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에 관한질문 수고롭겠지만 무지 중요해서 내공30 겁니다.(쓸수있는...

오페라에 관한질문 수고롭겠지만 무지 중요해서 내공30 겁니다.(쓸수있는...

작성일 2004.03.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에서 음악수행을 냈는데;; 제가 음악하고 거리가 좀 멀거든요 ㅎ; 다른 검색엔진 사이트에 들어가봐도 잘 모르겠더군요. 그냥 어느 사이트에 있는걸 복사해서 붙여논듯... 그런 답변 말고 좀 요약해서 좀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1번 오페라란 무엇인가..
2번 오페라에 종류가 있다더군요 -_-;; 오페라의 종류..
3번 오페라에 쓰이는 용어까지 정리해주셨으면 진짜로 고맙겠습니다.
수고하시는 만큼 내공30 겁니다.. 제 전재산 -_-;;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오페라란 무엇인가?

화려한 무대 장치와 근사한 조명이 가득한 무대 위에 멋진 의상을 입고 나온 가수들이 오케스트라 연주에 맞춰 노래 부르며 드라마를 꾸미는것?
오페라란 한편의 드라마를 위해서 여러 음악 작품들을 엮어 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오페라 한편에는 여러 종류의 음악이 나오거든요.
우선 작품이나 장면을 시작하기전에 연주하는 서곡이나 전주곡이 있고 아리아라고 하는 독창도 나오고 듀엣이라는 2중창을 비롯하여 3중창, 4중창, 등도 나오면 여럿이 부르는 합창도 있습니다.
또 춤을 추는 장면에서는 무용곡이나 장면장면을 연결하는 간주곡도 나오구요.
그리고 특수 효과 장면을 위한 연주곡도 등장합니다.
그러니까 오페라란 정말 여러 음악 작품을 모아 놓은 것, 그리고 연기를 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노래와 음악으로채워져서 끝날때까지 노래와 음악이죠.^^
오페라에 출연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노래를 잘해야 되는거냐, 그것도 아니죠.
연기도 배우처럼 잘 해야되는거죠.
멋진 외모와 목소리에다 뛰어난 노래 실력과 연기 실력을 갖춘 배우야말로 모두가 바라는 최고의 오페라 출연자죠
그런데 실제로 오페라에 출연하는 가수들을 보면 보통 사람들보다 좀 뚱뚱하죠
그런 사람들이 이쁜 공주나 왕자역을 맡음 좀 어울리지 않는것도 있죠.
하지만 그렇게 될수 밖에 없는 이유도 있답니다.
오페라에 나오는 노래는 잘 부르기가 힘들고 아주 어렵죠 그리고 아주 고음을 요하는 곡들이 대부분이라 성악훈련을 아주 많이 받은 폐활량이 정말 좋은 사람들이 해야 되는거죠.
그런 사람들이 폐활량 연습을 열심히 하다보면 가슴과 배쪽으로 발달이 되서 좀 뚱뚱해 지는 경향이 있답니다.(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좀 뚱뚱하죠.^^)
그런데 역시 오페라에서는 연기보다 성악을 잘하면 인기가 많죠.
아무리 외모가 아름다워도 성악 못하면 그것 망신스럽겠지요.
그러니까 성악을 못하는 사람은 오페라에 출연못하는거죠.
뚱뚱하지만 노래 잘해서 인기 많은 파바로티 아저씨있죠.(정말 잘하죠)
이처럼 성악도 잘하고 연기도 잘하는 사람들이 등장을 해서 오페라를 꾸미는데 오페라의 내용은 거의 대부분이 남녀간의 사랑이야기가 많습니다.
이런이야기에는 사랑하는 남녀주인공들이 나오면 어김없이 방해자나 악당이 등장을 하죠.
이처럼 악당을 물리치고 행복하게 끝나는 것은 예를 들어 은 희극오페라라고 한답니다.
반대로 베르디의 아이다처럼 사랑하는 남녀 주인공들이 무서운 운명이나 악당때문에 불행한 결말을 맞이하게 되는것은 비극오페라겠지요.
이런 오페라의 음악을 제대로 연주하고 성악가들이 노래를 부르고 하려면 꼭 있어야 되는것이 있다면 오케스트라죠
오케스트라가 없다면 오페라는 할수가 없답니다.
그것도 적은 숫자가 아닌 60명이상에서많게는 100명정도가 되는 오케스트라가 출연할때도 있답니다.
오페라를 그럼 공연하기 위해서 출연자와 오케스트라만 있으면 되는냐 절대 아니죠
무대 장치도 있어야 되고 조명도 있어야 되고 춤과 의상 그리고 무용수도 있어야 되구요.
이렇게 오페라는 종합예술 혹은 종합 극장예술이라고도 한답니다.
이렇게 오페라 한편을 공연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예술가들과 그리고 돈과 시간이 요구된다고 보면 되겠지요.
그렇다보니까 우리가 오페라 한편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만만치 않은 비용을 지불해야 되는것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지요.

