며, 농업지도자교육원(이전의 경기연수원:1983. 10 개원)을 통해 농협운동의 주역인 창의적인 인재를 개발하고 있다.

농가경영개선과 농촌경제대책, 농협사업 방향설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조사, 연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농촌문화사업의 실시는 물론 격일간의 《농민신문》(1964. 8 창간), 월간 《새농민》(1961. 10 창간)과 《어린이동산》 등 각종 간행물 발간·보급과 생활편익사업의 실시로 농촌문화 수준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농민권익보호를 위해 농정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복지농촌을 앞당겨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제사업은 영농자재 현장주문배달제를 실시하여 영농에 필요한 각종자재를 적기에 안정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공동출하로 유통비용을 절감하고,산지집하장·저온저장고·미곡종합처리장·청과물종합유통시설·수송차량 등 농산물 산지유통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농산물 유통단계를 대폭 단축하여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줄이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농산물 직거래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농산물가공을 통해 농산물의 수급을 조절하며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새로운 품종과 영농기술을 보급함으로써 농업생산력의 제고를 통한 식량의 원활한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신용사업은 농업인을 위한 각종 사업추진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해주고 있으며, 불의의 재난에 대비할 목적으로 생명공제와 손해공제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저축증대에 주력하고, 농업부문에 대한 투·융자업무를 전담함으로써 국내저축동원과 농업·농촌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공제복지사업으로 공제장학금 지급과 공제가입자의 심신 단련을 위한 수련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공제가입자 무료건강검진 등 각종 의료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외국환 취급점과 전세계 4,500여 개 은행과의 환거래계약 체결을 통해 원활한 국제금융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형 유통업체를 운영하여 우량생필품을 적정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촌소비시장의 가격안정과 농가소비생활의 합리화를 도모하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는 일을 하는 기업에 대하여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은행

- 예금을 받음.

-돈을 빌려 줌.

-다른곳으로 돈을 보내 줌.

-공과금,등록금 등을 받음.

-외국 돈으로 바꾸어 줌.

 

증권 회사

-주식을 사고 파는 일을 함.

 

보험회사

-뜻밖에 재난의 대비하는 금융기관.

 

투자신탁회사

-투자자들 대신 증권 투자를 하여 이익을 냄.

 

새마을 금고

-지역 사회 계발을 위해 은행 업무를 함.

 

우체국

-우편 업무,은행 역할을 함.

 

신용협동조합

-조합원들에게 예금 대출 업무를 함.

 

농업협동조합

-은행과는 달리 농어민들을 위해 만들어 진 것으로,농산물을 보관하거나 팔아주기도 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농협,수협등 정부가 주도적으로 만든 단체와는 틀립니다.

1970년대부터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만들어져 왔고 특히,  80년대 후반과 90년대초반 노동운동이 확장되면서 지역운동 차원에서 광범위하게 조직되어 왔습니다.

그렇게 자생적으로 생긴 지역생협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연합회를 조직하게 되었고,

생협운동의 방향과 생각의 차이등에 의해 서로 다른 연합조직을 만들게 된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생협들의 연합조직으로는 크게 한국생협연합회, 한국여성민우회생협, 생협전국연합회, 한살림 등이 있습니다. 이들 단체들은 활동목적이 약간씩의 차이는 있습니다. 새로운 소비자운동의 기치를 들기도 하고(한국생협연합회), 여성운동의 맥락에서 접근하기도하고(여성민우회생협), 생명운동을 목적으로 하기도(한살림)합니다. 그러나 크게는 이웃끼리 서로 협동하며 사는 세상을 만들기위해 서로 연대하고 협력하기도 합니다.

 

질문하신 한국생협연합회와 생협전국연합회는 그 출발이 다소 차이가 있으며 한국생협연합회가 떨어져 나온 것은 아닙니다. 지역생협들이 생기기도 전인 83년 생협중앙회가 먼저 설립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후에 생긴 지역생협들은 중앙회에 가입했다가 생협운동의 발전에 따라 서로의 목적과 방향을 갖고 여러 연합회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한국생협연합회는 21세기생협연대(현 한국생협연대)에서 소비자(조합원)운동

부분의 집중화를 위해 2001년에 결성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한국생협연대에서 운동과

사업을 병행해왔는데 이것을 분리하면서 한국생협연합회라는 명칭을 쓰게 되었습니다.

 

생협전국연합회는 1999년 생협법이 제정되면서 생협중앙회가 이름을 바꾼것입니다. 한국생협연합회, 한국여성민우회생협, 생협전국연합회, 한 살림 등의 연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도표를 보시면 알 수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생협의 발전을 보자면 아래 글과 같습니다.

