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공예....

한지공예....

작성일 2014.08.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방학숙제로 한지공예 뜻을 조사해서 A4 1장이상 채워야하는데 한지공예의 뜻 자세하게 써주세요..

 

※한지공예의 뜻,특징 등 포함되면 좋구요..^ㅁ^


#한지공예 작품 #한지공예 만들기 #한지공예 종류 #한지공예 재료 #한지공예 재료 파는 곳 #한지공예 작가 #한지공예 문양 #한지공예 배우기 #한지공예 골격 #한지공예 도안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한지(韓紙)란?
보통 조선종이라고도 한다. 닥나무[楮]나 삼지닥나무[三枝楮] 껍질을 원료로 하여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제작한 독특한 종이를 말한다.

주산지(主産地)는 전라남도 장성군 일대이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곳은 한말 지소(紙所)를 두었던 장성읍 상오(上蜈)마을이다.



한지는 용도에 따라

그 질과 호칭이 달라 문에 바르면 창호지, 족보.불경.고서의 영인(影印)에 쓰이면 복사지, 사군자나 화조(花鳥)를 치면 화선지(畵宣紙), 연하장.청첩장 등으로 쓰이는 솜털이 일고 이끼가 박힌 것은 태지(苔紙)라고 한다.


▣ 한지(韓紙)공예란?
닥나무로 만든 한지를 천연염료로 색색이 물들여 미송이나 오동나무 또는 합지로 만든 골격에 여러 번 덧발라 문양을 넣는 것으로서, 적, 청, 황, 흑, 백 오색을 기본으로

장, 함, 반짇고리, 상보, 빗집, 담배쌈지, 예단 3합상자, 고비 등 혼수용품을 주로 만든다.



현재 색지 공예는 내구성과 내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라카나 니스 칠을 주로 하며

나전칠기가 가지지 못하는 화려하고 담백한 멋을 문양과 함께 나타냈는데



문양은 크게 서금문양, 서화 서초문양, 길상문양, 자연상징문양,

기하학적 문양과 인물, 단청, 민화 등도 즐겨 사용됐으며,

이밖에도 한지를 재료로 하는 지승공예 등 이 있으며

무속이나 불가의례 때에 장식용으로, 세시풍속의 인, 부채, 탈 등을 만드 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종이를 재료로 한 색지공예는 실용성과 장식용을 함께 요구하는 현대 생활용품에 적합한 소재이며 제작기법이 간단하여 취미생활 뿐만 아니라,

색상과 문양이 다양하고 재질이 포근하고 단단해 그 쓰임새가 많아 관광 공예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 한지(韓紙)공예의 특징



♠ 한지 재료로 제작되므로 부드럽고 포근하다.

♠ 여러 겹으로 배접하므로 견고하고 단단하다.

♠ 다양한 색지가 있어 개성 있는 작품을 완성할 수가 있다.

♠ 재료 구입이 용이하고 경제적 부담이 적다.

♠ 장식성과 실용성이 뛰어나다.

♠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다.

♠ 전통 문화의 접근이 쉽고 계승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 외국인에게 우리 전통공예품의 아름다움을 알릴 수 있다.

♠ 작품뿐만 아니라 상품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 한지(韓紙)공예의 종류

(1) 지장공예(紙裝工藝)

(2) 전지공예(剪紙工藝)

(3) 지승공예(紙繩工藝)

(4) 후지공예(厚紙工藝 )

(5) 지호공예(紙糊工藝)

(6) 지화공예(紙花 工藝)


(7)한지그림



(8)닥종이인형



(9)팬시



(10)인테리어


(1) 지장공예(紙裝工藝)


지장공예나무로 골격을 짜거나 대나무, 고리 등으로 뼈대를 만들어 안팎으로 종이를 여러겹 발라 만든다.

종이만 발라 마감하기고 하고 그 위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 마무리하기도 하였다.


(2) 전지공예(剪紙工藝)

전지(剪紙)
공예라 함은 가위나 조각칼을 사용하여 한지를 오려 붙여 완성한 공예를 말하는데, 좀더 정확한 표현은 문양을 한지에 그린 후 문양의 선을 따라 가위나 조각칼로 오려 준 후, 골격 바탕면에 한지로 초배 한 후 작품의 성격에 맞게 오색지로 나누어 붙여, 오려진 문양을 붙이고 마감칠을 해준 작품을 가리킨다.


