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파 화가들의 특징, 업적 등에 대해서(내공 60)

인상파 화가들의 특징, 업적 등에 대해서(내공 60)

작성일 2011.07.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명한 인상파 화가들 6명 정도의 특징, 업적 부탁드려요 ^^

인상파에 대한 정의를 요약해서 올려주시면 더 좋고요 ^^

다음주 수요일 안까지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

p.s: 내공냠냠, 카페홍보 등 이상한글 죄다 신고하고요,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세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시기에 따라 인상파와 후기인상파(신인상파)로 나눠지는데요

일단 후기인상파를 제외하고, 잘 알려져있는 인상파 화가 6명의 업적입니다.

출처는 백과사전이구요.

이 화가들 외에도, 모네의 스승인 외젠 부댕과, 여류화가인 메리 캐사트등이 있습니다.

 

 

인상파라는 말은 보불전쟁(프로이센-프랑스)이 일어난 뒤, 전쟁을 피한 화가들이 파리로 돌아와 카푸신 35번가 나다르 사진관에서 30명의 화가에 의한 제1회 전시를 열었을 때, 당시에 출품된 모네의 작품 《인상· 해돋이》이라는 풍경화의 제명()을 따서 루이 르루아라는 한 미술기자가 '인상파전람회'라는 말을《샤리바리》지 기사에 실은 것이 유래가 된 것입니다.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1840.11.14~1926.12.5]

파리 출생. 소년시절을 르아브르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화가 부댕을 만나, 외광()묘사에 대한 초보적인 화법을 배웠다. 19세 때 파리로 가서 아카데미 스위스에 들어가, 피사로와 사귀었다. 2년간 병역을 치르고 1862년 파리로 귀환, 글레르 밑에서 A.르누아르, A.시슬레, F.바지유 등과 사귀며 공부하였다. 초기에는 G.쿠르베와 E.마네의 영향을 받아 인물화를 그렸으나 점차 밝은 야외에서 풍경화를 그렸다.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전쟁 때 런던으로 피신, 이때 J.터너, J.컨스터블 등의 영국 풍경화파의 작품들에 접했다. 이것은 명쾌한 색채표현이란 점에서 커다란 기술적 향상을 그에게 가져다주었다.

1872년 귀국, 파리 근교의 아르장퇴유에 살면서 센 강변의 밝은 풍경을 그려, 인상파양식을 개척하였다. 1874년 파리에서 '화가·조각가·판화가·무명예술가 협회전'을 개최하고 여기에 12점의 작품을 출품하였는데, 출품된 작품 《인상·일출()》이란 작품 제명에서 인상파란 이름이 모네를 중심으로 한 화가집단에 붙여졌다. 이후 1886년까지 8회 계속된 인상파전에 5회에 걸쳐 많은 작품을 출품하여 대표적 지도자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한편 1878년에는 센강변의 베퇴유, 1883년에는 지베르니로 주거를 옮겨 작품을 제작하였고, 만년에는 저택 내 넓은 연못에 떠 있는 연꽃을 그리는 데 몰두하였다. 작품은 외광을 받은 자연의 표정을 따라 밝은색을 효과적으로 구사하고, 팔레트 위에서 물감을 섞지 않는 대신 '색조의 분할'이나 '원색의 병치()'를 이행하는 등, 인상파기법의 한 전형을 개척하였다. 자연을 감싼 미묘한 대기의 뉘앙스나 빛을 받고 변화하는 풍경의 순간적 양상을 묘사하려는 그의 작화()의도는 《루앙대성당》 《수련()》 등에서 보듯이 동일주제를 아침·낮·저녁으로 시간에 따라 연작한 태도에서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이 밖에 《소풍 The Picnic》 《강 The River》 등의 작품도 유명하며 만년에는 눈병을 앓았다. 1926년 폐암으로 86세에 세상을 떠났다.

