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 카메라? DSLR? 대체무엇인가요?

DSR 카메라? DSLR? 대체무엇인가요?

작성일 2010.03.2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제가  finepix S5500 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것은 그냥 겉멋만 큰 디지털카메라 인가요?

필름안쓰면 그냥 다 디저털 카메라지 DSR, DSLR 이니 이런것들은 대체 무엇인가요... 렌즈교환식인가?

S5500은 그 DSR 이 아니래요 ㅠ ㅠ ??

그리고 , 디카로도 조리개? 그런것 조절도 할수 있는 건가요?

사진기초입문 강의 듣는데 당최 먼소린지 하나도 모르겟어염... ㅠㅠ

화각, 화상, 피사계심도,감도,조리개,포그? 노출.....

이런것들도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해요.

강의때문에 필름 카메라를 사자니 암것도 모르겟고 돈도 없구...

제가 가지고 있는 카메라로도 다 할수있는것들을 배우고 있는 건가요? 지금??????

제발 도와주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slr 카메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음 너무 질문이 많아서 간단히 답변하기 힘든사항이네요

 

간단히 기본개념만 알려드리겠습니다 해당되는 부분들은 그부분만 하루종일 얘기해도 힘든사항일테니까요

 

일단 DSLR과 SLR에서 알려드리죠

 

SLR이란 single-lens reflex: 렌즈가 하나 뿐인 카메라란 뜻입니다 일안반사식렌즈를 가진 카메라란 뜻이죠

 

거기에 DSLR은 DIGITAL 즉 전자식으로된 렌즈가 하나뿐인 카메라란 뜻인데 요즘은 요게 조금 변질이되서

 

렌즈를 교환할수 있는 카메라 란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당연히 님께서 S5500은 하이엔드 카메라

 

즉 일반디카중에서 고성능을 지닌제품이죠 DSLR은 아니랍니다 하지만 꼭 렌즈를 교환하는것만이

 

SLR은 아니란 사실 기억해두세요

 

일반디카로도 조리개 및 셔터스피드를 조절할수 있는 수동모드를 가진 카메라도 많습니다 주로

 

하이엔드 카메라가 그렇지요

 

일단 화각이라 함은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보고 촬영할수 있는 시야를 각도로 나타낸것을 말합니다

 

일단 렌즈에 보면 초점거리란게 있습니다 초점거리중 가장 대표적인것인 번들렌즈라고 불리우는

 

18-55mm F3.5-5.6 렌즈가 있습니다 요것을 가지고 설명해드릴께요

 

앞에 18-55란게 초점거리인데 보통 사람의 눈과 비슷한 초점거리를 50mm로 여깁니다

 

 이것을 표준화각이라 하지요 사람눈의 시야와 비슷하기때문이죠 이때 사람의 눈보다 넓은 화각을

 

광각이라 하고 사람의 눈보다 좁지만 멀리있는 물체를 땡겨볼수 있는것을 망원이라 합니다

 

보통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26미리 이하를 광각이라 하고 26-65미리 정도를 표준화각 65미리 이상을

 

망원이라고 합니다 광각같은 경우는 보통 시원한 넓은 풍경 즉 바닷가 모습등에 많이 쓰이죠 다만

 

광각으로 가면 갈수록 왜곡이 심해져 인물들을 찍을때도 흔히 대두샷등 특징이 나타나게 됩니다

 

화상이라것은 카메라로 찍은 것을 일컫는다고 할까요 좀 애매한데 사진으로 찍은 물체의 결과를

 

화상이라 하는데 이것이 필름에 맺히느냐 아니면 CCD나 CMOS에 맺히냐에 따라 SLR이냐 DSLR이냐

 

나눠지는거죠 피사계 심도 그냥간단히 '심도'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은 조리개와 상당히 관련이 있습니다

 

또 조리개 얘기가 나오면 셔터스피드와 또 뗄래야 뗄수없는 관계가 됩니다

 

