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사진(동물 5종, 식물 5종 이상) 구해주세요.

생물사진(동물 5종, 식물 5종 이상) 구해주세요.

작성일 2006.05.0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가로 5cm,  세로 10cm 동식물 각각 5종 이상 구해주세요...   

이름하고 특징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다람쥐

 


무늬다람쥐라고도 한다. 몸길이 15∼16cm, 꼬리길이 10∼13cm이다. 몸빛깔은 붉은빛을 띤 갈색 바탕에 5개의 세로줄이 있다. 꼬리는 청서보다 훨씬 짧고 털이 빽빽이 나 있으며 편평하다. 볼주머니는 잘 발달되어 먹이를 운반하기에 알맞다. 눈은 크고 검은색이며, 귀에는 짧고 긴 털이 없다. 등 뒤에는 5줄의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주로 활엽수림이나 암석이 많은 돌담 같은 곳에 서식하며, 울창한 침엽수림에서도 발견된다. 낮에만 활동하는데, 나무타기를 좋아하며, 도토리·밤·땅콩 등을 즐겨 먹는다.


땅속에 터널을 깊이 파고 보금자리를 만든 후 보금자리에서 가까운 곳에 월동을 위해 1∼2개의 먹이 저장창고를 만들고 여러 가지 종자나 열매 등을 저장해 둔다. 때때로 잠에서 깨어나 먹이를 먹은 후에 다시 동면(겨울잠)을 하기도 한다.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 평균기온이 8∼10℃가 되면 터널 속으로 들어가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겨울잠은 진정한 동면이 아닌 가수면 상태이다.


번식기는 3∼4월이며, 5∼6월경에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개구리




1. 개구리의 겉모양



몸이 머리, 몸통, 다리로 되어 있고, 몸통이 유선형이다.


몸의 표면은 축축하게 젖어 있는 얇은 피부로 덮여 있다.


머리에는 눈, 귀, 입, 코, 울음 주머니 등이 있다.


눈 : 머리 위쪽에 있으며, 순막이라고 하는 얇고 투명한 막으로 덮여 있다.

귀 : 귀바퀴가 없고, 고막이 겉에 드러나 있다.

입 : 크고 두 갈래로 갈라진 혀가 아래턱 앞쪽에 있어서 곤충을 잡기에 편리하다.

콧구멍 : 위턱에 2개가 있으며, 호흡과 냄새를 맡는 역할을 한다.

울음주머니 : 수컷에만 있으며, 귀의 뒤쪽에 있다.

4개의 다리가 있다.


앞다리 : 짧고 발가락이 4개이고, 물갈퀴가 없다. 수컷은 엄지 발가락에 혹이 나 있다.

뒷다리 : 길고 튼튼하며 발가락이 5개이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물 속에서 헤엄치기에 편리하며, 근육이 발달되어 있어 육지에서 잘 뛸 수 있다.


2. 개구리의 내부 구조



심장 :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고, 혈액순환의 중심이 된다.

폐 : 공기 중의 산소를 받아들이고 몸속에서 생긴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호흡기관이다.

위 : 소화관의 일부로서 먹이를 저장하고 소화한다.

소장 및 대장 : 소화관의 일부로서 먹이를 소화시키고 영양분을 흡수한다.

신장 : 오줌을 걸러 낸다.

방광 : 오줌을 저장한다.

난소와 정소 : 난소는 암컷의 생식기관이고, 정소는 수컷의 생식기관이다.



3. 개구리의 특징



체온 : 변온동물이며 겨울잠을 잠

번식 : 체외 수정을 하며 난생

호흡 : 올챙이 시절에는 아가미 호흡, 개구리 시기는 폐호흡과 피부호흡

심장 : 올챙이(1심방 1심실), 개구리(2심방 1심실)

분류 : 척추동물, 양서류

변태 : 알 ==> 올챙이 ==>뒷다리 생김 ==> 앞다리 생김 ==> 꼬리 없어짐 ==> 개구리

생활 : 물과 땅을 오가며 살므로 양서류라 한다.














상어


상어는 청각과 후각이 발달한 동물이지만 특히 후각기가 잘 발달하고 큽니다.

눈도 잘 발달되어 있고 표면은 각막에 의해 보호 됩니다. 눈꺼풀에는 눈물샘은 없지만 순막(각막앞을 가로 질러 안구 전면을 덮는 투명하고 얇은 막)이 발달하여, 눈의 아래 반을 덮고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상어는 시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상어는 후각, 청각 뿐만 아니라 시각도 잘 발달되어있습니다.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고 모를 상어가 아닙니다.



