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와 서양화의 작품 비교

동양화와 서양화의 작품 비교

작성일 2010.09.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의 미술작품을 비교해주세요

 

사진까지 있으면 좋구요.. 한장씩 비교해서 말씀해주세요~

 

  작품명:

 

  화가:

 

  제작연도, 제작국가:

 

  작품 설명:

 

  작품에 대한 나의 느낌:

 

이렇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50걸구요,,, 조금 빨리 해주세여~~!!

 

식상한것보다는 조금 간지나는 그림으로 해주시면 더욱 감사해여~ 그럼 ㅅㄱ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전동적 동양화(한국화)의 특징과 종류

1. 특징
1)선과 여백의 미를 중시
2)그리는 뜻을 중시, 정신적 표현


2. 재료에 의한 분류
1)수묵화 : 먹의 농담으로 그린 그림
2)수묵 담채화 (수묵채색화): 먹으로 그리고 먹선에 지장이 없게 엷게 표현하는 그림.   먹색의 농담 효과를 살린 수묵화에 담담하고 엷은 채색의 느낌을 가미한 한국화(동양화)로  채색보다는 수묵 위주로 그려진다.
3) 수묵 채색화 : 수묵 담채화에 비하여 좀더 짙게 채색이 가해지는 그림이나 수묵담채화와  엄격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4) 진채화(농채화,채색화) : 먹의 사용을 줄이고 채색을 두텁고 진하게 칠하는 그림으로   사실적인 북화풍의 기법, 채색위주의 그림


3. 소재(화제)에 의한 분류
1)사군자 : 매, 난, 국, 죽
2)문인화 : 시.서.화 3절이 표현된 그림(사군자)
3)풍속화 : 한 시대의 생활상을 표현하는 그림 (김홍도, 신윤복)
4)산수화 : 자연경관을 그린그림
5)인물화 : 미인도, 신선도, 초상화,풍속화 등
6)기명절지화 : 나뭇가지, 그릇 등(정물)
7)화조도 : 꽃과 새를 그린그림
8)화훼화 : 꽃을 주제로 그린 그림
9)초충도 :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
10)영모도 : 털이 있느 짐승을 그린 그림
11)어해화 : 물고기 게 등

 

 

한국인의 손으로 그려진 회화를 총칭하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기법과 양식에 의해 다루어진 회화를 말한다.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을 일제(日帝)에 의해 타율적으로 조성된 용어로 비판, 이를 주체적 입장에서 개칭하여 최근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동양 회화권에 있어 중국의 전통회화는 중국화(中國畵)로, 일본의 전통회화는 일본화(日本畵)로 불렸으나 일제는 한국 고유의 전통과 민족성의 자각을 꺼려 1921년 제1회 서화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와 22년의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국의 전통회화가 조선화(朝鮮畵)로 지칭되는 것을 용인하지 않고 대신 동양화로 부르게 하였다.

한국화는 종이나 비단 위에 먹이나 물에 녹는 안료(顔料)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모필(毛筆)로 그리며, 동양적 자연관과 가치관에 바탕을 둔 회화관(繪畵觀)과 화론(畵論)에 입각하여 주로 중국의 전통회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선별적(選別的)으로 받아들여 한국 특유의 양식을 형성해 왔다. 그 원천은 울산시 울주구(蔚州區) 반구대(盤龜臺) 암각화(岩刻畵)를 비롯한 선사시대의 선각화(線刻畵)에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으나, 본격적인 발전은 대체로 삼국시대 중엽인 4세기경부터이다.

이 시대의 회화는 중국의 한대(漢代)와 육조시대(六朝時代) 회화의 영향을 토대로 발달하였으며 감상적(鑑賞的)인 목적보다는 실용적인 목적과 기능을 띠고 그려졌다.