(3) 지승공예(紙繩工藝)


좁고 길게 자른 종이를 손으로 꼬아 노끈처럼 만들고 그것을 다시 엮어서 여러 가지 기물을 만드는 것인데 이것을 지승 또는 지노, 노살린다라고 한다. 지승 공예는 짜는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무늬가 나온다. 때로는 색지나 검은색 물을 들인 종이를 함께 써서 무늬를 내기도 하였으며 굴곡이나 변화를 주어 갖가기 형태를 연출하기도 했다.

한지를 약 1~2cm 폭으로 잘라 주어서 꼬아 준 후 기물을 엮어가면서 만든 것도 있으며 두세겹 포개서 작품을 한 것도 있고, 폭을 3~5cm에 2~3겹 포개서 만든 작품도 있다.


(4) 후지공예(厚紙工藝 )


종이를 여러 겹 붙여 두껍게 만드른 기법을 후지기법이라 한다. 두껍게 만든 종이를 여러번 접어 갖가지 형태의 기물을 만드는데, 표면에는 요철로 무늬를 넣기도 한다. 칠을 하여 튼튼하게 만든 공예품은 가죽과 같은 질감이 난다.


(5) 지호공예(紙糊工藝)


재료는 주로 양지를 사용하였다. 신문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난 후의 폐지를 이용하여 기물을 만들었는데, 장인들의 솜씨가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작품들이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편이다. 손재주가 있는 일반 서민들이 만들어서 사용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종이를 잘게 찢어 물에 불린 뒤 찹살 풀로 섞어 반죽한 다음 찧거나 만져주면 끈기 있는 종이죽이 된다. 이것을 골격에 조금씩 붙여가며 말리고 또 덧붙여 마지막에 골조를 떼어내고 옻칠을 하여 마무리하는 공예기법이다.


(6) 지화공예(紙花 工藝)


한지를 여러겹 접어서 다양한 형태로 꽃이나 새 등의 모양을 오려서 만드는 기법이다. 무속인들이 굿을 할 때 쓰는 지화 또는 궁내의 행사나 불교문화에 많이 쓰였다.



(7)한지그림

지화공예(紙畵工藝)

라고도 하는데, 한지를 찢거나, 다 쓴 볼펜, 혹은 송곳 따위로 윤곽선을 낸 후 자연스럽게 뜯어 붙이는 그림인데, 수채화 같은 느낌을 주는 부드러운 느낌이 많은 이들에게 호감을 주어 독자적인 예술 작품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8)닥종이인형
한지는 색상이 부드럽고 우리 고유의 질감이 뛰어나다, 이 뛰어난 한지로 여러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그 중 하나가 닥종이인형이다. 닥종이 인형은 한지를 찢어서 여러겹 계속해서 붙여 형태를 만든다.


(9)팬시
종이로는 우리가 상용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문구들이 많이 나와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한지로 만든 문구용품들도 많이 나와 있다. 색상도 다양하고 종류도 다양하고 한지만의 멋을 살린 것이 예쁘게 표현되고 있다.

.카 드

.메모패드


(10)인테리어
한지로 만든 인테리어 부문은 다양하다. 전등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많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정이나 카페,주점 등에서 만이 볼수 있다.전등은 지장,지호,지승, 색지,후지공예를 이용하여 만든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 문양의 종류
(1) 서수 서금 문양 (瑞獸瑞禽文樣)



(2) 서화 서초 문양 (瑞花瑞草文樣)



(3) 길상 도안 문양 (吉祥圖案文樣)



(4) 기 하학적 문양 (幾何學的文樣)



(5) 자연 상징 문양 (自然象徵文樣)



서수 서금 문양 (瑞獸瑞禽文樣)




▷ 호랑이 문양 :백수의 왕을 상징하여 옛날 무관의 흉배에 수놓았으며 까치나 산신도 다른 소재와 함께 많이 사용하였다. 잡귀를 막아 준다는 뜻에서 민화나 모든 공예품에 호랑이 문양을 많이 썼으며 색지 공예에도 연, 부채, 상자 등 여러 작품들에 즐겨 썼다.