2.오페라의 종류

오페라의 종류는 먼저 시대에 따른 오페라의 종류와 내용과 방법에 따른 오페라의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시대에 따른 오페라의 종류

1)오페라 인 무지카 - 오페라가 처음 만들어지던 17세기에 부르던 이름으로 음악과 드라마가 합쳐졌다고 해서 드라마 페르 무지카 라고도 부릅니다.

2)오페라 세리아 - 심각한 작품이라는 뜻을 가진 18세기 이탈리아 스타일의 3막 오페라로 신화나 고대 영웅의 이야기를 주로 다룬것입니다.

3)오페라 부파 - 부파는 이탈리아어로 웃긴다는 뜻으로 코미디오페라를 말합니다.

4)발라드 오페라 - 18세기 귀족들이 중심이었던 이탈리아 오페라에 맞서서 영국에서 나온 일종의 서민 오페라로 뮤지컬에 더 가깝습니다.

5)그랜드 오페라 - 19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하던 오페라로 출연자의 수도 많고 화려한 장면과 무용등 볼거리 위주로 만든 대규모 오페라입니다.

6)악극 - 바그너가 만든 독일식 오페라를 악극이라고 부릅니다.

7)코믹오페라 - 오페라 코미크라고 불리는 이 오페라는 보통은 코미디 오페라를 뜻하지만 19세기 중반의 프랑스 오페라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입니다.

8)베리스모 오페라 - 베리스모란 현실적이다는 뜻으로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유행하던 사실주의 오페라입니다.

*내용과 방법에 따른 오페라의 종류

1)대본오페라 - 원본이 없고 작곡가나 대본작가가 직접 창작한 대본을 가지고 만든 오페라입니다.

2)문학오페라 - 문학 작품의 원본을 각색한 오페라로 주로 현대오페라에 많습니다.

3)방송 오페라 - 라디오가 발달하던 1930년대부터 주로 독일에서 실험적으로 시작된 라디오 방송용오페라입니다.

4)실내오페라 - 17세기 유럽의 궁정에서 공연하던 오페라를 뜻하지만 현대로 오면서 작은 규모의 오페라라는 의미로 바뀌었습니다.

5)콘서트 오페라 - 음악회처럼 공연하는 오페라를 말합니다.

6)오페라 갈라 - 여러 오페라의 주요 장면들을 뽑아서 한데 묶어 공연하는것을 말합니다.

7)번호 오페라 - 전통적인 이탈리아 오페라에서는 서곡 , 아리아, 중창, 합창, 무용곡등의 각각 독립된 노래들이 이어져서 연주되었는데, 이곡들이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졌는데 이것을 번호 오페라라고 부릅니다.
19세기 이후 오페라 작품이 나오기전까지는 모두 번호 오페라였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3.오페라에 쓰이는 용어들과 기타등등

*오페라의 음악들

서곡 - 첫머리에 연주되는 작품이란 뜻으로 보통은 오페라가 시작 되기전에 그 내용을 미리 간략하게 소개하는 의미로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곡입니다.

전주곡 - 시작이나 도입을 알리는 곡으로 보통 오페라에서 새로운 막이 시작되기전에 연주됩니다.

간주곡 - 뭔가의 사이에 연주되는 곡이라는 뜻으로 어디에 삽입되었냐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릅니다.

극중음악 - 원래는 연극에서 장면과 장면 사이에 연주되던 음악인데 지금은 오페라나 연극에서 줄거리의 일부로 연주되는 음악을 말합니다.

반다 - 관악기들로 편성된 밴드를 뜻하는데, 오페라에서 군대가 나오거나 축제를 하는 장면에서는 이 반다가 무대위나 뒤에서 연주됩니다.

디베르티스망 - 프랑스 오페라에서 쓰이던 발레 장면을 위한 음악으로 장식이 많고 화려하며 일부분에는 노래가 나옵니다.
그러나 줄거리의 진행과는 관계가 없으며 요즘은 발레곡 혹은 무용곡이라고 부릅니다.

*오페라의 노래

아리아 - 주역을 맡은 가수가 혼자 부르는곡이 아리아입니다.