1. 닭의 생김새와 생활 머리, 몸통. 다리로 구분 이는 없고 모래 주머니에서 잘게 부숨 깃털로 덮여 있고 유선형 앞다리는 변하여 날개로 됨 입에는 부리가 있음 날개뼈 속은 비어 있어서 몸을 가볍게 해 줌 날개는 있지만 퇴하하여 거의 날지 못함 가슴에는 용골돌기 발달 - 잘 발달된 근육때문에 날기

알맞도록 되어있음 폐에는 기낭 이 연결 - 몸을 가볍게함

2. 닭의 특징 체온 : 정온동물 번식 : 체내수정이며 난생 호흡 : 폐호흡 심장 : 2심방 2심실 분류 : 척추동물, 조류


닭목 꿩과의 조류.

분류 : 닭목 꿩과

종수 : 약 500종

크기 : 몸무게 0.5~6.5kg

색 : 흰색·갈색·검정색 등

생식 : 난생

서식장소 : 사육용

분포지역 : 전세계


달걀과 고기를 얻기 위해 집 또는 농장에서 기르는 가축이다. 현재 사람들이 기르고 있는 닭은 3000∼4000년 전에 미얀마·말레이시아·인도 등지에서 들닭[野鷄]을 길들여 가축화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닭의 선조인 들닭에는 말레이시아·인도·인도네시아 및 중국 남부지방에 사는 적색들닭과 인도대륙 중부와 서남부에 사는 회색들닭, 실론군도에는 사는 실론들닭, 자바섬에 사는 녹색들닭 등이 있다.


앵무새

모든 앵무새들은 말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자질이 많은가 적은가의 차이, 훈련시키는 사람의 능력이 앵무새가 말을 하게 되는가 못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세계적으로 말을 잘 하는 3대 앵무새의 종류로는 회색앵무/뉴기니아 앵무/금강앵무 세 종류가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로리앵무류나 목도리앵무류 등도 말을 굉장히 잘하고요. 이 앵무새들은 전부 대형앵무에 속하기 때문에, 말을 배우지 않은 상태의 새라도 손노리개라면 '기본적으로' 60~70만원이 넘어갑니다. 미리 말을 가르친 새라면 훨씬 더 분양가가 올라가고요(어디서 보니까 한마디에 십만원이라고도..ㅡㅡ; 진짠가?;;;) . 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앵무일수록 말도 잘 합니다. '일반적으로'라는 거지 '전부'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소형앵무중에서 말을 할 수 있는건 왕관앵무,모란앵무,잉꼬 등입니다. 그러나 이 앵무들은 잘 가르쳐도 휘파람이나 2~3마디가 한계일 뿐더러 발음도 그리 정확하지 못합니다. 특히 모란앵무는 말 가르치는 것에 성공했다는 분을 두어번밖에 못 봤고요. 잉꼬가 말하는 동영상은 한 번 봤는데 발음이 꽤 지저분하더군요(알아들을 수는 있었지만).

앵무류를 제외하면 구관조가 사람의 말을 아주 잘 따라합니다. 그러나 구관조도 세마리 중 한마리는 말을 잘 못한다고 합니다. 물론 세마리 중 한마리는 말을 아주 잘 하지만요-_-; 아무튼 구관조의 경우에는 손노리개이냐 아니냐/ 언어구사가 훈련된 상태냐 아니냐에 따라 다르지만 그래도 마리당 50~60만원은 넘는 것 같습니다. 어디서는 말 가르친 새인 모양인데 300만원인 경우도 있었고요.


거북

ㆍ거북은 물속이나 육지에서 식물이나 조개.생선 등을

 먹고 살며, 성질이 둔하고 오랫동안 먹이를 먹지 않

 아도 잘 견딥니다.

ㆍ그리고 거북은 사는 장소에 따라 다리가 발달하였습

 니다. 즉 늪이나 연못에서 사는 자라, 건조한 땅에서

 사는 황소거북, 바다에서 사는 바다거북 등이 그 좋

 은 예가 됩니다.

ㆍ암컷은 자기가 태어난 바닷가 모래사장으로 와서 젖

 은 모래에 3-5개의 구멍을 파고 여기에 약 100여 개

 의 알을 낳으며, 다 낳은 후 뒷발로 완전히 모래를

 덮습니다. 그런 후에 알은 스스로 부화하여 모래를

 헤치고 바다를 향해 기어갑니다. 이때 수백의 새끼

 거북은 바다에 채 도착하기도 전에 거의 대부분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어 버리고 살아남은 거북은 불과 5

 마리 미만 입니다.

ㆍ거북과 같은 파충류는 대부분 따뜻한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며 겨울철에 땅속이나 돌밑에서 겨울잠

을 자며 또한 여름철 건조기에 여름잠을 자는 것도 있습니다.