▷ 용 문양 :용은 상서로움을 뜻하는 상징적 동물로 동양에서는 힘과 선의 수호신이며, 자연을 새롭게 하는 봄의 상징이다. 곤룡포를 비롯하여 용상이나 궁전의 천정 등 왕가의 상징으로 쓰였으며, 색지 공예에서는 함, 장롱 등에 쓰였다.



▷ 봉황 문양 :닭의 머리, 뱀의 목, 제비의 턱, 거북이의 등, 물고기의 꼬리 같은 형상으로 동양에서는 천황의 상징이기도 했다. 색지 공예에는 함, 상자, 장롱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 학 문양 :십장생의 하나로 모든 조류 가운데 가장 장수하며 창공의 서운 사이를 난다고 한다. 문관의 흉배나 수예, 서화, 공예에 널리 쓰인다.


▷ 닭 문양 :밝음을 예고하는 새로, 때를 맞추어 울기를 잘하므로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리는 신조로 생각되었으며 새벽에는 귀신을 쫓는 대길의 새라고 생각되었다.서수 서금 문양 (瑞獸瑞禽文樣)
- 2



▷ 기러기 문양 :기러기는 신금이라 부르며 한번 맺어진 짝은 절대 헤어지지 않는다는 수절의 새로 사이 좋게 백년 해로라는 의미로 쓰인다.



▷ 원앙 문양 :암,수가 사이가 좋으므로 부부의 금슬을 염원하는 뜻에서 많이 썼다.



▷ 박쥐 문양 :잡귀를 쫓는다는 의미 외에 강한 번식성을 상징하므로 다남과 자손 번창을 희구하는 의미를 지녔다. 상자, 반짇고리 등 여성용 색지 공예품에 많이 쓰인다.



▷ 나비문양 :여름 또는 부부의 금슬이 좋음을 상징하여 이불깃이나 가구 장식 문양, 보자기, 혼례 의상이나 대례복의 문양으로 다양하게 쓰였다. 나비 자체의 화려한 형태로 인해서도 여성용품이나 고비 등에 많이 선호되었다.



▷ 물고기 문양 :물고기는 인내를 상징하며, 넉넉하게 풍족한 여유를 뜻하였다. 또한 한 쌍의 물고기는 길함을 뜻하고 악을 피하는 부적으로 쓰였다.


(2) 서화 서초 문양 (瑞花瑞草文樣)




▷ 연화문양 :연화는 불교의 이상화이며 믿음의 상징적 꽃이다. 연화 문양은 행복을 불러온다는 뜻으로 함, 상자 등에 많이 사용됐다.



▷ 당초 문양 :당초라는 뜻은 당풍 즉, 이국풍의 덩굴이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식물의 실제적 생태를 본떠서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시킨 장식 무늬의 유형이다.



▷ 목단 문양 :목단은 예로부터 부귀를 상징하는 꽃이라 하여 부귀화라 불렀다. 또한 다른 여러 문양과 함께 쓰여 장수와 공명과 평안한 미래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다. 색지 공예의 과반, 상자 등에 자주 쓰였다.



▷ 국화 문양 :사군자의 하나로 윤택하고 호걸 같은 풍채를 지녔다고 하여 군자의 기상에 비유되어 왔다. 또한 장수의 꽃으로 여겨져 필통, 지통, 과반 등에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 대나무 문양 :군자라 하여 평안을 의미하며 곧은 성격과 완전 무결한 지조를 상징한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竹과祝 이 동음인 것을 착안하여 축수의 의미로 취죽도를 많이 그렸다.


(3) 길상 도안 문양 (吉祥圖案文樣)




▷ 태극 문양 :태극은 천지가 개벽하기 이전의 상태로서 우주 만물 구성의 가장 근원이 되는 본체를 일컫는다. 지공예품에는 변형된 태극 문양이 많이 사용되는데 그 종류에는 이태극, 삼태극, 사태극과 그 외에 몇 가지를 사용한다. 단독으로도 사용한 것이 있으나 다른 색 위에 배접하여 많이 사용하였다.