다 카포 아리아 - 처음부터 다시라는 뜻이다. 반복되는 부분을 지루하지 않게 하기위해 기교를 부리며 노래하는것으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콜로라투라 아리아 - 목소리로 화려하게 묘기를 부려야 하는 어려운 아리아를 말하면 스릴 넘치고 빠른 특징이 있습니다.

레치타티보 - 줄거리를 알려주는 대사입니다.

레치타티보 세코 - 세코는 건조하다는 뜻으로 저음악기로 간단하게 반주하는것을 말합니다.

레치타티보 아콤파나토 - 오케스트라가 반주하는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킬때 쓰며 아리아를 끌어낼때 사용됩니다.

앙상블 - 함께라는 뜻으로 두 사람이상의 중창이나 연주를 뜻합니다.

합창 - 마을 사람들이나 사냥꾼들 아님 병사들 기타 등등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부르는것입니다.

오페라의 제작과정

1) 기획
2)캐스팅
3)오디션
4)리허설
5)개인 리허설
6)무대 리허설
7)테크니컬 리허설 - 출연자와 연주자들이 스탭들과 함께 무대장치, 조명, 특수효과, 장면전환 등을 연습하는것을 말한다.
8)드레스 리허설
9)프레스 리허설 - 대개는 공연하기 하루나 이틀전에 신문, 방송, 잡지 등의 기자와 비평가들을 초대하여 공연을 미리 보여 주는 것이며 시연회라고 한다.
10)공연
11)커턴콜

오페라의 작품의 공연 단위

막 - 연극이나 오페라 , 발레 등에서 길이를 나누는 커다란 단위로 내용 전개를 크게 구분한 것입니다.
연극이나 오페라가 막으로 나뉘게 된것은 1640부터이고 고전주의 시대에는 5막의 원칙을 따랐으나 곡 3막으로 바뀌었다가 그러다가 요즘은 점점 더 줄어들어 보통 2막짜리 작품이 많습니다.
막은 일반적으로 다시 으로 나누어진다.

단막 - 도중에 막이 내리지 않는 한막짜리 작품으로 대개 길이가 짧지만 바그너의 처럼 긴 단막도 있습니다. 단막 작품은 원액터라고도 합니다.

장 - 막을 구성하는 길이 단위로 한 막에는 여러장들이 들어있습니다.
옛날에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면 새로운 장이라고 햇으나 요즘은 장이 바귀면 대개 다른 장소나 잠시 시간이 흐른 시점으로 바뀌며 이때는 막이 내려오지 않고 조명이나 무대 장치만 달라집니다.

시퀸스 - 장보다 더 짧은 단위로 한 장에는 몇개의 시퀸스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 개선 장면을 보면 처음에는 군중들이 노래하는 합창 시퀸스가 있고 다음에는 병사들이 개선해서 들어오는 퍼레이드 시퀸스가 있으면 그들을 축하하는 무영 시퀸스가 이어지는것을 말합니다.

인터미션 - 막과 막 사이의 시간을 말한다. 요즘은 인터미션이 대개 휴식 시간이지만 예전에는 막간극(인테르메초)을 하거나 연주를 했다.
요즘에는 휴식시간없이 막만 내렸다 올리거나 조명만 잠시 꺼졌다가 다시 들어오는 막간도 있습니다.

인테르메초 - 요즘은 인테르메초라는 말은 장면과 장면 사이에 연주되는 연주곡을 말한다.

사이클 - 시리즈로 만든 여러 작품 전체를 한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오페라를 만드는 사람들

작곡가
대본작가
가사작가
제작자
음악감독
무대감독
예술감독
연습감독
연출자
지휘자
디자이너
안무가
리허설피아니스트 - 출연자들이 반주에 맞추어서 연습시키는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콘서트 마스터 - 오케스트라 전체를 대표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러스 마스터 - 합창단 대표
합창단
무용단
디바 - 여러사람이 춤추는 장면에 등장하는데 노래는 하지 않고 춤만 추는 사람
프리마돈나 - 최고의 여자라는 뜻으로 여주인공을 말함
바지역 -여자가수가 남자역을 맡는것
대역 - 장기 공연을 할때 출연자를 잠시 쉬게 하거나 사정으로 주요 출연자가 못하게 될것에 대비하여 미리 대신하는 역을 준비하도록 되어있는사람입니다.
캐스트 -무대위에 출연하는 모든 사람들입니다.
스탭 -무대에 출연은 하지 않지만 공연을 준비하는 각 분야의 기술자를 전부 통틀어서 부르는말입니다.

