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스텝 오디션을 보는데요...

뮤지컬 스텝 오디션을 보는데요...

작성일 2008.06.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뮤지컬 스텝 오디션을 보려고 합니다

 

근데 제가 뮤지컬 스텝에 대한 경력도 거의 없는것과 같구요;;;

 

무슨 용어나 기기 이름 이런거 전혀 모르는 상태거든요;;;

 

면접심사 보는데

 

적당히 답변을 할수 있을만큼은 아니라도 조금은 알아야 하겠는데;;;

 

크루로 지원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하고자 하는 의욕이랑, 배우기만 한다면 열정 하나로 정말 열심히 할 자신 있습니다.

 

뮤지컬 스텝이 알아야 할것들, 용어, 오디션(면접심사) 때 나올만한 질문에 대한 답같은것들;;; 부탁 드립니다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뮤지컬 스텝 #스텝온리 뮤지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특별히 용어를 많이 안다고 해서 뽑히는 건 아니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용어는 한번 읽어 보시구요..

면접 볼때는 열정 하나면 될 겁니다..^^

 

일단,

stage manager : 무대감독. 드레스 리허설 이후에 진행되는 공연의 모든 사항에 대한 총 책임자이다. 조명, 음향, 기계와 장치 전환 등을 지시하며, 등․퇴장을 비롯한 공연 진행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무대감독은 한 프로덕션의 모든 일들을 관장하고 책임진다. 따라서 예술적, 기술적, 행정적 지식과 능력을 필요로 하며 연습의 제반 사항을 준비하고 기록 및 확인하여 프로덕션의 원활한 진행을 가능케 해야 한다.

assistant stage manager : 무대조감독

technical director : 기술감독. 프로덕션에 있어서 예술감독의 반대적 영역의 최고책임자로 무대기술분야를 총괄 운영한다. 극장의 조직에 있어서는 극장 운영의 전반에까지 참여한다.

technical rehearsal : 기술적인 부분과 관련되는 연습으로 전환, 조명, 음향, 소품 등과 맞춰본다. 스탭들은 우선 paper tech, dry tech(cue to cue) 등의 단계를 거친 후에 배우들과의 technical rehearsal을 진행한다.

general rehearsal : 드레스 리허설 전에 그 때까지 준비된 상태에서 하는 연습

dress rehearsal : 실제 공연과 같이 모든 것의 준비를 갖춘 후 최종적으로 진행하는 연습.

auditorium : 객석. 다른 말로 house라고도 한다.

FOH(front of house) : 조명 용어로 프로시니엄 아치 앞쪽의 객석이 놓인 공간.

half-hour call : 공연 30분 전을 알리는 신호.

production meeting : 제작자, 연출자, 스탭들이 모여 공연에 관한 제반 사항을 논의하는 회의.

화도(花道, 하나미찌) : 가부끼의 꽃길에서 유래된 프로시니엄 아치 앞 양쪽의 길.

runway : 객석에서 무대로 연장된 좁은 통로. 또는 좌석 사이의 통로.

road show : 순회 공연

load in : 장치 반입

schedule for the load-in : 장치반입 스케쥴

strike : 무대 철거

run through : 끊지 않고 연습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하는 것.

head up : 위에서 뭔가 떨어진다는 경고.

prompt side : 무대감독석. 일반적으로 무대 오른쪽 앞에 위치한다.

prompt book : 동작선, 큐 등을 기록한 대본.

full score : 연주되는 모든 악기의 악보가 들어있는 총보.

conductor podium : 지휘자단.

operator : 무대기술 각 분야의 콘솔 조정자.

production desk : 연습시 설치되는 연출용 탁자.

spike mark : 무대 바닥면에 장치나 소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

prop. table : 공연시에 소품을 놓아두는 테이블.

springkler : 화재시 소화용 물이나 약재를 뿌리는 장치.

green room : 출연자 대기실

curtain line : 메인 커튼이 설치된 가상의 무대바닥선.

preset : 공연 전 공연 시작 상태로 준비된 상태.

curtain call : 공연 후 무대 인사.