 
 

에두아르 마네

[Edouard Manet, 1832.1.23~1883.4.30]

파리 출생. 인상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법관의 아들로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가 화가 지망을 허락하지 않아서 17세 때 남아메리카 항로의 선원견습생이 되었다. 남아메리카를 항해한 1850년 겨우 쿠튀르아틀리에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아카데믹한 역사화가인 스승에게 반발하여 자유연구로 나아가 루브르미술관 등에서 고전회화를 모사, F.할스나 벨라스케스 등 네덜란드나 에스파냐화파의 영향을 받았다.
살롱에는 1861년 겨우 입선하여 수상한 바 있으나, 처음부터 이색적인 작품은 그 후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낙선을 거듭하였다. 혁신적인 작품은 1863년 낙선전()에 전시된 《풀밭 위의 점심 Le D?jeuner sur l’herbe》, 1865년의 살롱 입선작《올랭피아 Olympia》로 일약 세상의 주목을 끌었다. 이 두 작품에 대한 비난은 지나쳤으나 도리어 그의 표현기법의 참신성과 밝음을 결정적으로 인상지어준 결과가 되었다. 이 사건 이래 화단과 문단 일부에서 열렬한 지지자를 얻었고, 자신을 경모()하는 C.피사로, C.모네, A.시슬레 등 청년화가들 사이에서 그 후에 대두될 인상주의에의 길을 여는 기연()을 이루었다. 그러나 마네 자신은 아카데미즘의 공인을 기다려, 인상파그룹의 전람회에 참가하기를 거부하고, 그들과 동일시되는 것을 대단히 꺼렸으나 한때는 인상파기법을 채용하여 제작한 적도 있다.
만년에는 레지옹 도뇌르훈장을 받았으나, 류머티즘으로 고생하여 육체적 피로도가 비교적 적은 파스텔화()를 그렸다. 그래도 《막시밀리안의 처형 L’Ex?cution de Maximilien》(1867),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Le Bar Folies-Berg?re》(1882) 등 유화의 걸작을 남기고 51세의 생애를 파리에서 마쳤다. 세련된 도시적 감각의 소유자로 주위의 활기 있는 현실을 예민하게 포착하는 필력에서는 유례 없는 화가였다. 종래의 어두운 화면에 밝음을 도입하는 등 전통과 혁신을 연결하는 중개역을 수행한 점에서 공적이 크다.
 

 

 

일레르 제르망 에드가 드 가스

[Edgar Degas, 1834.7.19~1917.9.17]

본명 일레르 제르맹 에드가르 드가(Hilaire Germain Edgar De Gas). 파리 출생. 부유한 은행가 집안의 장남으로, 처음에는 가업을 계승하기 위하여 법률을 배웠으나, 화가를 지망하여 1855년 미술학교에 들어갔다. 거기서 J.A.D.앵그르의 제자 L.라모트에게 사사()했고, 앵그르로부터도 직접 가르침을 받아, 평생토록 이 고전파의 거장에 대한 경의를 품게 되었다. 1856년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르네상스 작품에 심취하였다. 이 무렵부터 거의 10년간은 화가로서의 본격적인 수업기로 오로지 고전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1865년 살롱에 《오를레앙시()의 불행》을 출품하였다. 그 후 자연주의 문학이나 E.마네의 작품에 이끌려, 근대생활을 대상으로 하는 작품을 제작했는데, 1874년부터 1886년까지 인상파전에 7회나 출품 ·협력하였으나 그 후로는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그는 파리의 근대적인 생활에서 주제를 찾게 되자 더욱 재능을 발휘하여 정확한 소묘능력 위에 신선하고 화려한 색채감이 넘치는 근대적 감각을 표현하였다. 인물동작을 잡아 순간적인 포즈를 교묘하게 묘사하여 새로운 각도에서 부분적으로 부각시키는 수법을 강조해왔다. 경마나 무희, 욕탕에 들어가거나 나오려는 여성의 한 순간의 동작을 즐겨 그렸다. 이러한 그의 눈과 기량은 파스텔이나 판화에도 많은 수작을 남겼을 뿐 아니라, 만년에 시력이 극도로 떨어진 뒤에 손댄 조각에까지 더없는 걸작을 만들어냈다. 선천적으로 자의식()이 강한 성격 때문에 독신으로 보냈고, 그의 인간혐오증은 늙어갈수록 더하여 고독한 가운데 파리에서 83년의 생애를 마쳤다. 파리 인상파미술관에 소장된 대표작 《압생트》(1876) 《대야》(1886)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Auguste Renoir, 1841.2.25~1919.12.3]

프랑스 리모주 출생. 4세 때 파리로 이사하였다. 집안이 가난한 양복점이어서 13세부터 도자기공장에 들어가 도자기에 그림 그리는 일을 하였다. 이곳에서 색채를 익힌 것이 뒤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 무렵부터 점심시간에는 루브르미술관에서 J.A.와토나 B. 부셰 등의 작품에 이끌려 화가가 될 것을 꿈꾸었다. 그러나 4년 후 기계화의 물결에 밀려 실직, 겨우 부채그림이나 점포장식 등을 하였다. 1862년 글레이르의 아틀리에에 들어가 C.모네, A.시슬레, 바지위 등을 알게 되고 또 C.피사로, P.세잔, J.B.A.기요맹과도 사귀어, 훗날 인상파운동을 지향한 젊은 혁신화가들과 어울리게 되었다.