세파로타스 (Cephalotus)



특징 : 세파로타스는 호주 서남부에서만 자생하는 1과 1속 1종의 상록 다년생 식충식물입니다.

이탄질의 습지에서 자생하며 분포지역이 좁습니다. 속명 Cephalotus는 두상(頭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kephalotos에서 유래하였다고하며 종명 follicularis는 작은가죽주머니라는 뜻이 있습니다.

영명은 Australian Pitcher Plant입니다.

잎의 색은 3종류가 있으나 계절, 볕의 양에 따라 변합니다. 줄기는 발달하지 않고 줄기 기부에서 잎이 나옵니다.꽃대는 약 60cm정도 자라먀 작은 꽃이 원추화서로 핍니다. 포충낭은 뿌리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8cmx3cm정도까지 자랍니다. 뚜껑은 원형으로 털이 숭숭 나 있고 건조하면 닫히고 습하면 열리는 특성이 있습니다. 포충낭의 내벽은 부드럽고 미끄러지기 쉬운 형상으로 한번 빠진 벌레는 나올 수 가 없습니다.

네펜데스

특징 : 네펜데스는 보루네오나 수마트라와 같은 열대 지방에서 사는 식충식물 입니다. 잎 끝에 뚜껑달린 주머니가 있으므로 벌레나 동물은 주머니 속으로 떨어집니다. 주머니의 생김새나 크기는 여러가지인데 큰것은 입구의 지름이 10cm, 길이가 35cm나 됩니다. 이렇게 큰 주머니는 벌레 뿐만 아니라 쥐나 개구리 같은 것도 잡을수 있습니다.

과명(family name) 및 속명(genus name) Nepenthes는 근심을 쫓고 평안한 잠을 자기 위해 고대 그리스인들이 사용했던 식물의 이름에 유래한다. Nepenthes는 식충식물의 대명사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욱 세부적인 일반명은 그 서식지가 인도네시아, 뉴기니아, 마다가스카르섬 등의 열대지방이므로 열대 포충낭 식물(Tropical pitcher plants)로 불린다.

현재 60여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열대지방이 주서식지인 까닭에 미발견 종도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Nepenthes 는 식충식물 애호가들에게 인기있는 품종으로 수많은 변종과 혼성 잡종이 개발되어 있다.

Nepenthes의 잎은 넓으며 그 끝에서 나오는 덩굴손의 끝에 주머니 모양의 포충낭이 매달린다. 포충낭 안벽은 매끄럽고 왁스같은 물질로 덮여 있어 곤충이 내려앉으면 미끄러져 아래로 굴러 떨어진다. 포충낭 바닥에는 습윤제 및 소화효소를 포함하는 소화액이 있고, 여기에 빠진 곤충은 익사하여 분해되고 영양분은 포충낭 벽을 통해 흡수된다. 많은 종들이 포충낭 위쪽에 덮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덮개는 빗물 등이 포충낭안으로 들어가 소화액을 희석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벌레잡이 제비꽃



특징 : 벌레잡이제비꽃은 밝은 실내에서 키우고 습도를 좀 많이 주면 아주 잘 자랍니다. 그리고 포기 번식을 합니다. 제비꽃은 하루사리도 잘먹습니다. 국내에서 판매하는 종은 대부분 멕시코 산입니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다소 안쪽으로 말리며 길이 3-5 cm, 나비 1-2 cm 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면에 작은 선모가 밀생하여 점액을 분비하므로 작은 벌레는 헤어날 수 없게 된 다. 화경(花梗)은 높이 5-15 cm 로서 밑부분에서 1-3개가 나와 그 끝에 밝은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2-4 mm 이다. 화관은 제비꽃과 비슷한 순형이며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거(距)는 길이 7-10 mm 로서 끝이 둔하며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짧으며 암술머리가 퍼진다. 삭과는 거의 둥 글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길이 0.6 mm 정도로서 연한 갈색이다.

사라세니아



특징 : Sarracenia 는 카나다 물리학자 Dr. M. S. Sarrazin에서 유래한다. 일반명은 그의 분포지역과 포충형태 (pitcher)를 딴 것이다. 일명 Trumpet pitcher plant로 불린다.