bump it : 무대 통용어로 ‘그것을 빨리 하라’ 라는 뜻.

fire curtain : 무대와 객석을 차단하는 방화막.

stage shift : 무대전환

onstage call : 분장실의 출연자를 무대로 대기시키기 위한 신호.

paging Mic. : 분장실로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

grip : 무대 위에서 행해지는 모든 작업들을 하는 사람. (stagehand)

house open : 관객 입장 시작

cue sheet : 큐가 기록된 기록지.

cue light : 큐를 알리는 조명기

quick change room : 출연자의 빠른 의상 전환을 위한 간이 분장실.

masking : 무대 뒤나 옆공간을 가리거나 등퇴장시 개방되어 보여지는 무대 외부 공간을 가리는 것.

loading dock : 장치반입구.

photo call : 사진촬영을 위한 소집

photo line : 사진 촬영을 위한 경계선

ten day countdown : 공연 10일전

marking rehearsal : 주로 무용 등에서 출연자의 위치를 잡고 정하는 리허설.

work light : 작업등, 안전등

clip light : 본무대 외의 공간에 배우나 스탭들의 통행을 위해 설치하는 낮은 조도의 조명기

 

-무대기계용어-

 

1) 방화막 (fire curtain / safety curtain / iron curtain)

무대 위의 화재로부터 객석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시니엄 바로 뒤에 떨어지는 막.

2) 수막 (water curtain)

무대 화재시 방화막에 자동으로 물이 뿌려지는 소방장치.

3) 면막 (act curtain / grand drape / house curtain)

무대와 객석을 분리하는 극장막. 주로 막이나 장 사이에 쓰이며 장면막이라고도 한다.

4) 들막 (brail curtain/ French valance)

줄을 당겨 밑에서부터 여러 단으로 접어 들어올리는 막.

5) 모양막(contour curtain/ Austrian drape)

들막의 일종이며, 줄의 길이를 달리하여 여러 모양의 장식적인 주름을 만들어낸다. 면막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용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6) 승강막(fly curtain/drop curtain): 펼쳐진 상태 그대로 평형추방식에 의해 승강하는 막.

7) 윗조리개(teaser/grand valance):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머리막 혹은 머리판.

8) 윗조림막(teaser curtain): 막 구조의 윗조리개.

9) 옆조리개(tormentor curtain):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다리막 혹은 다리판. 대개 영구적이며 이것을 좌우로 움직여 수평시각선과 개구부의 너비를 조절한다.

10) 하늘막 (cyclorama)

하늘막은 흔히 조명 투사를 통해 하늘을 표현하거나 분위기를 표현한다. 그래서 하늘막은 대개 흰색에 가까운 회색을 쓰며 밤하늘이나 아무것도 없는 무중력적인 배경을 위해서는 검정색 하늘막을 쓴다.

11) 장치면막/ 작화면막 (act drop/ show curtain)

극장 면막 대신 공연의 시작부, 막간, 종료부에 내려 무대를 가리는 작화막. 주로 대표적 분위기나 공연제목을 작화하거나 투사하며, 망사막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2) 배경막 (back drop)

무대의 배경으로 걸리는 주름 없는 작화막. 이 장치막은 대개 광목으로 만들어지며 어떤 틀장치도 없이 제작된다.

13) 오린막 (cut drop)

나타내고자 하는 그림의 외곽선을 따라 모양대로 오려내는 막으로 나무숲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오린 부분의 형태가 처지지 않도록 뒷면에 검정 그물을 붙인다.

14) 투영막 (translucent drop)

역광에 의해 막에 그려진 상이 나타나거나, 사물의 그림자 혹은 영상이 비치는 막. 그림자극을 위한 막이나 스테인드글라스막 등이 대표적이다. 도시 야경의 불 밝힌 창문처럼 배경막이나 평판장치의 일부분으로 쓰이기도 한다.

15) 망사막 (transparent drop/ scrim drop)

막 앞의 조명에 의해서는 불투명하게 보이나 막 뒤의조명에 의해 투명하게 변하는 막.