아까 18-55mm F3.5-5.6렌즈에서 F3.5-5.6이란게 조리개 수치인데 흔히 F값이라고 합니다

 

일단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상관관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셔터스피드란것은 촬영시 찰칵하는 소리를 말합니다 바로 촬영할때 셔터막이 내려갔다 올라가는 소리죠

 

그럼 이것이 왜중요하냐 이것에 따라 흔들림이 있는사진과 없는 사진이 나타납니다

 

사진은 쉽게 빛을 이용한 촬영합니다 빛이 절대적이죠

 

그러다보니 찰칵하고 짧으면 빛이 그만큼 못받아들이기때문에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되는것이죠

 

반대로 찰~~~~칵 하고 길어지면 빛을 많이 받아들여서 환하게 나오지만 그사이에 흔들림이

 

생길수밗에 없는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사진이 망치게 됩니다

 

그렇기때문에 밝은 낮이나 환한곳에서는 찰칵하고 소리가날때 필요만큼의 빛을 받아들여

 

바로찍히게 되지만   좀 어두운곳이나 저녘무렵에는 찰~~~~~~칵 하며 셔터스피드가 늘어지게 됩니다

 

바로 필요한만큼의 빛을  받아들이려고 말이죠 해서 빛을 필요로 하고 조명 또는 스트로보를

 

필요로 하는것입니다

 

또한 이기법을 이용해서 야경촬영이나 장노출촬영이라는것을 이용합니다 이럴때는 삼각대가 제일

 

중요하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또 중요한게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맘대로 바꾸었다가는

 

사진에서 노출오버나 노출언더가 나오게 됩니다 무슨얘기냐 하면 너무빨리셔터스피드가

 

빨라지면 어둡게 나오고 또 너무 느려지면 빛을 너무받아들여 하얗게 나오기때문이죠

 

이때 이제 관계되는것이 조리개입니다 조리개란 렌즈기호중에 F값을 얘기합니다

 

조리개의 F값은    F = 초점거리 / 렌즈의 유효구경 으로 구해집니다 무슨얘기인지 모르시죠

 

일단넘어가시고 빛을 받아들이는 비율이라고 아시면 됩니다 F값의 숫자가 낮아질수록

 

빛을 받아들이는 양이 많아집니다

 

그럼여기서  빛을받아들이는 양이 많아지면 셔터스피드는 어떻게 될까요 바로 빨라질수 있단얘기입니다

 

조리개값 면적 크기를 사진으로 없어서 공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F1.4는 농구공  F1.8은 축구공 F2.8은 핸드볼공, F4는 야구공  F5.6은 골프공, F11은 앵두라고 보세요

 

어떤게 빛을  순간적으로 많이 받아들일수 있을까요 바로 농구공이죠 그러다 보니

 

셔터스피드의 찰칵 하는 짧은 순간에 빛을 원하는 양만큼 받아들일수 있어 제대로 된사진이

 

나올수 있는것이죠 반대로  앵두크기로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찰칵이 아닌 찰~~~~~~~~~칵

 

할수밗에 없겠죠 그사이에 필요한 만큼의 빛을 받아들여야 하니까요

 

그럼 뭐하러 사진찍을때 조리개를 뭐하러 빛을 많이 받아들이게끔하지 이렇게 조절하게 만들어놨냐

 

이유가 궁금하실겁니다 이유는 조리개크기에 따라 초점이 맞는 면적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위에서 F1.4에서 F1.8  , F2.0,  F2.8,  F3.5,  F4.5,  F5.6,  F8,  F10,  F13 이런식으로 해놨을때

 

 낮은숫자로 가는것을 조리개를 개방 또는 연다고 하는것이고 뒤로갈수록 숫자를 높이는것을

 

 조리개를 조인다고 합니다  이때 조리개를 개방하면 초점이 맞는곳의 면적이 줄어듭니다

 

 반대로 조리개를 조이면 초점맞는곳의 면적이 넓어집니다 바로 우리가 흔히말하는 아웃포커스

 