 


●1979년 : 최초의 소비자협동조합설립(3. 13. 강원 평창신리조합)

●1983년 : 소비자협동조합중앙회 창립(52개 소비조합)

●1985년 : 최초의 공동구입형조합 설립(85. 안양바른생협)

●1986년 : 한살림농산 설립

●1987년 : 사단법인 생협중앙회 사단법인 취득(재경부)

●1989년 : 한국여성민우회생협, 한밭생협 창립, 주민생협 등 설립 활발하게 진행됨

●1992년 : 인천생협 창립/ 93년 부천생협 창립

●1993년 : 생활협동조합중앙회 사업부 설치

●1994년 : 한국 최초의 의료생활협동조합 설립(94. 4. 24 안성의료생협)

●1997년 : 중앙회사업부 해산

           경인지역생협연대(현 한국생협연대) 설립

           수도권사업연합(현 두레사업연합회) 설립

●1998년 : 21세기생협연대 창립

●1999년 :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공포(2.5),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시행(8.6)

●2000년 : 중부물류센타 설치(전국 물류망 구축 시작)

                   고양생협, 율목생협 창립(수도권지역 생협 설립 지원), 순천생협 사업개시

●2001년 : 울산생협, 빛고을생협 사업시작(중부이남지역 생협 설립 지원 본격화)

●2002년 :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대중적인 소비기반 확보됨.

                   우리농업지킴이 상조회, 한국생협연합회 창립

●2004년 : 한국여성민우회생협-한국생협연대 1차물류통합(공동세팅)

                    한살림 회원 10만명(총가입자) 축하잔치

●2005년 : 한국생협연합회 우리쌀지키기 우리밀살리기 소비자1만인대회 개최

 


① 초기 생협의 태동

 70, 80년대 농촌을 중심으로 소비조합(마을 구판장), 노조의 소비조합(광산노조, 대공장노조)이 한국생협의 모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조합은 농촌의 이농과 피폐화, 노조 소비조합의 어용성 시비로 도태되었고, 도시의 소비조합으로 발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80년대 중반 한국사회의 농업, 농민의 문제와 안전한 먹거리에 일부 농민운동가와 도시에서 대중적인 사회운동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동 사회(여성)운동가들이 생협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초기 생협운동은 친환경농산물 등 1차 농산물을 농민과 소비자에게 연결하는 농산물 직거래사업으로 시작하여 점차 ‘안전한 먹을거리’ 친환경농산물과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정착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일반 소비재를 보다 저렴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하는 일본 등 다른 나라와 다른 점이다.

 

  특히 농약과 화학비료로 오염된 관행농법에 의한 ‘죽어가는 농업’이 아닌 ‘친환경농업’(일반적으로 유기농업)이라고 부르는 대안적 농업방식을 실천하는 생산 농민(농민운동가)들이 농산물을 판매하기 위하여 도시의 소비자조직을 조직하는 방식으로 만든 경우가 한 살림의 설립배경이다. 안양바른생협은 도시소비자가 생협을 조직한 경우로 사업과 운동에 대한 경향은 한살림과 비슷하였다. 이런 이유로 한국에서 소비자생협의 조직은 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한국의 유기농업의 발전과 연관을 가지고 출발하게 된다.

 


② 초기 생협의 사업형태

유기농산물 등 안전한 농산물(일부 가공품 포함)을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직거래방식으로 유통사업을 시작하였다. 기존의 농산물 유통과정의 복잡한 다단계로 인한 불이익을 줄여 소비자-생산자에게 이익이 되는 새로운 유통방식을 표방하면서 생협들은 친환경농축산물과 그 가공식품을 주요 취급 품목으로 가정 공급, 판매장 형태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생협의 사업적 지향은 “소비자는 생산자의 생활을! 생산자는 소비자의 생명을!”이라는 구호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을 확산시키는데 주요한 역할 수행하였다. 생협은 초기 상품성이 낮은  친환경농산물 소비를 통해 기술 수준이 낮은 친환경농업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80년대 말 90년대초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소비자생협이 설립되어 1생협-1판매장(물류기지역할)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공급액 부진과 고비용 구조로 인해 효율성이 낮았고, 이런 운영방식은 지역생협의 경영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93년 생협중앙회사업부를 만들어 공동물류사업 추진하였으나 물품 통합력이 낮고, 생협별 개별적인 방식 고집으로 그 성과가 미흡하여 단위 생협의 경영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생협중앙회사업부도 적자가 누적되어 97년 파산을 하게 된다.  주요 취급 품목인 ‘유기농산물’이란 상품의 특수성과 고가격, 수급불안정, 고비용, 효율성 낮은 물류구조, 경험부족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9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생협은 사업적 실패를 거듭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서도 한살림은   ‘생명살림’를 모토로 소비자를 확보하는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③ 생협운동의 구조 개혁 운동 전개