16) 작화머리막 (painted border)

장면의 윗부분에 가로로 길게 달리는 장치막이다. 이것은 막장치의 필수 부분이며 무대 상공의 기계장치들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대개 2장 이상이 필요하며 대들보, 천장 숲, 구름 등이 대표적인 작화내용들이다.

17) 장치주름막 (set drapery)

무대장치의 일부분을 장식하는 주름막. 주로 문, 창문등에 쓰이는 장치요소이다.

18) 영사막/ 스크린 (screen/ projection screen)

환등기나 영사기 등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막. 무대공연에서는 주로 후사막을 쓴다.

19) 후사막 (rear screen)

뒤쪽에서 투사하는 영상이 잘 나타나도록 제조된 투사막. 백색, 미색, 회색, 검정색 등이 있다.

20) 효과막 (effect curtain)

특정 효과를 위해 특수하게 제작되거나 작동되는 막.

21) 평판/민평판 (flat/ standard flat): 개구부(opening)가 없는 직사각형 평판.

22) 문평판 (door flat): 조립문(independent door)을 끼울 수 있는 개구부가 있는 평판.

23) 창문평판 (window flat)

조립창문(independent window)을 끼울 수 있는 개구부가 있는 평판.

24) 벽난로평판 (fireplace flat): 벽난로틀을 끼울 수 있는 개구부가 있는 평판.

25) 마감평판 (return): 일련의 벽장치의 마지막 부분에서 벽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직각으로 덧붙이는 평판. 형태상으로는 민평판이다.

26) 경사덧마루 (ramp): 경사바닥을 만들기 위한, 경사진 덧마루.

27) 자립계단 (independent stair/ self-supporting stair)

다른 장치에 의지하지 않고 그 자체만으로도 지탱되는 계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보관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28) 접는계단 (folding stair)

접어서 운반, 보관하는 계단. 일체형으로 제작되었으나 펼치면 자립형계단이 되고 접으면 운반과 보관이 쉽다. 극장 보유장치로 권장할만하다.

29) 조립식 계단

디딤판과 계단 다리틀을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원하는 형태와 원하는 높이의 계단을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계단이다.

30) 등퇴장계단 (escape stair/ getaway)

객석에서 보이지 않는, 등퇴장을 위한 계단. 조명의 반사나 객석에의 노출 등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전체를 검정색으로 칠하며, 등퇴장의 안전을 위하여 디딤판의 턱과 폭 부분에 주로 20~30mm폭의 백색 테이프를 붙여두거나 백색 페인트를 칠해둔다. 안전난간을 반드시 부착하며, 보관할 때는 안전난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극장상부용어-

 

1. 달기 (fly/flying/hanging)

소극장에서 주로 평판을 바닥에 고정시키거나 지지대를 만들어 사용하지만 중극장 이상에서는 평판을 장치봉에 걸어서 사용한다. 이 봉에 달린장치를 올리고 내림으로써 장치가 전환된다. 달기란 이처럼 작화평판 또는 기타 조명장치의 전환을 위하여 이것을 봉에 달아두는 행위를 말한다.

1) 무대천장에 장치를 달아 오르내리며 전환하기, 대개 장치봉에 단다.

2) 적절한 도구와 부품들을 이용하여 무대장치와 조명장비, 장비등을 달기시설에 다는 일.

2. 달기시설 (fly facilities)

무대장치를 달아서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3. 무대탑 (fly tower)

무대천장의 달기 공간과 시설물을 담고 있는 건물.

4. 무대천장 (flies/ fly loft)

장치와 조명시설이 달려 승강하는 무대의 천장공간.

5. 달기도면 (hanging plot)

달릴 모든 장치의 위치와 장치봉의 번호 등이 명시된 목록 혹은 도면

6. 달기시설도면 (plan of flying facilities)

달기시설의 위치와 규격 등이 표시된 도면, 평면도와 단면도가 있다.

 

7. 전동식 달기 (motorized rigging)

1) 전동모터나 유압실린더로 달기장치를 움직이는 시스템.