를 얘기합니다 낮은수자 즉 조리개를 개방하면 초점이 맞는곳이 좁아지면 그이외는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바로 아웃포커스죠 사실 아웃포커스는 잘못된 단어입니다

 

 아웃오브포커스 또는 셀렉티브포커스가 맞는 말이죠

 

  바로 이게  사진용어로는 심도가 얕다는 표현을 하게 됩니다 바로 뒤배경이나 앞에 배경이 흐려지고

 

  자기가 원하는 물체만 또렷해지는것이 심도가 얕다는 표현을 하죠 피사계심도란 바로 이것을 얘기합니다

 

 SLR카메라에 보면 심도미리보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DSLR에서도 심도미리보기 기능이 있지만

 

 결과물로 쉽게 알수있기때문에 유명무실해진 기능이되어버렸답니다

 

 반대로는 심도가 깊다라고 표현하죠   바로 조리개를 조였을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대신 선명도가 좋아지며 자기가 초점을 맞춘대상물외에 물체들이 배경흐림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즉 사진을 찍을시 조리개를 조이거나 열어가면서 그에따라 셔터스피드를 상관되게 조절해줘야만

 

 원하는 사진이 나온다는것이죠 일상적으로 조리개를 열면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반대로

 

 조리개를 조이면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간단한얘기죠 후자를 이용한방법이 야경촬영방법입니다

 

 조리개를 조여주면 또하나의 특징이 빛을 촬영시 빛갈라짐이 생깁니다 가끔 야경사진에 있는

 

 별모양의 빛을 말합니다 렌즈에 있는 렌즈블레이드수에 따라 빛갈라짐의 수자도 틀려진답니다

 

 보통 참고적으로 야경촬영시에는 삼각대를 놓고 F9 이상으로 조여주기 시작하죠

 

 반대로 조리개를 개방시에는 배경을 날리고 주제를 부각시킬때 많이 사용합니다

 

  멋진모델등을 찍을때 많이 이용하죠 덕분에 렌즈를 구매할때 다들 낮은조리개값인 렌즈를

 

  구매하려는 이유가됩니다 물론 가격도 높구요 18-55 번들의 경우 이기능이 약하거든요

 

  덕분에 줌렌즈중에서는 F2.8고정조리개인 렌즈를 많이 사용하고 단렌즈중에서는

 

  F1.8이나 F1.4를 많이 사용한답니다

 

  노출이라 함은 위의 말처럼 카메라는 빛을 이용한 그림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빛을 필요로하지요

 

  즉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의 밝기는 셔터막이 열려있는 동안에 CCD나 CMOS가 받은 빛의 양에

 

  의해서 정해집니다 이것을 노광량이라고 하는데 조리개나 셔터스피드를 조정해 노광량을 결정하는것

 

  을  노출을 맞춘다고 하는거랍니다

 

  하지만 빛이란게 꼭 일정하지 않잖습니까 이때 서로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잘못된 불일치등을 나타내

 

  사진결과물이 하얗게 나올때 노출오버 어둡게 나올때 노출언더라고 합니다 

 

  감도란것은 흔히 ISO라고 합니다

 

   ISO란 원래 필름의 감도(빛에 대한 반응도)를 나타내는  국제 표준용어로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라고 합니다 이것을 약자로 ISO라고 하는거죠

 

   또 다른말로 ISO 라는 용어 대신 ASA라고도 씁니다 보통 필림규격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 의 약자죠 미국표준규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유럽 표준 규격인 DIN(Deutsche

 

    Industric Normen) 과 함께 필름카메라에서 많이 사용해요 해서 DSLR이나 일반디카에서는 국제 표준

 

    규격인 ISO가 사용됩니다

 

    그럼 감도란 뭐냐 바로 필름의 빛에 대한 민감도를 얘기합니다  즉  빛에 의해 변화되는 속도를

 

    말하는 거죠 필름이 없는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CCD 나 CMOS 라는 칩이 내장되어 필름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ISO 100 이하의 저감도로 설정하면 카메라에 빛을 적게 들어오도록 하는 동시에

 

    선명도는 높여주는데 주로 밝은 대낮이나 조명이 상당히 밝을 때 사용합니다.