*여기까지 입니다.
책 한권에서 줄이고줄여서 발취를 한내용입니다. 도움이 되면 좋을것 같군요.
위에 오페라란 무엇인가 그 내용은 전에 제가 어떤 학생에게 답변을 주고 보관해둔것이 있어서 그대로 복사하니까 편리하긴 하네요.^^
용어들이 다소 어럽고 복잡하긴 한데 제일 이해하기 쉬운 방법은 오페라를 직접 한번 보는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럼 이런 용어들이 그렇게 어럽게 느껴지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페라 애호가로서 오페라에 관심을 보여주시는 분께 감사드립니다~
종합예술의 대표인 오페라에 대한 설명입니다.
설명은 인테넷 어디서나 검색이 가능하지요.

* 오페라 :
가극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오페라는 단순히 음악극이라는 뜻은 아니다. 음악을 주로 한 극이라면 오페레타나 뮤지컬도 있지만, 그것들을 오페라라고 하지는 않는다.
오페라는 첫째, 16세기 말에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음악극의 흐름을 따른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이전에 유럽에 있었던 종교적인 음악극은 오페라가 아니며 또 이 흐름에 속하지 않는 음악극, 예컨대 창극 같은 것도 오페라가 아니다.
둘째, 대체로 그 작품전체가 작곡되어 있어야 한다. 즉 모든 대사가 노래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페레타나 뮤지컬은 이런 점에서 오페라가 아니다. 그러나 간혹 예외가 있어서 징슈필계열에 속하는 모차르트의《마적(마술피리)》 베토벤의《피델리오》 베버의《마탄의 사수》 등과 민속 오페라 계열의 스메타나의《팔려간 신부》 등, 그리고 오페라 코미크로서의 비제의《카르멘》 등은 노래 아닌 대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오페라에 포함시키고 있다.

오페라는 원래 라틴어 오푸스(opus:작품)의 복수형이다.
오페라 발생기에는 드라마인 무지카(dramma in musica) 또는 드라마 페르 무지카(dramma per musica)라고 하였다. 이것은 ‘음악에 의한(을 위한) 극’을 의미하는데 나중에 오페라 인 무지카(opera in musica)가 되고 다시 오페라로 약칭되었다.
오페라는 복잡한 종합무대예술로 음악적인 요소는 물론이요, 문학 또는 시적인 요소(대사), 연극적인 요소(극으로서의 구성 ·연기), 미술적인 요소(무대장치 ·의상), 무용적인 요소 등이 합쳐진 것인 만큼 매력도 큰 데 비하여, 자칫 작품으로서의 통일성을 잃게 되기 쉽다.
특히 음악적인 요소와 극적인 요소를 어떻게 조화시키는가, 또는 어느 편에 중점을 둘 것인가 하는 등의 문제는 지금까지 항상 오페라의 숙제가 되어 왔다.

오페라는 원래 대사에 음악을 붙인 것이며 음악은 독창과 합창 및 관현악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창은 등장인물이 맡고 성역에 따라서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등으로 나뉜다. 그들은 독창을 하거나 중창을 한다. 전통적인 오페라에서는 그 부르는 노래 하나하나가 완결된 독창곡이 많으며 극중의 순서를 따라서 번호가 붙어 있는(번호 오페라) 것이 많다.
이들 독창자가 부르는 노래는 선율의 아름다움을 주로 한 아리아(영창)와 이야기하는 것처럼 부르는 레치타티보(창)로 나뉜다.



* 오페라의 종류 :

1.오페라 세리아 ( Opera seria)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로서, 레시타티브와 아리아를 중히 여기며,중창이나 합창은 간혹 사용한다.소재로는 신화나 영웅적인테마를 주로 사용하는 오페라이다.
.

2.그랜드 오페라 ( Grand Opera )


17세기초 이탈리아의 오페라 세리아에 대해 프랑스에서 나타난 대 가극이다. 이것은 19세기 프랑스의 특징 있는 양식으로, 서사적이고 역사적인 성질의 비극을 테마로 한다. 합창을 중히 다루고, 발레를 넣어 프랑스사람들의 기호에 알맞게 했다.
.

3.오페라 부파 ( Opera buffa)


18세기초 이탈리아에서 생긴 희가극으로서, 차차 유럽 여러나라에 퍼졌는데 19세기 중엽까지 성행하였다. 소재는 서민생활이나 인정미담을 주로 하였고, 그 취재나 형식을 확립한 것은 페르골레지였다. 모차르트의 "여자는 모두 이런 것"과 롯시니의 "세빌리아의 이발사"등이 이에 속한다.
.