 

 

<미인도>는 한국 회화사의 가장 빛나는 미인화로, 청수하면서도 관능적인 이미지가 돋보이는 걸작이다. 소매통이 좁고 짧은 삼회장의 연미색 저고리에, 속으로 무지기를 받쳐 입어 배추포기처럼 풍성하게 부푼 옥색 치마와, 짙고 커다란 트레머리의 조화에서 작가의 탁월한 표현력과 함께 형사적 전신(傳神)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인물의 전체 모습을 무배경의 화면에 서 있는 자세로 나타낸 미인입상은, 일본에서 최상급 기녀인 타유(太夫)의 초상을 그릴 때 사용했던 방법으로, 에도시대의 호사가들이 마치 산수화에서의 와유물처럼 애완했듯이 그와 비슷한 용도로 그려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화면 상단 왼쪽으로 “그린 사람의 가슴에 춘정이 서려 있어 붓끝으로 실물 따라 참모습을 옮겨낼 수 있었다”고 써 넣은 것으로 보아, 노리개와 옷고름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그림 속의 인물은 신윤복의 기생 연인일 가능성도 있다.

 

2. 서양화 [西洋畵]의 특징

서양의 전통적인 재료와 화법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


재료에 따라 유화·수채화·펜화·연필화·파스텔화·크레용화·과슈화 등으로 나뉘며 표현형태에 따라 구상화·비구상화로 나뉜다. 서양화에 대해 알려지면서 한국의 그림 즉 한국화와 대별되는 개념으로서 쓰이는 용어이다.

한국화는 주로 직관적이며 되풀이하지 않고 한번의 터치로 그려지는 데 반해 서양화는 논리적이며 화면에 덧바르거나 깎는 식으로 층을 구성한다. 조선후기 서학의 태동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온 사신들이 처음으로 서양화의 유화 재료와 기법을 유입하였다. 당시 실학파 학자들은 투시원근법·명암법에 의한 서양화의 사실적 묘사를 적극 수용하자고 주장했다. 주로 초상화·개그림·궁궐도·서가도 등에 영향을 끼쳤다. 이희영의 《앉아 있는 개》, 김두량의 《견도(犬圖)》 등은 거의 완벽한 서양화법을 보인 작품이다.

근대적 서양화는 1910년대 중반 도쿄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하고 돌아온 고희동이 유화를 발표함으로써 정착단계에 이르렀다. 고희동은 학교에서 서양화를 가르쳤고 1918년 서화협회를 만드는 등 서양화 보급에 이바지했다. 1920년대 이후에는 서양화가가 대거 등장하였고 서양화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한국 회화는 한국화와 서양화가 상호 영향을 주며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앤디워홀의 "마릴린 먼로"

 

이작품은  과거 예술작품에 큰 관심이 없었던 저도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 때문에 오랫동안  

머리속에 각인된 작품으로 대단히 중요한 작품이다.

마릴린 몬로의 밝게 웃는 모습도 기분이 좋지만  25가지 색상의 휘황찬란한 색감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복제 생산되는 현대사회"를 작가는 말하고 있는것 같다
어떻게 보면  장난끼?도 있어보인다.

대중적인 유명인을 이미지 모델로 하여 기존예술에 대해 반기를 들고 기준을 거부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현대예술의 시작을 알렸다.

기존 현대미술의 형식을 획기적으로 확 바꾸어 버린것이다.

당시에는 충격적이었겠지만..

포스트 모더니즘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지만 초기 선구자적인 역활을 했다고 본다

앤디워홀은 죽기전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나의 예술은 거짓이었다 다만 대중의 눈을 속여서 돈을 벌려고 했을 따름이다
대중을 속이는 것은 쉬운 일이다 왜냐하면 종이에 아무렇게나 선을 긋고 관념적인 단어를 나열하면 대중은 보물을 얻은냥 그림을 거꾸로 걸고도 좋아하기 때문이다"
앤디워홀 자신조차도 자기의 작품을 예술로 인정하지 않으니 헷갈리기도 한다

3. 한국화와 서양화를 섞어 놓은 작가들

 

엄옥경

 


 

Go into the scent _ 꿈꾸는 섬_2009

 

엄옥경의 '현대판' 모란도나 화조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 전통미술에 대한 자부심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명에서도 볼 수 있듯이 "향기속으로"라는 대주제는

볼수록 포근함과 아련한 추억이 묻어 나오고 어머니의 향기를 불러 일으키는

힘을 갖는다. 그래서 엄옥경의 그림을 일명 '코리아-팝 아티스트'로 부르곤 한다.