 

    어두운 곳에서 저감도로 촬영하게 되면 셔터속도를 느리게 해야 되니까 흔들림이 발생하게 됩니다.

 

    고감도로 설정을 하면 카메라에 빛을 많이 받아 들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셔터속도를 빨리 할수 있어서

 

    유리하나 초고감도로 설정 할수록  노이즈가 발생할 확율이 많아 사진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대신 셔터스피드가 느려지므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러다보니 주로 어두운곳에서 고감도로 올려서 촬영하게 되면 셔터스피드가 확보되어 원활한 촬영이

 

    됩니다 다만 그만큼 노이즈가 많아집니다

 

    포그란것은 이게 왜나왔는지 모르겠는데 FOG 안개입니다 보통 포그필터 포기필터란말을 많이 쓰는데

 

    사진에 결과물이 안개낀것  처럼 만들어주는 필터를 얘기합니다 소프트필터가 비슷한 효과를 내지요

 

    또다른것은 카메라에 포그현상이 나타나는게 있는데 오래된 렌즈나 열등에 의해서 렌즈가 변형되어

 

    안개처럼 나타나는 현상을 얘기하기도합니다(이것을 물어본것인지를 모르겠네요)

 

    일단 지금가지고 계신 카메라로도 카메라로 할수있는것을 알수는 있을겁니다 다만 메뉴얼모드

 

    수동모드로 변경하였을대는 셔터스피드와 노출,감도,조리개 값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배우실수는

 

    있을겁니다 좀더 전문적인것은 카메라의 한계로 표현에 한계가 나타나기야 하겠지만 그정도쯤

 

    되시면 다른카메라로 바꾸실때가 되실수도 있을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LR (single-lens reflex camera) 일안반사식카메라.

하나의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필름앞에 미러박스를 통하여 반사되어 뷰파인더에 맺히는 구조.

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빛이 미러박스를 통하여 반사되어 뷰파인터에 맺히다가 셔터를 누름과 동시에

미러박스가 올라가면서 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빛은 필름에 상이 맺히게 된다.

즉 SLR의 가장 큰 특징은 필름에 맺히는 상과 뷰파인더로 보는 상이 동일하다는 겁니다.

윗분의 설명중에 하나의 일안반사식 렌즈를 가지는게 SLR 이라는 설명도 잘못된 설명 입니다.

일안반사식 구조는 렌즈가 아닌 카메라바디에 있습니다.

 

 

DSLR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디지털인안반사식카메라.

SLR과 동일한 구조의 카메라이지만 필름이 아닌 디지털이미지센서를 탑재한 카메라 입니다.

 

SLR과 일반 카메라를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뷰파인더로 본 화상이 렌즈를 통해 들어온 화상인냐

아니냐 입니다. 즉 미러박스가 있느냐 없느냐죠.

자세히 보시면 SLR은 카메라 뒤쪼겡 뷰파인더가 있고 앞쪽은 막혀있습니다.

일반카메라는 카메라 앞뒤로 뷰파인더가 통해있죠.

이유는 DSLR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내부 미러박스를 통해 뷰파인더로 보내는 구조이고

일반 카메라는 렌즈와는 무관한 카메라를 앞뒤로 구멍을 내어 바깥을 보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렌즈를 통해 필름에 맺히는 상과는 전혀 다른 엉뚱한 화상을 보는 것이죠.

 

잘못된 상식중에 한가지가 SLR을 나누는 기준은 렌즈를 교환하는 카메라와 교환하지 못하는

카메라이다 라고 하는 겁니다.

거의 모든 SLR이 렌즈를 교환하는 카메라이다 보니 이런 잘못된 상식이 전해지는데 엄연히 렌즈를

교환하느냐 못하느냐로 나누는 구분 방식은 렌즈교환식 카메라와 렌즈비교환식 카메라 입니다.

