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를 하려고하는데요 좀힘든가요?

조소를 하려고하는데요 좀힘든가요?

작성일 2004.04.2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조소를 하려고하는데요.....

미래에 그걸 해서 제가 성공할수잇는지.

미래 전망은 어떤가요???????

좋지않나요???????

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 선답변하신 분과 다른 의견입니다

백남준,이불 전수천 같은 설치미술 하시는분들도 조소 범주내에 들어가거든요

물론 조소를 하게되면 기초적인 엄청난 양의 흙을 다루게 되어 좀 힘든건 있지만
성취감은 일반 회화보다 더 만족 스러울 겁니다.

창의성있는 작품 소재가 그것을 말해줍니다

미래에 있어서 조소는 환경에 어우려진 것으로 발전되어야하며 비젼이 없는건 아닙니다.
중학교3학년 여학생이면 충분한 시간을 갖고 그꿈을 이룰 수 있다고 봅니다.

여자라서 더 섬세하고 특이한 소재에 더 가까웁게 다가 설수가 있는 점도 있습니다.

초창기 여류조각가 김정숙씨는 주부였지만 늦게나마 홍익대학에 진학해서 그 역량을 충분히 ..다고 봅니다.

도전 해 보십시요

자신감에 찬 신념으로 말입니다!

mandu0819 우리나라에서 처음 조각이 시작된건언제인지,->신석기
ryum2001 (2004-03-04 13:21 작성, 2004-03-06 10:58 수정)
작품은 무엇인지,(토우,장승,허수마비,망주석,망부석,불상,종교조각상 등등)
그전부터 우리나라에 있었던 조각 ( 조각류로는 土偶 ·장승 ·허수아비 ·망주석 ·망부석 ·문무인석 그리고 돌하루방 같은 사람.허수아비 모양의 환조 또는 부조가 있다.전통조각-불상. 종교조각)

최초의 조각가(김복진(井觀 金復鎭;1901∼1940))
한국최초 여류 조각가
한국 최초의 여성: 조각가 김정숙 (1917-1991)
1922∼1973 권진규
조 각 가  문 신 文信 (1923~ 1995 )
송영수(1930~1970)
추상조각의 1세대로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을 지낸  최만린
서구식 조각의 시작(金景承, 金鍾瑛, 尹承旭, 尹孝重, 文錫五
최초의 조각가

 


http://www.hoammuseum.org/program/pds/00/KB_21.PDF 한국 현대조각의 개화기이자 도입기이기도 한 시기를 유럽의 15세기 르네상스 조각의 탄생에 견주는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두드러진 이유는 우리의 오랜 조각의 역사에서 마침내 처음으로 대상(모델)의 관찰에 입각한 조각, 그것도 인체 조각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며 조각가의 개성적 관찰과 표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순수한 창작으로서의 인체 조각이 처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도입의 시기에 나타난 선구자들로 金景承, 金鍾瑛, 尹承旭, 尹孝重, 文錫五
한국 인체 조각의 표현양식에 관한 한 우리는 한데묶어 사실조각 또는 구상조각이라는 포괄적 양식개념으로 수용할 수는 있으나 가령 유럽의 조각에서처럼 표현주의 조각이나 큐비즘 조각처럼 특정한 시기의 정신적 상황을 반영한 창조로서의 인체 조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 지적이다.
그런 만큼 이미 60년대 이전에 표현주의 경향을 강하게 나타내 보인 崔滿麟, 吳宗旭의 인체 조각 작품과 큐비즘 경향의 인체 작품을 발표한 金貞淑, 崔義淳의 작업, 그리고 일찍부터 독창적인 貝象樣式의 인체 조각을 착수 전개시키고 있는 崔鍾泰의 작업은 한국 인체 조각의 창작과 전개에 값진 교훈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0년의 한국현대 조각사를 통틀어 나타난 인체 조각의 전반적흐름은 여전히 조각가들의 관심이 현실의 체험적 관찰에 디디고 선 참다운 의미에서의 리얼한 인간상 창조보다는 인체라는 하나의 개념화되고 통념화한 고정관념에서 글자 그대로 인체를 소재로 한 단순한 조형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70년대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이른바 새로운 구상계열의 조각가들이 보여준 인체 조각에서 하나의 두드러진 증상으로 입증되는 바 이들의 양식화하고 부풀은 과장된 인체 조각은 결코 70년대 한국인의 모습이기보다는 양식화를 위한 양식화의 단순한 작업에 지나지 않는다.우리의 현대 조각은 전통조각에서 관념을 형상화하고 어떤 뜻을 조각적으로 시각화하고 형상화하는 뛰어난 재능을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그와 함께 도입기의 어려운 시기에 조각예술에 몸바친 위대한 선구자들로부터 리얼리즘의 값진 정신을 이어받았다.
http://www.eduart2000.com/nonmun/nonmun/김기현98.hwp 정관 김복진(井觀 金復鎭;1901∼1940)은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근대 서양조각의 기법을 익힌 작가이다
조소의 예술교육, 그리고 비평에 힘을 기울였다. 조소미술 창작에 불교의 접합인 불상의 제작은 후기 김복진이 보여준 20세기 최고의 찬사를 받는 걸작품으로 부각되고 이로 인하여 청년시절과는 구별되는 다른 점으로 연구 되어졌다.
김복진을 조소미술의 영역으로만 국한하여 연구를 한다는 것은 다소의 아쉬움이 있다. 그 이유는 김복진이 조소예술가 이기전에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이념, 그리고 불교사상을 아우르고 있으며 특히 인본주의의 바탕위에 폭넓은 리얼리즘의 예술세계를 일구었다.
 http://sookmyung.ac.kr/~moonshin/profile.html 조 각 가 문 신 文信 (1923~ 1995 ) 
 