이유는 다른 일반적인 팝아트 작가들이 팝아트에 민화를 차용하여 미국의 팝아트 연장선상에 있다면

그녀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민화에 외래의 '팝아트' 차용하여

가장 한국적으로 재해석 했기 때문이다


김지혜

 


 

 

김지혜 작가는 전통적인 책가도(冊架圖) 형식에 현대적 개념을 접목시킨 작업으로

세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그녀의 그림에는 두루마리 화장지, 쇼핑백, 머리빗, 칫솔 등 자신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건들이

망라돼 있다. 그런 점에서 김지혜의 책가도 그림은 자신의 일상에 대한 기록물이다. 

뿐만 아니라 그녀의 그림은 시대 변화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립적 요소의 결합’이란 주제는 책가도 시리즈에도 반영돼 있다. 본래 책가도는 선비들이 자신의 사랑방에 걸거나, 향학열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아들에게 선물로 주었던 그림이다. 요즘 엄마들의 ‘치맛바람’을 대신했던 조선시대 선비들의 ‘바짓바람’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책가도에는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학문과 벼슬을 나타내는 문방구, 평온무사를 뜻하는 구리 그릇 등을 주로 그려 넣었다. 

그런데 김지혜는 남성적 공간을 대변하는 종래의 책가도를 여성적 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전동적 동양화(한국화)의 특징과 종류

1. 특징
1)선과 여백의 미를 중시
2)그리는 뜻을 중시, 정신적 표현


2. 재료에 의한 분류
1)수묵화 : 먹의 농담으로 그린 그림
2)수묵 담채화 (수묵채색화): 먹으로 그리고 먹선에 지장이 없게 엷게 표현하는 그림.   먹색의 농담 효과를 살린 수묵화에 담담하고 엷은 채색의 느낌을 가미한 한국화(동양화)로  채색보다는 수묵 위주로 그려진다.
3) 수묵 채색화 : 수묵 담채화에 비하여 좀더 짙게 채색이 가해지는 그림이나 수묵담채화와  엄격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4) 진채화(농채화,채색화) : 먹의 사용을 줄이고 채색을 두텁고 진하게 칠하는 그림으로   사실적인 북화풍의 기법, 채색위주의 그림


3. 소재(화제)에 의한 분류
1)사군자 : 매, 난, 국, 죽
2)문인화 : 시.서.화 3절이 표현된 그림(사군자)
3)풍속화 : 한 시대의 생활상을 표현하는 그림 (김홍도, 신윤복)
4)산수화 : 자연경관을 그린그림
5)인물화 : 미인도, 신선도, 초상화,풍속화 등
6)기명절지화 : 나뭇가지, 그릇 등(정물)
7)화조도 : 꽃과 새를 그린그림
8)화훼화 : 꽃을 주제로 그린 그림
9)초충도 :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
10)영모도 : 털이 있느 짐승을 그린 그림
11)어해화 : 물고기 게 등

 

 

한국인의 손으로 그려진 회화를 총칭하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기법과 양식에 의해 다루어진 회화를 말한다.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을 일제(日帝)에 의해 타율적으로 조성된 용어로 비판, 이를 주체적 입장에서 개칭하여 최근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동양 회화권에 있어 중국의 전통회화는 중국화(中國畵)로, 일본의 전통회화는 일본화(日本畵)로 불렸으나 일제는 한국 고유의 전통과 민족성의 자각을 꺼려 1921년 제1회 서화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와 22년의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한국의 전통회화가 조선화(朝鮮畵)로 지칭되는 것을 용인하지 않고 대신 동양화로 부르게 하였다.

한국화는 종이나 비단 위에 먹이나 물에 녹는 안료(顔料)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모필(毛筆)로 그리며, 동양적 자연관과 가치관에 바탕을 둔 회화관(繪畵觀)과 화론(畵論)에 입각하여 주로 중국의 전통회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를 선별적(選別的)으로 받아들여 한국 특유의 양식을 형성해 왔다. 그 원천은 울산시 울주구(蔚州區) 반구대(盤龜臺) 암각화(岩刻畵)를 비롯한 선사시대의 선각화(線刻畵)에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으나, 본격적인 발전은 대체로 삼국시대 중엽인 4세기경부터이다.

이 시대의 회화는 중국의 한대(漢代)와 육조시대(六朝時代) 회화의 영향을 토대로 발달하였으며 감상적(鑑賞的)인 목적보다는 실용적인 목적과 기능을 띠고 그려졌다.