4.오페라 부프 ( Opera bouffe )


프랑스의 희가극으로, 어원적으로 오페라 부파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양자사이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오페레타와 비슷한 가벼운 음악희극으로, 대화의 부분에 대사를 사용한다. 뒤니(Duni)가 창시자이다.
.

5.오페라 코미크 ( Opera comique )


희가극의 일종으로, 음악사이에 대화와 독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미크라 하지만 줄거리가 희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는 18세기 후반,프랑스에서 생긴 것으로 처음에는 희극적이었지만, 후에는 상관없이 대사가 있는 오페라가 되었다. "카르멘"이나 "마농" 등의 오페라를 오페라 코미크라 부르는 작가들이 있다.
.

6.오페레타 (Operetta)


오페레타를 경가극이라고도 하며, 극적인 진행에 있어서 대사를 동반한다. 여기에 노래와 무용이 들어 가기는 해도, 음악적인 내용은 낮은 편이며 또한 오케스트라도 소규모적이다. 이러한 작품의 예로는 요한시트라우스의 "집시의 남작", "박쥐"등이 유명하며, 밀뢰커의 "거지학생"등이 이에 속한다.





* 오페라에 쓰이는 용어 :
(It:이탈리아어 Fr:프랑스어 Ger:독일어 Lat:라틴어 Sp:스페인어)

Aria
17세기 초엽 이탈리아에서 생겨난 오페라는 처음 극시(劇詩)의 문학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입장에서 스틸레 레치타티보(낭창양식)로 시종 일관하고 있었다. 그 반동으로 18세기 나폴리악파의 오페라에서는 아리아의 여러 가지 형식이 발달하였다. 그 전형은 ABA의 세도막형식을 따른 다 카포 아리아(da capo aria)이다. J.S.바흐의 종교작품의 아리아도 이 형식을 따르고 있는 것이 많다.

19세기 이탈리아오페라의 작곡가들도 아리아로써 아름다운 선율을 들려 주는 일에 주력했는데, 바그너의 혁명적인 악극 이후 무소르그스키나 드뷔시 등의 근대오페라에서는 드라마가 자연스럽게 전개되는 데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기교적이며 장식적인 아리아는 쇠퇴하였다. 이 밖에 선율적인 기악의 소품을 ‘아리아’로 부르는 일도 있다.



Recitativo

서창. 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에 쓰이는 창법으로 선율을 아름답게 부르는 아리아에 대하여, 대사내용에 중점을 둠.

아리아가 주인공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비해 레치타티보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 스토리 전개를 설명한다. 대체로 ① 레치타티보 세코(recitativo secco), ② 레치타티보 스트로멘타토(recitativo stromentato) 등 두 가지로 구별된다. 건조서창이라고 번역되는 레치타티보 세코는 화성만을 쳄발로 ·피아노로 반주해 줄 뿐이다. 세코 양식을 유효하게 구사한 것이 나폴리악파의 작곡가들이며, 그후 로시니, 모차르트 등이 사용하였다. 스피디한 회화의 형식은 오페라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기악 또는 반주가 붙는 서창이라고 번역되는 레치타티보 스트로멘타토는 세코가 건반악기만으로 반주되는 데 비하여 다양한 악기의 반주를 받는다.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영창을 끌어내는 수단으로 쓰인다.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제3막 백작부인의 아리아 의 전반이나, 제4막 수잔나의 아리아 의 전반에 사용된 레치타티보는 모두 오케스트라의 반주를 받는다. 이들 레치타티보는 리드 ·발라드 또는 연주회용의 아리아 등에도 쓰인다


Alto(알토)
1.Contralto
2.여성의 가장 낮은 음역, 또는 그러한 목소리의 가수, 또는 이러한 음역을 위한 (대체로 F~d)를 위한 합창의 성부



Ballad(발라드)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독일에서 성행한 서사적 내용을 지닌 시 및 그 시에 의한 가곡, 성악곡을 가리키는 경우와 그 영향을 받아 발생한 표제음악적 또는 성격적인 기악곡, 특히 피아노 독주곡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슈베르트의 가곡 '마왕'이나 바그너의 오페라 에서의 '젠타의 발라드'는 좋은예가 된다.



Barcarolle(바카롤)

베니스의 곤돌라에서 부르는 뱃노래로서, 기악과 성악 모두에 적용되는 이름으로 모두 동일하게 흔들리는 리듬을 갖는다. 기악곡으로서 유명한 예는 쇼팽의 피아노를 위한 가 있고, 오페라에서는 오펜바흐의 오페라 중 '뱃노래'를 들을 수 있다.