97년 생협중앙회사업부는 ‘수도권사업연합’과 ‘경인지역생협연대’로 나누어져 각각 사업을 시작하였다. 양 조직은 중앙회사업부에서 시도했던 지역생협의 물류 통합을 통한 사업 효율을 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국생협연대는 조합비 제도를 도입하여 생협 물품의 ‘고가격’ 이미지 개선과 물류사업의 집중에 따른 경영 혁신, 지역조합의 조직활동 활성화(판매장 패쇄), 가격의 적정성 유지를 통해 생협운동 대중화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빠르게 사업과 활동을 발전시켜 갔다. 수도권사업연합(현 두레사업연합회)은 판매장을 중심으로 물류 집중을 통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였고, 양 조직은 98년이후 상당한 성과를 나타낸다.

또한 한국생협연대는 ‘사업의 집중과 조직의 분화’를 모토로 물류사업을 집중하면서 시스템을 정비하고,  생산자 조직과 공동으로 물류센타 설립 추진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생협간의 공동 물류사업’에서 생산자와 함께 하는 사업시스템으로 발전시켜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특성을 살린 경쟁력 확보(적정가격의 유지)에 노력하였다.

 

 



 

 주 1) 그림의 설명               :연합체,         :단위생협,          :영향력 

출처: ‘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 형성을 위한 생협의 과제’(정은미박사-농촌경제연구원)

 

위와 같은 내용이 답변에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한국생협연합회(www.icoop.or.kr, 032-663-2265)로

문의주시면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쓰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설립의의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통하여 농업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생산자 단체로, 농업 및 생활자재 구입, 생산농산물 판매, 필요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주식회사(일반은행)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뿐만 아니라 공제사업(1965.6 시작)·지도사업 등을 겸영(兼營)하는 종합농협의 형태를 취한다. 설립 당시 농협은 이동(里洞)조합·시 및 군조합·중앙회로 조직되었다.

농업협동조합의 계통조직은 회원농협과 중앙회의 2단계 형태를 취하고 있다. 회원농협은 면 또는 시·군 지역 내의 일반 농업인의 조합원으로 하는 지역농업협동조합(약칭 지역농협)과 지역농협보다 넓은 업무구역(군 또는 도 단위)을 가지고 특정품목 재배농가를 조합원으로 하는 전문농업협동조합이 있다.

중앙회는 지역농협과 전문농협을 회원으로 하는 전국 연합조직으로 농업협동조합중앙회라고 한다. 회원농협은 활동성의 여하에 따라 좌우되는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기본적인 조직이다. 읍과 면에서 가장 큰 민간조직 중의 하나로 조합원의 농업생산 지원, 농산물 판매 및 가공, 조합원에 대한 자금공급, 조합원의 생활지원 등 조합원 생활의 모든 면에 걸쳐 경제적·사회적 서비스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회는 개별 회원농협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합조직으로 전국에 도 단위 지역본부와 시·군지부를 두고 있으며, 회원조합을 위한 자급의 수급조절, 농업자재와 생활물자 구매·공급, 농산물 판매·가공 지원, 농정활동 등 연합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산하단체에 농협대학, 농민신문사, 농협유통(1995. 4 설립), 농업기술교류센터(1991. 1 개관), 농협무역, 농협아그로(1995. 2 설립), 농협선물, 남해화학(경영 참여) 등이 있다.

2. 특수성
농협의 특수성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1961년 설립 당시에 농촌개발을 위해 정부 주도로 설립되었고, 전 농업인을 대상으로 사업이 수행되었다. 따라서 전국적 계통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농가의 영농과 가계에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경영하는 종합농협이다. 따라서 농협은 농가영농과 가계의 종합지원에 유리하며, 각종 사업의 연계를 통하여 유기적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농협은 운동체적 성격과 경영체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운동체로서 봉사위주의 농민지도와 농촌개발을 중시하는 한편, 경영체로서 수지균형 유지와 능률·경영성과를 중시하고 있으며, 정부의 각종 농촌개발사업을, 즉 식량증산·유통개선·농촌복지 등 정책사업을 정부로부터 위촉받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농업생산자조합과 지역조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농촌지역의 종합지원 및 개발센터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3. 주요시설
회원조합의 경우 주(主)사무소와 지(支)사무소를 운영하고 있고, 농산물의 공동판매를 위해 농산물집하장, 농산물공판장, 농협슈퍼마켓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농산물과 농업생산용 자재의 안전보관과 적기공급을 위해 양곡창고·비료창고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농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생필품을 적정가격으로 공급하여 간접적으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있는 생활물자 연쇄점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가공공장, 미곡종합처리장 등의 가공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농기계의 고장수리, 부품교체, 부품공급 등 사후봉사를 위해 마련된 농기구서비스센터, 농기계용 유류의 수요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농업에 필요한 유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유류취급소 및 주유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중앙회는 소비지의 농산물유통 활성화를 위해 농산물물류센터와 하나로클럽 등 농산물직거래판매장과 집배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밖의 주요시설로는 연수원·교육원 공제수련소 등이 있다.