한국 최초의 여성: 조각가 김정숙 (1917-1991)
http://www.women.or.kr/history/challenge/first/kimjsf.html
한국 최초의 여성 조각가는 김정숙이다. 김씨는 서울 출신으로 1949년 홍익대학교 조각과에 입학하여, 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55-1956년 미국의 미시시피 대학교와 크랜부룩 아카데미 오브 아트와 1958-1959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 등에서 수학하였다. 귀국 후 1983년까지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74년 한국 여류 조각회를 창설하고 82년까지 회장으로 역임하였다. 순수성, 자연적, 유기적 특성을 지닌 김씨의 조각은 국내 조각계에 현대 조각의 양식을 도입하는데 기여했다.
김씨는 한국 현대 조각을 이끌어간 주요 작가의 한 사람으로 유기적 인체의 영상을 담은 추상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작품세계의 주된 소재는 바로 인체이다.
대리석, 나무, 청동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토르소 designtimesp=16519>라는 일련의 작품은 1967, 69, 70, 75, 80년 등 전생애에 걸쳐 나타났으며, 1970년대부터 연작으로 발표해 온 `비상'은 날개를 소재로한 것으로 그의 조각 세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힌다.
1982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석류장, 1984년 중앙 문화대상 예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토르소 (Torso)
[청동 41x38x93.5cm]<img src=

http://www.women.or.kr/history/challenge/first/image/kimjs2.jpg

>
무제 (Untitled)<img src=

http://www.women.or.kr/history/challenge/first/image/kimjs3.jpg

>
[대리석 40x14x41cm] <img src=

http://www.women.or.kr/history/challenge/first/image/kimjs4.jpg

>
 
김복진 http://chang256.new21.net/board/board.php?db=530&no=2146

 

윤영자
http://www.moranmuseum.org/20030514.html

송영수(1930~1970)1957년 국전 사상 최초의 추상조각인 '부재의 나무와 '효'
<img src=

http://www.moranmuseum.org/museum_photo_files/m030503_7.jpg

>


http://people.naver.com/search.naver?where=nx&mode=srch_job&query=%BC%B3%C4%A1%B9%CC%BC%FA%B0%A1  국내 설치미술 작가

1963 백남준 포스트모더니즘 -13대 텔레비전 최초의 개인전, 사상 초유의 비디오전

<img src=

http://sstatic.naver.com/100/medium/2/32002.jpg

>

 

1965 백남준의<로보트 오페라, 백남준과 샬로트 무어만의<플럭서스 콘서트, 보스텔이 < 현상등의 퍼포먼스 시리즈가 르네 블록 화랑에서 공연
[오늘날의 키네틱과 옵아트]전 알브라이트-녹스 미술관(버팔로

1982 [새로운 회화]전 미덴도르프, 레인 화랑 워싱턴D.C- 프랑스 자유구상과 때를 같이해 미국에서 있었던 동일계열의 전시회
1983 퍼포먼스, 강연, 콘서트, 전시회 등으로 이루어진 [3부로 된 플럭서스 소사]전이 개최

1995.6베네치아 한국 설치미술가;전수천(全壽千)《방황하는 혹성들 속의 토우-그 한국인의 정신》특별상 미국 휘트니 비엔날레 국제 미술제-1995한국 국가관

1999 베네치아 비엔날레설치작가 <img src=

http://img.news.naver.com/image/stoo/2000/05/30/20000530_38_03.jpg

>이불< /FONT> .