 

 

<미인도>는 한국 회화사의 가장 빛나는 미인화로, 청수하면서도 관능적인 이미지가 돋보이는 걸작이다. 소매통이 좁고 짧은 삼회장의 연미색 저고리에, 속으로 무지기를 받쳐 입어 배추포기처럼 풍성하게 부푼 옥색 치마와, 짙고 커다란 트레머리의 조화에서 작가의 탁월한 표현력과 함께 형사적 전신(傳神)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인물의 전체 모습을 무배경의 화면에 서 있는 자세로 나타낸 미인입상은, 일본에서 최상급 기녀인 타유(太夫)의 초상을 그릴 때 사용했던 방법으로, 에도시대의 호사가들이 마치 산수화에서의 와유물처럼 애완했듯이 그와 비슷한 용도로 그려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화면 상단 왼쪽으로 “그린 사람의 가슴에 춘정이 서려 있어 붓끝으로 실물 따라 참모습을 옮겨낼 수 있었다”고 써 넣은 것으로 보아, 노리개와 옷고름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그림 속의 인물은 신윤복의 기생 연인일 가능성도 있다.

 

2. 서양화 [西洋畵]의 특징

서양의 전통적인 재료와 화법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


재료에 따라 유화·수채화·펜화·연필화·파스텔화·크레용화·과슈화 등으로 나뉘며 표현형태에 따라 구상화·비구상화로 나뉜다. 서양화에 대해 알려지면서 한국의 그림 즉 한국화와 대별되는 개념으로서 쓰이는 용어이다.

한국화는 주로 직관적이며 되풀이하지 않고 한번의 터치로 그려지는 데 반해 서양화는 논리적이며 화면에 덧바르거나 깎는 식으로 층을 구성한다. 조선후기 서학의 태동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온 사신들이 처음으로 서양화의 유화 재료와 기법을 유입하였다. 당시 실학파 학자들은 투시원근법·명암법에 의한 서양화의 사실적 묘사를 적극 수용하자고 주장했다. 주로 초상화·개그림·궁궐도·서가도 등에 영향을 끼쳤다. 이희영의 《앉아 있는 개》, 김두량의 《견도(犬圖)》 등은 거의 완벽한 서양화법을 보인 작품이다.

근대적 서양화는 1910년대 중반 도쿄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하고 돌아온 고희동이 유화를 발표함으로써 정착단계에 이르렀다. 고희동은 학교에서 서양화를 가르쳤고 1918년 서화협회를 만드는 등 서양화 보급에 이바지했다. 1920년대 이후에는 서양화가가 대거 등장하였고 서양화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한국 회화는 한국화와 서양화가 상호 영향을 주며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앤디워홀의 "마릴린 먼로"

 

이작품은  과거 예술작품에 큰 관심이 없었던 저도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 때문에 오랫동안  

머리속에 각인된 작품으로 대단히 중요한 작품이다.

마릴린 몬로의 밝게 웃는 모습도 기분이 좋지만  25가지 색상의 휘황찬란한 색감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복제 생산되는 현대사회"를 작가는 말하고 있는것 같다
어떻게 보면  장난끼?도 있어보인다.

대중적인 유명인을 이미지 모델로 하여 기존예술에 대해 반기를 들고 기준을 거부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현대예술의 시작을 알렸다.

기존 현대미술의 형식을 획기적으로 확 바꾸어 버린것이다.

당시에는 충격적이었겠지만..

포스트 모더니즘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지만 초기 선구자적인 역활을 했다고 본다

앤디워홀은 죽기전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나의 예술은 거짓이었다 다만 대중의 눈을 속여서 돈을 벌려고 했을 따름이다
대중을 속이는 것은 쉬운 일이다 왜냐하면 종이에 아무렇게나 선을 긋고 관념적인 단어를 나열하면 대중은 보물을 얻은냥 그림을 거꾸로 걸고도 좋아하기 때문이다"
앤디워홀 자신조차도 자기의 작품을 예술로 인정하지 않으니 헷갈리기도 한다

3. 한국화와 서양화를 섞어 놓은 작가들

 

엄옥경

 


 

Go into the scent _ 꿈꾸는 섬_2009

 

엄옥경의 '현대판' 모란도나 화조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 전통미술에 대한 자부심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품명에서도 볼 수 있듯이 "향기속으로"라는 대주제는

볼수록 포근함과 아련한 추억이 묻어 나오고 어머니의 향기를 불러 일으키는

힘을 갖는다. 그래서 엄옥경의 그림을 일명 '코리아-팝 아티스트'로 부르곤 한다.