4. 역할
농협은 농민조합원의 경제·복지·문화 증진을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조합원의 권익주장을 대변함으로써 국민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개하는 사업은 크게 지도·경제·신용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지도사업은 벤처농업, 자원절약형농업, 관광농업, 지역농업종합개발사업 등을 추진하여 영농과 생활을 지원하고, 생활문화 교육사업, 농도(農都)교류사업, 농도불이운동을 추진하며, 농업지도자교육원(이전의 경기연수원:1983. 10 개원)을 통해 농협운동의 주역인 창의적인 인재를 개발하고 있다.

농가경영개선과 농촌경제대책, 농협사업 방향설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조사, 연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농촌문화사업의 실시는 물론 격일간의 《농민신문》(1964. 8 창간), 월간 《새농민》(1961. 10 창간)과 《어린이동산》 등 각종 간행물 발간·보급과 생활편익사업의 실시로 농촌문화 수준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농민권익보호를 위해 농정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복지농촌을 앞당겨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제사업은 영농자재 현장주문배달제를 실시하여 영농에 필요한 각종자재를 적기에 안정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공동출하로 유통비용을 절감하고,산지집하장·저온저장고·미곡종합처리장·청과물종합유통시설·수송차량 등 농산물 산지유통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농산물 유통단계를 대폭 단축하여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줄이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농산물 직거래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농산물가공을 통해 농산물의 수급을 조절하며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새로운 품종과 영농기술을 보급함으로써 농업생산력의 제고를 통한 식량의 원활한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신용사업은 농업인을 위한 각종 사업추진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해주고 있으며, 불의의 재난에 대비할 목적으로 생명공제와 손해공제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저축증대에 주력하고, 농업부문에 대한 투·융자업무를 전담함으로써 국내저축동원과 농업·농촌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공제복지사업으로 공제장학금 지급과 공제가입자의 심신 단련을 위한 수련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공제가입자 무료건강검진 등 각종 의료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외국환 취급점과 전세계 4,500여 개 은행과의 환거래계약 체결을 통해 원활한 국제금융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형 유통업체를 운영하여 우량생필품을 적정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촌소비시장의 가격안정과 농가소비생활의 합리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반은행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 주식회사(일반은행)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뿐만... 농업협동조합의 계통조직은 회원농협과 중앙회의 2단계 형태를 취하고 있다. 회원농협은 면...

일반 농협은행이랑 어떻게 다른건지...

일반농협은행과 양돈농협은행도 같은 농협은행 계열인가요?? 아니면 다른 은행인데 이름만 농협으로 같은... 도드람양돈농협은 2금융권 (농업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수협...

부산대 산업은행 농협농협은행

... 지주 - 농협은행 (중앙회) - 농협저축은행 이런식으로... 필요한 다른 조합원 한테 대출 해주고 4% 이자 받구요. 그럼 2% 마진 남아요. 그렇게 덩치 키우면 일반 고객들도...

농협중앙회,농협은행(내공있어요)

농협중앙회랑 농혐은행 다른건가요?? 무통장입금을... 그렇게 덩치 키우면 일반 고객들도 안전한가보다~ 하고 돈... 이야기 (은행이 대출/카드/보험으로 어떻게 돈버는지...

농협 농협은행

집근처에 농협이랑 NH농협은행이 있는데 뭐가 다른거죠?... 그렇게 덩치 키우면 일반 고객들도 안전한가보다~ 하고... 이야기 (은행이 대출/카드/보험으로 어떻게 돈버는지...

단위농협 VS 농협은행(농협중앙회)

단위농협농협은행이 서로 하는일이 어떤거며 혹시 복지나... 필요한 다른 조합원 한테 대출 해주고 4% 이자 받구요. 그럼 2% 마진 남아요. 그렇게 덩치 키우면 일반 고객들도...

농협은행6급초 vs 지역농협6급

... 질문드려요 농협에 들어가려면 ncs시험보잖아요 그럼 2개가 ncs시험 내용이 다른가요? 진짜 궁금해서 물어봐요...... 골고루 중요한 건 은행일은 사람을 많이 만나고 일반...

농협은행 6급 채용 도와주세요.....

... 농협은행 일반직 6급에 도전해보려고합니다.. 그래도... 면접 : 나중 얘기지만 이건 어떻게 준비해야하나요?... 다른 건 의미가 없어요 6) 인적성도 준비한다고 느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