Baritone(바리톤)

남성 성부의 한 종류로서, 테너(Tenor)와 베이스(Bass)의 중간에 있는 목소리를 말한다. 음역은 보통 B~e1이다. 베이스의 깊은 음색과 테너의 화려함을 겸비하고 있다. 오페라에서의 주요한 바리톤의 역할을 보면 에서의 백작, 에서의 파파게노, 에서의 피가로, 에서의 제르몽, 에서의 아모나스로, 에서의 쿠르베날, 에서의 에스카밀로, 에서의 마르첼로와 에서의 스카르피아등이 있다.



Bass(베이스)

1.목소리 중에서 가장 낮은 음역의 남성 성부. 대체로 G1에서 e1까지 부르지만 그 아래까지 부르는 경우도 있다. 베이스는 음색에 따라 바소 세리오(웅장한 베이스), 바소 부포(해학적인 베이스), 바소 칸타테(부드러운 선율에 알맞은 베이스)등으로 나뉘어진다. 오페라에서의 주요한 베이스 역할을 보면, 에서의 피가로, 에서의 람피스, 에서의 마르크왕등을 들 수 있다.

2.같은 족의 악기중 가장 낮은 음역의 악기를 가리키는 표현 Bel Canto(벨 칸토)대체로 18세기~19세기 초 이탈리아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목소리에 의한 창법을 가리킨다. 또 17세기 중엽 이탈리아의 단순하고 서정적인 창법을 벨 칸토라 하기도 한다. 선율과 가요적인 성격을 중요시한 창법이다. 벨 칸토는 도니제키, 벨리니에 의해 전성기를 구가했다.



Brindisi(브린디시)

건배를 위한 노래. 오페라에서는 베르디의 와 그리고 마스카니의 에서 들을 수 있다.



Cabaletta(카발레타)

오페라 중의 짧은 노래로서, 평이한 형식을 가지며, 간결한 점이 특징이다. 선율과 반주 모두 기듬에 변화가 없는 것이 많다. 19세기 오페라, 특히 로시니의 오페라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오래된 예는 글룩의 경우이다.



Castrato(카스트라토)

남성 소프라노 또는 알토의 거세가수. 17~18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종교음악이나 오페라 가수로서, 소년기에 거세한 성인 남자를 널리 썼으며, 여성보다도 음역이 넓고 힘찬 이들의 소리를 이용했다. 파리넬리, 세네시노, 벨루티와 같은 카스트라토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멀리는 헨델의 여러 작품에 서도 카스트라토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등장했다.



Cavatina(카바티나)

18~19세기의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에 나타나는, Aria(아리아)보다도 단순한 형식의 독창곡. 프레이즈나 가사의 반복이 없다. 가요적 성격의 기악곡에도 사용된다.



Coloratura(콜로라투라)

빠른 패시지나 트릴 등에 의해 기교적으로 화려하고 장식된 선율 또는 이를 특기로 하는 가수에서 붙이는 꾸밈말. 18~19세기의 이탈리아 오페라의 아리아 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모차르트의 에서의 밤의 여왕이나 도니제티의 에서의 비운의 여주인공 루치아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Contralto(콘트랄토)

여성의 성부중 가장 낮은 음역. 소프라노나 메조 소프라노보다 약 5도 이상이 낮다. 브람스가 이 음성의 어둡고 풍부한 음색을 사용하여 쓴 '알토 랩소디'는 유명하다.



Countertenor(카운터테너)

가장 높은 음역을 소화하는 남성의 성부. 16, 17세기의 교회음악. 특히 영국에서 사용되었다. 이 성부를 위한 작품으로는 퍼셀과 헨델의 작품이 유명하다.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영국의 위대한 카운터테너 알프레드 델러에 의해 다시금 빛을 보게 되었다.



Habanera/Havanaise(하바네라/하바네즈)

아바나에서 기원된 쿠바의 춤과 노래인데, 독특한 리듬을 갖고 있다. 비제의 오페라에서 카르멘에 의해 불려진 것은 유명한 예이다.