Sarracenia 는 1년내 물이 마르지 않는 영구 습지 또는 늪에서 자라며, 가을에 포충엽이 시들기 시작하고 겨울철에는 휴면기에 들어 지하경(rhizomes)만 살아남는다. 봄이 되면 길다란 화경 끝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며, 꽃이 진 다음 지하경에서 포충엽이 자라 나온다. 일부 종들은 겨울에 식충성이 없는 포충낭을 만들기도 한다. Sarracenia 의 포충엽은 뿌리에서 바로 나와 기둥처럼 거의 수직으로 서있는 형태로서 포충엽은 줄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잎이 변형된 것이고 엽경(잎줄기)은 없다. 포충엽은 서너개가 나오며 길이는 대개 20~50 cm 정도이고 1m까지 자라는 종류도 있다. 포충엽에는 포충시에 움직이는 부분이 전혀 없으며, 곤충이 함정속으로 들어오면 탈출하지 못하게 하는 수단만을 가지고 있다.



끈끈이 주걱



분류 : 끈끈이귀개과

분포지역 : 북반구의 온대에서 난대

서식장소 : 들판의 양지쪽 산성 습지

크기 : 높이 6∼30cm


특징 : 끈끈이주걱은 한포기가 직경 5~10cm의 크기이고, 길이 1~5cm의 잎들이 뿌리에서 5~15개 방사상으로 돋아나 있습니다. 잎은 그 길이의 4/5정도는 가느다란 잎자루이고 그 끝의 1/5 정도에 주걱같이 둥글고 넓은 포충엽이 달려 있습니다. 포충엽에는 여러 개의 선모 (바늘같이 가느다란 털)가 나있고, 그 끝에 이슬같은 점액이 맺힙니다. 끈끈이 주걱은 꽃을 피우고, 토양이나 물 속에서 수분과 무기 영양분을 섭취하는 뿌리가 있고,엽록소로 광합성을 하는 잎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보통의 식물과 전혀 다를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곤충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 소화,흡수하는 '포충엽'을 갖고 있다는 것이 다른 식물과 다른 특징이죠. 포충엽과 잎의 다양한 중간적 형태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포충엽은 잎이 변형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에는 끈끈이주걱종류로서 다음 세가지가 자생합니다.

끈끈이주걱, 긴잎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



킹오브선듀 (King of Sundew)


특징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원산으로 Drosera filiformis의 일반명입니다.

잎자루가 30cm이상까지 자라며 하나의 뿌리에서 수십줄기가 돋아나며 스스로 분주하며 번식합니다. 직사광선보다는 창문을 통하여 거쳐 들어오는 빛이 좋으며 높은 습도를 좋아합니다. 겨울에는 동면하는 것이 성장에 좋습니다.

물주기는 저면관수로 하며 모기, 파리, 하루살이등이 주 먹이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ili

생물사진(동물 5종, 식물 5종 이상)...

가로 5cm, 세로 10cm 동식물 각각 5종 이상 구해주세요... 이름하고 특징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람쥐 무늬다람쥐라고도 한다. 몸길이 15∼16cm, 꼬리길이 10...

dmz 멸종위기동물

dmz에 사는 멸종위기 동물 5종 이상 사진, 특징까지 알려주세요! 제발 잘 안알려진 동식물로 부탁해요! (산양... 5,929종의 생물종 목록을 작성했다. 지금까지 조사...

멸종 위기의 생물들은?

제가 과학XXXXXX대회 때문에 멸종 위기의 생물을 알아봐야 됩니다.... 무척추동물(5종) 나팔고둥, 귀이빨대칭이, 두드럭조개, 남방방게, 칼세오리옆새우 식물(8종) 섬개야광나무...

동굴에 사는 생물

... 글구여내용은 동굴에사는 생물 5가지 이상... 있는 생물로 갈로와, 장님옆새우(사진) 등이 이에 속한다. 또... 생물 특히 식물에 있어서 햇빛은 광합성작용에 절대적인...

갯벌에 사는 생물

... 살고있으며, 식물 164종, 동물 687종으로 총 851종이... 사용 이상 갯펄은 자연생태계를 보전시키는 입자로서... 서식하는 생물 (바지락외 5종) 4.조사기간 2010. 8.*일~ 8월*일...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식물과 동물

...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식물과 동물을 각각 1호부터 최대 20호까지 올려주세요. 사진도 있으면 좋고요. 이상한글은... 크낙새는 멸종위기에 처한 귀한 새로 생물분포 및...

독도 홍보물 수행평가

... 특수한 생물·지리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 식물... 독도 사진입니다.^^ 독도의 지리적 위치 행정구역상... 60°이상의 급준한 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위에 보이는...

독도를 위한 일(켐페인,바다쓰레기...

... (사진첨부) 이런 식 캠페인 같은거 보존... 1) 각종 산이나 바다를 파해치고 식물을 손상시키는 행위 금지.... 더 이상의 벌목은 금한다고 하니 “이 섬에서 벌목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