▷ 문자 문양 :장수를 바라는 마음에서 수(壽)자 문양과 오복을 기원하는 복(福)자 문양, 안녕의 녕(寧)자 문양, 건강을 기원하는 강(康)자 문양 등을 사용하였다. 한두 자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복강녕(壽福康寧), 부귀다남(富貴多男), 효제충신(孝悌忠信)
등의 여러 자를 연결해서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하게 문자를 변형시켜서 쓰기도 하였다.


♧ 길상 도안 문양에는 이외에도 만(卍)자를 응용한 완자 문양,
팔괘, 여의주,별전 문양 등이 있다.



(4)幾何學的 문양

▷ 창살 문양 :집안의 방문이나 창문의 살은 여러 형태로 짜여 있으며, 이를 그대로 또는 변형 시켜 사용하였다. 그 짜임이 마치 비단을 짜는 것과 같아서 흔히 금문이라 부르는 것이다. 장생불사, 다부, 다복(多福)의 의미를 간직한다.



▷ 방환 문양 :두개의 원을 사슬처럼 묶은 형태나 여러 원을 연속시킨 형태를 가리키며 주로 테두리 부분에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번개, 완자, 회 문양 등이 기하학적 문양에 속한다.


(5) 자연 상징 문양 (自然象徵文樣)


▷ 십장생 문양 :세상을 밝게 비추는 해, 불변하는 산, 속세를 벗어나 풍류를 즐기는 듯한 구름, 굳은 절개를 의미하는 소나무, 깨끗함을 뜻하는 물, 탈속의 높은 기상을 지닌 학, 곧고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대나무, 선과 평화를 의미하는 사슴, 수호와 복을 상징하는 거북, 불로장생한다는 불로초의 10가지를 십장생이라고 하며 그림이나 공예의 문양에 사용하였다.



▷ 비운 문양 :바람에 불리어 날아가는 구름의 모양을 형상화시킨 문양이다. 비운은 산악과 수목 그리고 사신이라 불리는 사수의 위나 주위에 또는 천상계의 신선 .천인의 주위에 환상적으로 쓰이기도 했다.


♧ 자연 상징 문양에는 이밖에 일월상, 일월오악도(日月五嶽圖)
, 보운,화염문양 등을 들 수 있다



▣ 재료와 공구

▶ 삼각자 : 수직선을 정확히 긋는 데 쓰인다.

▶ 30cm 자 : 소품 제작 시 간격을 재거나 선을 그을 때, 재단할 때 쓰인다.

▶ 60cm 자: 대형작품 제작 시 간격을 재거나 선을 그을 때, 재단할 때 쓰인다.

▶ 각도기 : 5각형, 6각형, 8각형 등을 그릴 때 정확히 각도를 나눈다.

▶ 콤파스 : 태극 문양 등의 곡선이나 원형을 그릴 때 쓰인다.

▶ 커 터 : 판지나 색지를 재단할 때, 칼날을 똑바로 세워 잘라낸다.

▶ 조각도 : 섬세한 문양을 오릴 때 쓰인다.

▶ 가 위 : 한지나 색지를 재단할 때 쓰인다.

▶ 샤 프: 꼭지점이나 길이를 표시할 때, 선을 그을 때, 문양을 복사하거나 직접 그리는 데 필요하다.

▶ 지우개 : 연필로 그은 성을 수정할 때 쓰인다.

▶ 스테이플러 : 문양이나 색지를 여러 장 겹쳐 오릴 때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시킨다.

▶ 망 치 : 작품을 마무리 할 때 튀어나온 부분 등을 고르게 할 때 쓰이며 대작을 만들 때 많이 쓴다.

▶ 풀칠 붓 : 종이에 고루 풀칠 할 때나 작품 전체에 풀칠 할 때 크고 작은 두 종류로 갖추면 좋다.

▶ 락카 칠 붓 : 락카 칠할 때 쓰인다.

▶ 밀가루 풀 : 시중에 판매도 하고 있으며, 집에서 농도 조절해 만들 수도 있다.