Impresario(임프레사리오)

오페라, 음악회등의 기획자 또는 그 회사



Intermezzo(간주곡)

19세기초부터, 보통 큰 작품내에서 한 악장이나 한 부분에 주어지는 악곡양식의 이름이다. 혹은 피아노를 위한 독립적인 곡에도 종종 이 이름이 붙여진다. 슈만은 이 용어를 그의 초기 피아노곡에 자주 사용했으며 브람스는 많은 독립적인 간주곡을 썼다. 오페라의 장과 장 사이에 기악이나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되는 곡도 간주곡이라 불린다. 마스카니의 , 푸치니의 에 등장하는 간주곡은 대표적인 예이다.



Leitmotiv(라이트모티브)

반복되는 주제 혹은 특정한 대상, 인물, 감동 및 생각 등을 표시하는 또 다른 음악적 요소. 특별히 바그너의 오페라에서 두드러진 예를 발견하게 된다



Mezzo Soprano(메조 소프라노)

소프라노보다 낮은 여성의 성부, 음역은 소프라노와 콘트랄토의 중간이며, 대개 b~e이다. 그러나 바리톤 처럼 소프라노에 가까운것과 콘트랄토에 가까운 것이 있어서 일정하지 않다. 음색도 다양하며, 오페라의 경우에는 그 역할에 따라 달라진다. 모차르트의 에서의 케루비노, 비제의 에서의 카르멘은 메조 소프라노가 담당하는 대표적인 역할이다.


Operetta(오페레타)

문자 그대로는 작은 오페라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희가극 또는 경가극을 의미한다. 극의 진행은 대사 위주이며, 여기에 가창이나 무용이 들어간다. 오늘날과 같은 오페레타의 확립은 19세기 후반, 오펜바흐의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 , 레하르의 등이 대표적 작품이다. 영국에서는, 길버트와 설리번이 오펜바흐의 영향을 받아 일련의 코믹 오페라를 썼는데 이 시리즈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Overture(서곡)

서곡은 화려한 악곡의 팡파르로써 연극의 시작을 알리는 데서 유래하는데, 곧 어떤 오페라, 오라토리오, 발레, 연극 혹은 다른 대규모의 작품에 대해 작품의 본 연주가 시작되기 전에 그 내용을 미리 간략히 소개하는 음악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이 용어는 종종 극음악이나 표제음악인 하나의 독립된 합주음악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멘델스존의 과 거쉬인의 같은 작품이 그 예이다. 첫 번째 공식적인 오페라 서곡은 륄리의 프랑스 오페라에서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장려한 리듬의 악구로 시작하고 이어서 주선율을 모방하는 빠른 악구가 잇따르는 악곡형식을 갖고 있다. 이탈리아식의 서곡은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세 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770년대 후반에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에 의해 정립되었다. 프랑스식 서곡과 이탈리아식 서곡은 모두 다른 형식의 음악들에 영향을 주었다. 프랑스식 서곡은 특히 독일 작곡가들에 의하여 기악을 위한 모음곡의 첫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식 서곡은 초기의 교향곡에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식의 악장 구성에 사용하였다.


Prelude(전주곡)

소개를 위한 짧은 곡. 초기의 전주곡들은 류트와 건반악기를 위한 즉흥적인 독주곡이었다. 바흐는 즉흥적인 스타일의 전주곡들을 썼는데, 하나의 음악적 주제에 바탕을 두고 전곡을 통해 이것을 발저시키는 방식을 취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엄격한 푸가앞에 두었다. 전주곡은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에서도 발견되는데, 종종 서곡이나 인트라다(도입)의 이름으로 불려졌다. 그 이후의 전주곡들은 쇼팽, 스크랴빈, 라흐마니노프, 거쉬인 등에 의해서 쓰여졌는데, 이 곡들은 비록 낭만적인 스타일과 피아노의 기법으로 쓰여지긴 했지만, 종종 여전히 바흐의 생각, 즉 하나의 테마나 주제를 사용하거나 때때로 조 전체를 한번씩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면서 소개적인 기능이 없는 형식의 악곡기법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었다. 드뷔시는 피아노를 위한 두 개의 전주곡집을 썼는데, 각각 독자적인 제목을 갖고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피아노를 위한 24개의 전주곡와 푸가 작품집을 작곡하였다. 바그너의 과 , 베르디의 에서의 전주곡은 오페라에서 전주곡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Preima donna(프리마 돈나)

대개는 소프라노가 수행한다. 오페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느 여성 배역을 담당하는 가수를 일컫는 말. 동시에 자부심 강하고 변덕스러우며 극도로 민감한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Recitative(서창)

노래의 한 형태이거나 기악적인 멜로디로서, 음높이와 리듬이 노래보다는 말하기에 더 적합하게 되어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독창자에 의해 노래되거나 혹은 낭송되어진다. 레시타티브는 오페라, 오라토리오, 그리고 칸타타 등에서 발견되는데, 행동이나 내용을 이야기할 때에 사용된다. 레시타티브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로는 Recitativo semplice(또는 secco=건조). 이 경우는 대사 전달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간단한 코드가 연주되거나, 콘티누오 또는 건반악기의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두 번째의 것은 Recitativo accompagnato(=반주가 있는)로서 현악 또는 오케스트라 반주에 맞추어 부르게 되는데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의 절정의 순간에 오케스트라가 극도의 긴장감을 연출하는 가운데 연주된다. 오페라에서 레시타티브는 대개 아리아나 앙상블의 연주로 이어진다.