2000 한국 3회광주비엔날레
백남준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1090500000077012&s= 5294,6121&e=5442,6177< /FONT>
2001 49회 베니스비엔날레 2001년 06월 9일 최고상인 황금사자장 국가관상- 독일관의 그레고르 슈나이더

2002 '마니프8, 2002 서울국제아트페어'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2042800000070055&s=1097&e=1343


조승호

전수천 http://isimage.naver.com/people/47/82447.jpg

 전수천사이트 http://www.soocheon.com/


<img src=

http://www.soocheon.com/images/pla_ins90_06.jpg

>

 

 (全壽千) 출생 : 1947년 8월 26일 직업 : 서양화가, 설치미술가, 대학교수 소속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교수

 

강익중姜益中 , 1960 한국의 설치미술작가 1960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나, 1984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1987년 미국 프랫인스티튜드를 졸업하였다. 그후 뉴욕에서 작업하면서 백남준 이후 국제무대에서 한국을 빛내는 미술가로 꼽히고 있다.


작품은 3×3인치의 작은 캔버스, 나무틀 등에 일상의 단편과 마음 속의 생각을 각양각색의 그림과 글로 표현하여 다인종·다문화를 바탕으로 지구촌 시대의 조화로운 세계상을 지향하며, 기호, 만화적 이미지, 캔버스에 콜라주한 오브제 등을 결합하여 동양과 서양, 정신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등이 평등하게 통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1994년 휘트니미술관에서 백남준과 〈멀티플 다이얼로그〉전을 열었고, 1997년 베네치아비엔날레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여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 독일의 루드비히미술관에서 선정하는 '20세기 미술작가 120명'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청사 메인홀의 벽화와 뉴욕 지하철역의 환경조형물 등을 제작하였다. 《오페라를 부르시는 부처》 《영어를 배우자》 《한자를 배우자》 《사운드 페인팅》 《금동미륵반가사유상》 등의 작품이 있고, 로스앤젤레스현대미술관(MOCA)과 휘트니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이불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5280000461113012

 

뉴스 홈 > 스포츠투데이 기사목록

 

'이불 개인전' 충격적 기법으로 담은 인간의 욕망 2000년 05월 30일 (화) 10:31 지난해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특별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설치작가 이불씨가 6월20일까지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에서 세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미래적인 바로크’라는 제목을 붙인 이번 전시회에서 그는 사이보그(Cyborg),사이몬스터(Cymonster),플럭서스(Plexus) 등 다소 충격적인 작품들을 선보인다.
사이보그와 몬스터를 결합한 ‘사이몬스터’는 승리와 성취의 기쁨을 그 자체로 간직하지 못하고 곧바로 허탈과 슬픔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인간심리를 담아냈다. 전시된 사이몬스터는 2개로 하나는 ‘초신성’이라는 의미의 ‘슈퍼 노바(Super Nova)’이며,또 하나는 ‘고치’라는 뜻의 ‘크리살리스(Chrysalis)’로 폴리우레탄이 소재다. 마치 중벌을 받은 양 얼굴과 신체의 부분을 상실한 채 천장에 매달려 있는 사이몬스터는 고대 신화를 현재와 미래의 예술로 포용,승화시키려는 작가의 의도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플럭서스’는 세 여인의 신체를 통해 끝없이 분출하는 인간욕망의 현실을 고발한 작품. 구슬 등 수많은 인공장식품들이 여인들의 가슴을 가르고 마치 요기처럼 뻗어나오고 있다. 이들 여인의 인체는 모두 머리가 없어 이성의 자제력을 상실한 가운데 허영심으로 가득찬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하는 쾌거를 이루어 세계 미술계로 우리 예술가들이 활발히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40226000048957011 마르셀 뒤샹은 ..

 요셉 보이스’(Joseph Beuys·1921~86)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13000035958017< /A>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28000037971017   20세기 후반 전세계를 뒤흔든 영국의 386세대 미술가 그룹인 yBa(young British artists)의 작품들이

설치미술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40314000050972014
        
 안규철씨 '49개의 방'展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40307000050674011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40305000035319146 세종문화회관 재개관을 기념하는 야외공간 프로젝트 "축제"전이 6일부터 25일까지 열려, 국내 조각가 및 설치미술가의 작품 30여점이 전시된다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20500001074072 오노요코..

민중미술가 신학철씨의 작품 `갑순이와 갑돌이`로 시골출신 갑돌과 갑순이의 상경기를 통해 우리 근현대사를 담았습니다.작가는 지난 91년 이후 12년 만의 개인전에서 66년 대학시절 자화상부터 최근의 `오사마 빈 라덴`과 도시 변두리 풍경 등의 신작까지 벽화, 유화, 설치 등의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1110000621087 최정화

 

국내작가 http://people.naver.com/search.naver?where=nx&mode=srch_job&query=%BC%B3%C4%A1%B9%CC%BC%FA%B0%A1

설치미술가 장승효 씨가 거대 로봇을..
설치미술가로 활동하는 김상수는 장르와 매체를 넘나드는 종합예술가이다
서도호‘에르메스 코리아미술상’의 패션업체2003.10.24선정됨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210000120252054 설치미술가 김창겸의