 

S5500은 DSLR이 아닙니다.

S5500이 렌즈교환을 못해서가 아니고 미러박스가 없는 카메라이기에 DSLR이 아닙니다.

 

수동기능이 지원되는 디카는 조리개 , 셔터속도가 조절이 됩니다.

 

화각이란 쉽게 말해 렌즈의 초점길이에 따른 화상 각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볼록렌즈는 먼거리의 물체를 크게 볼수 있지만 넓게 보지는 못합니다.

반대로 오목렌즈는 넓게 볼 수 있지만 물체가 작고 멀게 보입니다.

즉 렌즈가 표현하는 화상의 각도를 화각이라 하고 망원렌즈는 볼록렌즈의 성질을 광각렌즈는 오목렌즈의 성질을 가집니다.

 

화상이란 뷰파인터를 통해 바라본 이미지나 필름 또는 이미지센서에 맺히는 이미지를 화상이라고 합니다.

 

피사계심도란 어떠한 파사체에 초점을 맞췄을때 그 초첨의 범위를 말합니다.

초점이 맞은 피사체를 제외한 배경이나 주변의 사물이 흐리게 표현되면 피사계심도가 낮다고 하며 

초점이 맞은 파사체와 배경 그리고 주변의 사물까지 또렷하게 표현되면 피사계심도가 높다고 합니다.

 

감도란 필름이나 이미지센서가 빛에 반응하는 예민성이리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OS 감도는 ISO 100 , ISO 200 , ISO 400 등등으로 표시하는데 수치가 높을 수록 빛에 민감하여 적은 빛으로도 화상을 밝게 표현 합니다. 하지만 수치가 높을수록 이미지에 노이즈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DSR 카메라? DSLR? 대체무엇인가요?

... 필름안쓰면 그냥 다 디저털 카메라DSR, DSLR 이니 이런것들은 대체 무엇인가요... 렌즈교환식인가? S5500은 그 DSR 이 아니래요 ㅠ ㅠ ?? 그리고 , 디카로도 조리개? 그런것...

SLR, DSLR차이

카메라SLR, DSLR차이가 무엇인가요? 답변 드립니다 SLR = 필름 카메라 DSLR = SLR 방식의 디지털 카메라 DSLR 경우에는 미러리스로 대체가 되어 단종 되었다고 보시면...

캐논 dsr카메라 살때 알아야 되는것들을...

... - 캐논 dsr을 살때 가장 유심히 봐야되는게 무엇인가... -dsr카메라는 얼마나 오래 쓸수있나요??... (청소도구,카메라융,DSLR활용책자) 라고 나온 상품이 있습니다.가격은...

DSLR 카메라 구입에 관해서..

... 보통 인터넷에서 DSLR 카메라 파는거 보면 여러가지 구성품이 있기도 하고 바디만 팔기도 하던데 대체 어떻게 사야하는지요.. 4. 번들렌즈란 무엇인가요 자세한 답변...

DSLR카메라 초보자가 쓸만한 카메라...

... 이 카메라 기종들을 DSLR이라고 부르는 지도 몰랐던... 대체 어떤 점이 나쁜 건지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2.... 기종은 무엇인가요? 그건 가격대가 어느 정도해요?...

카메라 DSLR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 DSLR 이라는건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ㅠㅜ 디지털 싱글렌즈 리플렉션 카메라의 준말입니다. 싱글렌즈... 가격 비교는 아래에 쇼핑정보로 대체하겠습니다. 최저가는 "내수...

찍을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 동영상이란 무엇인가 입니다. 동영상은 1초에... 디지털카메라(DSLR)처럼 정지영상/사진을 찍을수가 있습니다.... 진화/대체되고 스틸카메라 역시 필름대신 반도체로 빛을...

dslr과 캠코더 장비 정리좀...

... 오른손에 카메라 들고 왼손에 캠코더 들고 있다가... 결국 dslr로 캠코더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또 한가지... 풀프레임이 갖는 장점이 무엇인가요? 질문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