Soprano(소프라노)

여성 성부중 가장 높은 성역을 가리키는 말. 또는 그 가수를 의미한다. d1에서 a2까지의 성역을 소화한다

소프라노는 그 음색이 지닌 느낌에 따라 소프라노 드라마티코(극적인 표현에 알맞은 것), 소프라노 레지에로(가벼운 느낌이 드는 것), 소프라노 스포가토(힘찬 표현에 알맞은 것), 소프라노 아쿠토(섬세한 울림에 알맞은 것), 소프라노 수브레트(음흉하고 요염한 역에 알맞은 것)등으로 나뉜다. 이 밖에 콜로라투라가 있는데, 빠르게 구르는 듯한 곡에 알맞다.



Stretta(스트레타)

오페라에서 사용되던 용어로서, 흥분과 긴장을 고조시키기 위하여 보조를 빨리 하는 작품의 마지막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것은 때때로 기악곡 작품의 클라이막스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Tenor(테너)

높은 성역의 남성 성부를 말한다. 대개 B1에서 b1사이의 음역을 소화한다. 4성부 작법에서는 아래로부터 두 번째 성부를 가리킨다. 테너 목소리에 대응하는 음역의 악기를 말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악기 앞에 테너라는 표현을 부가한다.

무지 중요해서 내공30 겁니다.(쓸수있는...

... 그냥 어느 사이트에 있는걸 복사해서 붙여논듯... 그런 답변... 수고하시는 만큼 내공30 겁니다.. 제 전재산 -_-;; 오페라 애호가로서 오페라에 관심을 보여주시는 분께...

(내공30)중학교에관한 여러가지 질문

... ㅜ___ㅜ 무지속상합니다 이래뵈도 예비중이라구요 내공 30이에요 ! 질문에 대한 답만드릴게요. 1. 한라중 꼭... 그언니가 정말 착하다면 의제맺으면 님한테 손해없을겁니다....

힙합에관한질문 내공

간략하게 질문만 할께요 ; 1.라임의 정의 (정확한) (또... 볼수있는데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모음이 ㅗㅏㅏ로써 말할때 운율을 느끼실수 있으실 겁니다. 2....

조립컴퓨터 구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내공)

... 볼수 있는 건가요? 8. 슬림형 PC가 많이 나오던데 슬림형... 해주실겁니다 잘골랐다고 아님 이건 아니라고.. 기회가 대면 재가 님꼐서 다시 올리신 질문에 답변을 드릴수가...

(내공30)달아요;ㅂ;컴퓨터그래픽...

... 그래도 모르는거 있으면 질문하고.'라고만 말하고... 볼 수 있는 모든것을 전 웹디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될 겁니다. 5.웹디자이너가 되려면 예고, 미대를 갈필요가...

싸이월드에 관한 질문입니다~!! 내공...

싸이월드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쁜 문답양식과, 글씨체... 애국가 4절까지 몇초안에 칠 수 있는가? 410. 통신에서... 사투리로 글을 생각은 없는가? 432. CD는 몇 장이나...

중학교 2학년 공부~☆내공(30검)

... 중요한 수학과 영어가 70점을 못넘거든요? -_-;; 그래서 제 질문은!~ ───────────────────────── 1 . 집중력 올리는법 2 . 효과만점 이득볼수있는...

[내공30] 현직 게임프로그래머분들... 꼭...

... 무엇이 있는지...? (왠지 무지 많을것 같다는.....) 2.게임을 만들때... 이유는 내공 30이 탐나서가 아니라 님의 비전이 대견해서 그런겁니다. 꿈꾸세요. 노력하세요. 뭐든 할 ...

오버클럭 할수있나요...? 내공 30

... 되어있는건아니져...?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내공 추가 30점 겅었습니다...^^* 요즘 들어 오버클럭에 관한... 올려보는겁니다... 오버가 되어있는 제품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