이리하여 초기에는 코모, 들라크루아, 쿠르베 등의 영향을 받았고,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종군한 후에는 작풍도 점차 밝아졌다. 그리하여 인상파의 기치를 든 1874년 제1회 전람회에는 《판자 관람석》(1874)을 출품하였고, 계속하여 제2회와 제3회에도 참가하여, 한동안 인상파 그룹의 한 사람으로서 더욱더 눈부시게 빛나는 색채표현을 전개하였다. 대작() 《물랭 드 라 갈레트 Le Moulin de la Galette》(1876)와 《샤토에서 뱃놀이를 하는 사람들》(1879)은 인상파시대의 대표작이다.

1881년 이탈리아를 여행, 라파엘로폼페이의 벽화에서 감동을 받고부터는 그의 화풍도 마침내 한 전기()를 맞이하였다. 귀국 후 얼마 동안의 작품은 색감과 묘법()이 크게 바뀌었다. 즉 담백한 색조로써 선과 포름을 명확하게 그려서 화면구성에 깊은 의미를 쏟은 고전적인 경향을 띤 작품들로 《목욕하는 여인들》(1884~1887) 등을 그렸다. 그 후는 완전히 인상파에서 이탈하여 재차 독자적인 풍부한 색채표현을 되찾아 원색대비에 의한 원숙한 작풍을 확립하였다. 더욱이 1890년대부터는 꽃 ·어린이 ·여성상, 특히 《나부()》(1888) 등은 강한 의욕으로 빨강이나 주황색과 황색을 초록이나 청색 따위의 엷은 색채로 떠올리면서 부드럽고 미묘한 대상의 뉘앙스를 관능적으로 묘사하였다.

프랑스 미술의 우아한 전통을 근대에 계승한 뛰어난 색채가로서, 1900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만년에는 지병인 류머티즘성 관절염 때문에 손가락에 연필을 매고 그리면서도 마지막까지 제작하는 기쁨을 잃지 않았다. 최후 10년 간은 조수를 써서 조각에도 손대어 《모자()》(1916)와 같은 작품을 남겼다.

 

 

 

폴 세잔

[Paul Cézanne ,1839.1.19~1906.10.22]

남프랑스의 엑상프로방스 출생.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으며 어린시절 친구 E.졸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1859년 아버지의 권유로 엑상프로방스의 법과대학에 입학하였으나 1861년 그만두고 졸라의 권유로 파리의 아카데미 스위스로 학교를 옮겼다. 여기에서 C.피사로, A.기요맹 등을 알게 되고, 후에 인상파화가들과 인연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

한때 미술학교 시험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지기도 했으나 72년 퐁투아즈에서 헤어졌던 피사로와 만나 다시 그림에 전념하기 시작하고 인상파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러나 그 때까지만 해도 단지 반관전()이라는 입장에서 동조하는 정도였으며, 학풍에서는 C.모네나 피사로에서 볼 수 있는 순수한 외광파()에 속하지는 않았다.

1874년 제1회 인상파전에 출품한 작품에서 보여준 빛과 색의 배합은 한층 인상파작가로 접근해 가는 듯한 느낌을 주었으나 제3회 인상파전을 고비로 차차 인상파를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구도와 형상을 단순화한 거친 터치로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이 때의 작풍이 더욱 발전하여 후에 야수파입체파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근대회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동기가 되었다.

1896년 인상파그룹과 결별하고 고향인 엑상프로방스에 돌아와서는 작품에만 몰두하였으며 4년 후인 1900년경부터는 재능과 독특한 작풍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연은 구형 ·원통형 ·원추형에서 비롯되는 것이다”라고 견해를 밝힐 만큼, 자연을 단순화된 기본적인 형체로 집약하여 화면에 새로 구축해 나가는 자세로 일관했다.