2) 평형추시스템에 모터를 추가한 방식.

8. 날리기/비행 (fly(ing)/levitation)

배우를 달아 무대 상공을 움직이게 하기.

9. 날옷 (harness)

날리기의 경우 배우가 무대의상 속에 입는 비행용 조끼.

10. 그리드 (gridiron)

무대의 가장 상부에 설치되어 무대기계장비를 지탱해주는 부분으로, 보통 철골로 된 극장 고정 구조물이다. 장치봉보다 더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주로 천장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어 무대기계장치의 하중을 지탱한다. 공연에 따라서는 여기에 특수장치를 달아 사용하기도 한다.

11. 라인세트 (line set)

하나의장치봉을 오르내리는 설비 일체. 조정줄, 승강와이어, 청장도르래, 주도르래, 평형추실이, 평형추틀, 로프잠금쇠 등으로 이루어진다.

12. 라인세트/라인세트 목록 (line set schedule)

장치봉의 번호와 규격, 특징, 봉 사이의 거리 등이 명기된 목록. 극장이 공연자에게 제공한다.

13. 장치봉 (fly bar/ fly pipe/ fly batten/ weight pipe)

그리드로부터 장치봉선에 달려 오르내리는 긴 쇠파이프나 트러스. 여기에 장치를 단다.

14. 막봉/막파이프 (bottem pipe/ bottem batten/ weight pipe)

1) 장치막을 팽팽하게 펴기 위해 막 아랫단에 끼워넣는 지름 18mm 정도의 쇠파이프이다.

2) 커튼, 조명기, 무대장치, 배경막을 다는데 쓰이는 장치봉으로 그리드로부터 내려오는 쇠파이프. 봉의 간격은 20~30cm가 적당하고 각 봉의 적정 하중은 장치의 무게를 고려해야한다.

15. 장치봉와이어 (lift line/ hanging cable/ drift line/ batten line)

장치봉을 다는 와이어로프.

16. 완충대 (bumper bar)

평형추실이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지 않고 행정거리 한계까지 움직일 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17. 선/줄 (line)

일반적으로 밧줄을 사용하며, 장치봉이나 파이프, 또는 여러 가지 무대장치, 막들과 연결되어 있다. 여러 가닥의 줄들은 도르래를 통하여 그리드와 연결되어 있어서 무대장치들을 수직 이동시킬 때 이용된다.

18. 안내선 (guide lines/ guide wires)

달린 막이 앞뒤로 움직이지 않고 정교하게 오르내리게 하기 위해 그리드에서 무대바닥까지 팽팽하게 고정환 와이어로프. 막 양쪽 끝에 고리를 달아 고리가 안내선을 타고 움직이게 된다. 무대장치로 설치하기도 한다. 예술의 전당에 2조 설치되어 있다.

19. 핀레일 (pin rail)

무대의 한쪽 옆에 그리드를 통과한 줄들을 묶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물이다. 그리드의 도르래를 통과한 줄의 끝은 무대옆의 핀레일에 묶여 있다. 무대의 옆면에 설치된 핀레일은 길고 강한 나무로 된 빔이나 철로 이루어져 있다. 가로버팀대와 핀으로 이루어져 줄들을 묶게 쉽다. 무대장치를 무대 위의 공중에 달아 올리는 방법- 크게 핀레일과 평형추 방식이 있다-중 하나. 핀레일은 구식이고 많은 인력이 필요한 방식이나 설치에 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20. 하중 (load/ weight)

가구나 구조물이 감당해야 할 무게.

21. 안전하중 (SWL/ safe working load)

달기시스템이 안전하게 수용하는 하중. 와이어로프의 안전하중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은 ‘SWL=로프직경(인치)의 제곱*8톤’이다.

22. 과적/하중초과 (overloaded)

허용한도를 초과하는 하중

23. 최고위치 (gridded)

달린 장치가 상한선까지 올라간 경우.

24. 상승한계 (upper limit)

장치봉이 가장 높이 올라갈 수 있는 높이. 대개 그리드 1m 정도 아랫이다.