▶ 락 카 : 스프레이 형식도 있고 많이 쓸 경우는 칠할 수 있는 락카를 구입해도 좋다.

▣ 한지공예 만들어 보기
(1)
12각 풍열반 만들기
(2)
2단 서랍 전화 받침 만들기
(3)
8각등 만들기



(1)12각 풍열반 만들기

먼저 3mm 두께의 골판지를 다음과 같이 재단하고,카터칼로 쇠자를 대고 골격을 오린다. 이후 순서에 맞게 작업한다.
(2)
2단 서랍 전화 받침 만들기

- 골격을 오린다.

- - 골격을 조립한다. ‘12각 풍열반’ 제작 과정과 동일하게 한다.

- 한지 오리는 과정에서 기본 골격보다 10 ~ 15cm 더 여유 있게 자른다.
(나중에 구겨 붙이려면 여유분 필요함)


- 한지 구김 기법으로 개성 있게 멋을 부린다.

- 고무 장갑을 끼고, 목장갑에 락스를 묻혀 신문지 등에 찍어 물기를 적절히 제거한 뒤 작품에 골고루 찍어 가면서 탈색한다. 말라가며 색이 점점 옅어지므로

변화 과정을 보며 본인의 취향에 적당한 정도로 탈색하도록 한다.

- 적당히 마르면 전체적으로 풀칠을 한 번 더 해 준다.

- 완전히 마른 후 라카칠로 마감을 해 준다.





(3)

8각등 만들기



1)

골격 오리기
* 상부 골격 9.5cm(높이)×5.5cm×8면(면구분선에 칼집만 넣는다.)

* 하부 골격 15.5cm(높이)×5.5cm×8면(면구분선에 칼집만 넣는다.)

* 얇은 투명 아크릴판 27cm(높이)×5.5cm×8면(
면구분선에 칼금만 낸다.
* 정팔각형 골격(한 면 5.4cm) 2장 (2장 중 1장은 가운데 부분을 꽃 모양으로 오려낸다.)

2)
한지 자르고 붙이기
3)
골격 조립하기
4)
문양 오리기
5)
문양 붙이기
6)
전체 풀칠하기





저는한지공예중전지공예해요ㅎㅎ





오래된 한지공예

한지공예작품을 선물로 받은지 10년이 넘어 약간의 때와... 네, 한지공예품은 오래 사용하다보면 약간의 때와 색이... 이렇게 해주시면 오래된 한지공예품도 깔끔하고 아름답게...

한지공예질문!!!

한지공예를 할때 너무 습하게 놔두면 곰팡이가 생긴다고... 한지공예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혹시 마감처리가 잘 되지 않아서 그럴수 있어요. 한지공예 작업후 바람으로 잘...

한지공예가가 되려면

... 한지공예가 딱생각났는데요 검색해보는데 정보도 별로없고 어디 물어볼 곳이 없네요ㅎㅎㅎ 한지공예가가되려면 자격증을 따야하나요? 어디서 따야하나요? 한지공예가는...

한지공예에 대해서

저 미술때문에 그러는데요 미술 한지공예를 하려는데요.. 한지공예는 어디서 사야하나요? 화방 같은곳에서도 파나요? 그리고 한지공예 모양은 사면 같이 들어 있나요? 좀...

한지공예(내공有)

저기요 제가 한지공예를 하려고 하는데 한지를 붙일때 무엇으로 풀칠을 해야할지... 또 한지공예할때 사용 하는 도구도 알려주세여 한지공예로 보석함 같은 이쁜거 있음...

한지공예 제대로 배우고 싶네요..

저는 한지공예를배우면서 직업을 삼고 싶어서 우선자격증을 준비하고있는데요.....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요즘은 한지공예를 접하시는 분들이 많은것같아요 한지공예의 매력을...

한지공예....

안녕하세요~ 방학숙제로 한지공예 뜻을 조사해서 A4 1장이상 채워야하는데 한지공예의 뜻 자세하게 써주세요.. ※한지공예의 뜻,특징 등 포함되면 좋구요..^ㅁ^ ▣ 한지(韓紙)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