그는 20세기 회화의 참다운 발견자로 칭송되고 있으며, 피카소를 중심으로 하는 입체파(cubisme)는 세잔 예술의 직접적인 전개라고 볼 수 있다. 작품을 구분하면 《목맨 사람의 집》(1872)이 그의 전기작품(인상파) 중에 손꼽히는 걸작이며, 《에스타크》 《카드놀이하는 사람들》 등은 원숙기의 작품이며 《목욕하는 여인들》《생트빅투아르산》 등이 대표적인 후기작품들이다. 그 밖에 정물에 관한 그림과 초상화에도 많은 걸작을 남겼다.

 

 

알프레드 시슬레

[Alfred Sisley, 1839.10.30~1899.1.29]

파리 출생. 모네, 피사로와 비견되는 대표적인 인상파화가로 평생을 프랑스에서 살아 국적은 영국이지만 프랑스 화가로 통한다. 한때 부친의 권유로 영국으로 건너가 상업에도 종사했지만, 그림을 좋아하여 1862년 파리에 있는 C.글레르의 아틀리에에 들어가 거기서 C.모네, 르누아르 등과 친숙하게 지냈다.

1866년 살롱에 첫 입선하고, 1870년 보불전쟁을 피해 런던으로 갔다. 이때부터 점차 초기의 G.쿠르베나 J.B.코로풍()의 작풍을 청산하고, 자연을 외광() 아래서 포착하는 밝은 화풍을 확립하였으며, 1874년 이후는 인상파그룹전 등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는 인상파 중에서도 특출하게 순수한 풍경화가로서 일 드 프랑스지방(파리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을 대상으로 물과 숲의 반짝임을 묘사한 많은 수작을 남겼다. 대표작으로 《밤나무숲의 오솔길》(1867) 《아르장튀유의 길》(1872) 《마를리항구의 만조》(1876) 《루브시엔, 겨울》(1874) 《홍수 속의 보트》(1876) 등이 있다.

 

 

 

 

화가들의 특징, 업적 등에 대해서(내공 60)

유명한 인상파 화가들 6명 정도의 특징, 업적 부탁드려요 ^^ 인상파에 대한 정의를... s: 내공냠냠, 카페홍보 이상한글 죄다 신고하고요,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세요...

미술사에끼친업적및가치(내공30)

아래 화가들이 미술사에 끼친 업적 및 가치 좀 알려주세요.... 대는 차츰 파리의 유력한 화가로서 주목을 받는... 도자기에 대해서도 눈을 떴다. 방스는 피카소가 살았던...

(급함! 내공 60검니다!!)

... 후기인상파특징화가 그리고 대표적인 작품 이걸... 연락처 )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 부탁드립니다.... 사실주의에 대해 설명해보아라 19c중엽 고전주의가...

위인조사(급급급내공60!!!!!!!)

... 뉴턴의 최대 업적은 물론 역학(力學)에 있다. 일찍부터 역학 문제, 특히 중력 문제에 대해서는 광학과 함께 큰... 연주하는 많은 일화가 있다. 작곡가로서 그의...

수학자들의업적

... 최대한 많은분 해주세요..내공50드림!! 가르베르스... 체계화가 두드러진 업적이다. 괴팅겐에 자기관측소를... 그런데 이 중 상대방의 최적전략에 대해서만 최적인...

셰계위인의 이름과 업적

... 이름과 업적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40... 했는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동시대 천문학자... 렘브란트, 밀레등의 어두운 화풍대신에 인상파의 밝은 화풍을...

락의 종류와 그 특징대해서...

... 그래서 록 연주가들은 이 악기에 대해서 지대한... 행동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음악적 프로그램에다 시각적인 면을 더한 것이 글리터 록의 특징이었다....

스코틀랜드에대해서좀요~~내공

스코틀랜드에 대해서 이번주 안 으로좀 써주세여.. 1. 지형적인 특징 2.위치 3.기후 4.국민성 5.음악(어떤게 있는지) 6.역사 7.문화 8.자랑할것 내공있고여,,,80드릴게여...

방학숙제인데요........업적조사

... 업적조사가 있는데요 .... 좀 잘해갈려고 그룹별로 모아서 할려고 하거든요 좀 많을 지도 모르겠지만....내공은... 대는 차츰 파리의 유력한 화가로서 주목을 받는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