이유는 다른 일반적인 팝아트 작가들이 팝아트에 민화를 차용하여 미국의 팝아트 연장선상에 있다면

그녀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민화에 외래의 '팝아트' 차용하여

가장 한국적으로 재해석 했기 때문이다


김지혜

 


 

 

김지혜 작가는 전통적인 책가도(冊架圖) 형식에 현대적 개념을 접목시킨 작업으로

세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그녀의 그림에는 두루마리 화장지, 쇼핑백, 머리빗, 칫솔 등 자신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건들이

망라돼 있다. 그런 점에서 김지혜의 책가도 그림은 자신의 일상에 대한 기록물이다. 

뿐만 아니라 그녀의 그림은 시대 변화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립적 요소의 결합’이란 주제는 책가도 시리즈에도 반영돼 있다. 본래 책가도는 선비들이 자신의 사랑방에 걸거나, 향학열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아들에게 선물로 주었던 그림이다. 요즘 엄마들의 ‘치맛바람’을 대신했던 조선시대 선비들의 ‘바짓바람’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책가도에는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학문과 벼슬을 나타내는 문방구, 평온무사를 뜻하는 구리 그릇 등을 주로 그려 넣었다. 

그런데 김지혜는 남성적 공간을 대변하는 종래의 책가도를 여성적 공간으로 탈바꿈 시켰다.

동양화와 서양화의 작품 비교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의 미술작품비교해주세요 사진까지 있으면 좋구요.. 한장씩... 종래까지 서양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통용되던 동양화라는 명칭을 일제(日帝)에 의해...

동양화와 서양화를 그림과 함께 설명을...

... 그림 비교하는 거기 그림 동양화 5개 이상 설명과 서양화 5개 이상 설명을 해주시면... 작품의 경향은 초기의 기하학적인 추상에서 출발하여 한국적인 형태를 바탕으로 한...

서양화동양화

... 그러나 피카소에 대해서 알아보면 그의 비공식 작품에서는 충분한... 따라서 동양화 , 그리고 서양화 분야가 다르게 정해져 있는데 그 두 가지의 다른 방식을 비교해서 그림의...

서양화동양화보다 우수한가

... 위 두 시기는 우리에게 아주 유명한 작품들이 많이 나온 시기죠? 미켈란젤로... 동양화와 서양화비교하는 짓의 대립항으로 문화끼리 어느게 좋네 따지는 짓이 있죠. 저런...

서양화작품동양화작품 비교

한국화 한작품서양화작품을 서로 비교해서 글을 써야 하는데 각각 어느작품을... 서양의 영향을 받은 동양화와 동양의 영향을 받은 서양화 - 인상파와 양풍화 혹은...

북종화법,남종화법,서양화법에 대해서...

... (南宗畵法)과 서양화법을 수용한 작품을 남겼다.... 즉, 그림에서도 선(禪)의 돈오와 비교할 수 있는 남종화가... 전통회화는 서양화의 영향으로 30년대 이후 동양화라는...

동양화의 여백의미..

동양화는 여백의 미를 강조하는 그림이라고 하잖아요.. 대부분이 묵으로 그린 그림들이구요.. 서양화비교하면... 어려운 작품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림 안에는 여유가 있고...

안녕하세요?^^genii83님!

... 저에게는 동양화를 통해 힘든 일에 지친 사람들에게 힘과 회복을 주는 작품활동을 하고 싶은 꿈이 있고요... 서양화비교하자면 수채화와 가장 흡사하고, 요즘에 쓰이는...

서양 미술 작품과 우리작품비교

서양 미술 작품과 우리나라 미술 작품비교했을때... 서양화에서 채택된 주제는 아무래도 기독교적인 내용이... 동양화에서는 기명절지화라고 부릅니다. 차이는 찾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