25. 하강한계 (lower limit)

장치봉이 가장 낮게 내려올 수 있는 높이. 대개 무대 바닥 1m 정도 위이다.

26. 평형잡기 (counterweighting)

달기시설에 평형추를 싣거나 모래주머니를 달아 알리는 장치의 무게와 평형을 맞추어 전환을 쉽게 하는일.

27. 평형추방식/평형추시스템 (counterweight system)

공연에 사용되는 모든 무대막을 필요시에 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올리기 위한 일종의 달기방식이다. 이 시스템을 로프라인시스템과 비교해 보았을 때 더욱 영구적이다. 로프대신에 케이블이 사용되며 이 케이블은 쇠로 만들어진 봉에 달려있다. 이 봉에 부착된 장치물은 무엇이든지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모래주머니나 피그아이언으로 봉에 달린 장치의 무게를 평형유지시키기 때문에 무대장치들을 혼자서도 충분히 전환할 수 있다.

28. 일대일 평형추시스템 (single purchase/ counterweight system)

장치봉이 움직이는 절반만큼의 거리를 평형추실이가 움직이는 시스템. 평형추틀의 높이가 무대답 높이의 절반에 불과하므로 로프조정은 무대탑의 옆부분에 설치된 갤러리에서 이루어지고 조정단 아래의 옆무대 공간이 자유로워진다. 조정단의 높이는 대개 프로시니엄 높이와 비슷하게 된다.

29. 로프잠금장치 (rope lock)

평형추시스템에서 라인세트의 동작을 정지할 때 조정줄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장치.

30. 로프조정막대 (fly line lock)

전환중 조정줄을 임시로 고정하는 막대. 힘과 위험을 덜어주는 간단한 도구이다.

31. 잠금레일 (locking rail)

로프잠금쇠를 조정단 바닥에 고정하는 가로대.

32. 조정로프(purchase line/ operator's line/ hand line)

평형추시스템에서 장치를 전환하기 위해 전환수가 직접 잡고 당기는 로프.

 

33. 평형추실이/ 추실이 ( counterweight cage/ carriage/ arbor/ cradle)

평형추를 실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쇠틀.

34. 평형추 (counterweight)

달린장치의 무게만큼 평형추실이에 실어 전환을 귑게 하는 쇠로 된 벽돌 모양의 추. 추실이에 튼튼히 실리게 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홈이 파져있다. 무대바닥에 내려놓고 장치나 조명기를 임시로 고정하는 용도로 쓰기도 한다. 바닥에서 쓸 목적으로 손잡이를 달아 만든 것은 누름쇠라고 한다.

35. 평형추틀 (counterweight frame)

추실이가 안전하게 오르내리도록 만들어진 쇠틀로 된 통로.

36. 모래주머니 (sandbag)

모래가 가득 들어있는 두꺼운 천으로 된 주머니를 말하는 것으로 그리드에 달려있는 무대장치들의 무게중심을 이루기 위한 무게추로 사용된다. 그리드에 달려있는 무대배경장치를 쉽게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37. 카펫호이스트 (carpet hoist/ carpet batten)

공연중 장치봉에 달린 장치나 소품, 배우의 무게에 변동이 생길 경우 평형을 잡기 위하여 인접한 평형추를 빌려쓰는 기법. 양탄자를 달아올릴 경우 처음에는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다가 올릴수록 하중이 무거워지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38. 갤러리/ 하중조정갤러리 (loading gallery)

달기시설에 평형추를 싣기 위한 무대 옆쪽 상공에 있는 작업통로.

39. 갤러리/ 로프조정갤러리 (fly gallery/ operating gallery)

핀레일을 원래의 덧마루 위에 만들어 무대바닥으로부터 올려져 이루어진 공간이다. 현대에는 보통 3피트 정도로 높이가 낮아졌으며 무대 한쪽에 위치해 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그 본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40. 상부작업통로/ 캣워크 (cat walk)

주무대와 객석 위에 설치된 작업통로로, 갤러리에서 양쪽 사이드를 연결하여 만든 좁은 통로. 이곳에서 무대장치 및 조명을 설치하거나 조명의 경우 초점을 맞추는 작업들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등장인물의 동작선으로도 활용한다.