<img src=http://img.news.naver.com/image/stoo/2003/10/21/20031021_26_03.jpg>
문화관광부 청사 외벽에 대형 미술작품 설치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080000475698002 홍익대 미술교육과 겸임교수 양주혜(48.여)씨. 그는 특수천으로 제작한 미술작품(제목 `빛의 시')을 문화부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방식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020000194066015 2003년 10월 02일

설치미술가 로미 아키튜브가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916000018051011 <img src=http://img.news.naver.com/image/chosun/2003/09/16/200309160210_00.jpg>

 

독일 미술가 볼프강 라이프(53)의 작품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908000049130 꽃가루와 우유·쌀·밀랍 등 유동적이고 손상되기 쉬운 재료가 주로 동원되고 있는 것이다
월터 드 마리오 작품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902000016046011

 

조선일보 2003년 09월 02일 (화)기사목록
재미 미술가 차학경(1951∼1982)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8120000277087 동독 출신의 설치미술 작가 비아 레반도프스키
YTN 기사목록2003년 07월 30일재미작가 탐리/진신/류호열해외청년 작가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73000008024
난타 전용관은 설치미술가 임옥상씨의 작품이 극장 입구에 전시되고 있다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62300002021022 백남준의 ‘TV, 첼로, 비디오테이프를 위한 협주곡(1971)’같은 작품은 텔레비전을 의외의 위치에 놓거나 스크린에 나타난 이미지를 왜곡함으로써 텔레비전 이미지의 리얼리티라는 관념에 도전하면서 미디어를 성찰하게 만든다.


 


최병수


재미 한국작가 마이클 주


이환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331000029453086


비디오설치 미술가 이용백(37)문화일보  2003.03.27 (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소과 졸업한 학생입니다.

여자분이시면 많이 힘드실꺼에요.

힘써야하는 부분도많고 해서요

(참고로 재료비 정말 무지막지합니다.^^;;)

전망은

예를들어서 디자인같은경우엔

하는사람도 많고

그만큼 디자인쪽으로 할수있는 일이나, 기업(?)이많습니다.

 

조소라고 꼭 손으로 직접 뭘만들고 그래야되는건아니구요

마야,맥스같은 컴퓨터로하는작업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전망이 좋지않다고하는데

꼭 그런건아니에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자가 한다면 힘들기도하고
미래 전망은 별로라고봅니다.
대학가기엔 조소가 쉬운데
조소로 나와서 할게없죠/

조소를 하려고하는데요 좀힘든가요?

조소를 하려고하는데요..... 미래에 그걸 해서 제가 성공할수잇는지. 미래... 알려주세요./. 전 선답변하신 분과 다른 의견입니다 백남준,이불 전수천 같은...

조소 여자가하기에는 힘든가요?

... 하려고하는데요 팔힘이 좋아야한다네요 제가 마른편도아니고 뚱뚱한편도아니고 그냥 평범한체격인데요 여자가 조소하기에는 좀 힘든가요? 제발 답변부탁합니당 조소는...

지점토로 조소를 하려고 하는데요!

... 지점토로 조소를 해도 되나요? 된다면 지점토로 인형을 만들어도 조소가 되는거죠?... 점토는 인터넷에서 관절인형이나 프라모델등을 취급하는데 찾아보시면 쉽게 찾을수...

조소를 하려고하는데

... 못하는데 만드는걸 좋아해서요 조소를 하는것도 좋을거같아서요 미술감각이 그렇게... 3.홍대앞에 어디 학원을 가야지 조소를 잘할수 잇을까요? 4.내신성적은 국어만 ...

추상조소 (선재) 를 만드려고 하는데...

... 미술수행평가로 모빌 아니면 선재조소를 하라고하는데요 저는 처음에 어떤... 수시간 걸리는 모빌보단 선재조소로 혼자하려고요.. 정말 잘만들고싶습니다. 자존심...

미술을 시작해보려고 하는데.. (조소...

... ㅜㅜ 아무리 공부를 하려고 해도 제 적성은 아닌것 같고 공부 할땐 집중을 아예... 부모님이 반대하셔서 소자본으로 시작해야하는데 조소를 어느정도 하려면 학원을 얼마나...

싸고 좋은 점토 공예(조소..?)점토좀 추천

학교 공예동아리 활동 하려고 하는데 점토가 싸고 쓸만한게 없어서요.. 몇가지 추천좀 해주세요 안갈라지고 쓸만한거.. (되도록 하얀색으로..) 안녕하세요 저렴하고 좋은 점토...

중학교 1학년 조소수행평가

내일 학교에서 붙이는 조소(명칭을 몰라서;;)를 하는데요... 철사랑 은박지랑 하려고 하는데 어느정도 알아야... 만드는 과정을 글로 표현하려니 답답하네요ㅜㅜ 이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