41. 고정줄 (dead line)

승강전환이 불가능한 고정된 줄.

42. 고정달기 (dead hang)

승강전환이 필요없는 달기.

43. 직접 당기기 (dead haul)

평형추의 도움 없이 수동이나 전동으로 직접 달린 장치를 당기기.

44. 접어올리기 (trpping)

달린 장치의 아랫단이나 중간부분을 당겨 접으면서 오르내리는 기법. 달기 공간이 부족한 극장에서 전체 크기의 막을 전환하는 경우 흔히 쓰인다.

45. 외줄달기 (spot lining)

소품이나 장치 등을 한 가닥의 로프나 와이어에 다는 기법. 대개 그리드로부터 직접 단다.

46. 모아달기 (bridling/ becket/ martingale)

하나의 장치를 단 여러 개의 로프를 그보다 더 위의 위치에서 2-3개의 로프에 모아서 다는 기법.

 

47. 달아옮기기 (breasting)

달린장치에 진동선을 추가로 달아 진동선을 당기면 공중에서 사선방향으로 위치가 옮겨지면서 올라가는 달기기법.

48. 줄타기 (ride the lines/ abseiling)

달기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그리드나 극장 천장에 바로 장치를 다는 경우 작업자가 줄을 타거나 등산장비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일.

49. 공중작업의자 (boatswain's seat/ Bosun's chair)

로프와 도르래에 달린 작업용 앉음판. 단일도르래 1개와 이중도르래 1개를 이용하여 공중에 달린 채로 작업자가 자신의 위치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유리창닦이 의자와 비슷하다.

50. 싸우다/ 걸리다 (foul/ hang up)

가까이 달린장치끼리 서로 걸려서 오르내리기 어렵거나 불가능 하게 되다.

51. 안 싸우다/ 안 걸리다 (free)

가까이 달린 장치끼리 서로 걸림없이 쉽게 오르내리다.

52. 내리기 (fly in/ in/ let in/ come in)

달린장치를 공연 높이로 내리기.

53. 올리기 (fly out/ out)

달린장치를 대기높이로 올리기.

54. 내리세요 (bring it in/ let it in/ come in)

달린장치를 내려달라는 부탁의 말.

55. 공연높이 (trim height)

달기장치의 공연중 사용높이.

56. 높이맞추기 (trim/ dead/ trimming)

달린장치를 공연높이에 맞추기. 달기 체인이나 턴버클로 수평을 잡는다.

57. 높이표시 (flagging/spiking/dead flying/trim mark/flag/flag spike/ribbon/mark)

달린장치의 높이를 맞춘 후 로프에 끈이나 테이프로 위치를 표시하는것 또는 그 표시. 공연높이와 대기높이를 표시한다.

58. 표시하세요 (trim it)

높이를 표시해 달라는 부탁의 말.

59. 박치기/ 두드려 맞추기 (bump it/ bounce it)

공연기간 중 달린장치의 맞추어진 높이나 수평이 틀려지는 경우 무대바닥에 몇변 부딪쳐 수평을 회복하는 기법. 이렇게 해서 해결되지 않는 경우 높이를 다시 맞추어야 한다.

60. 머리!비켜! (Look Out!/ Heads/ Heads Up!)

무대천장에서 달린 물체가 떨어지거나 내려올 경우 다치지 않게 조심시키는 말. 조정줄을 놓쳐 장치가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경우 로프를 잡으려는 것보다 이렇게 소리치는 편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제가 예전에 정리해 놓은 것 중 일부 발췌했습니다..

 

뮤지컬 스텝 오디션을 보는데요...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뮤지컬 스텝 오디션을 보려고 합니다 근데 제가 뮤지컬... 면접심사 보는데 적당히 답변을 할수 있을만큼은 아니라도 조금은 알아야...

정말절실합니다.

... 생각해여 , 스텝들과 지내는법도 배우고 , 동료배우들과 지내는... 원래 뮤지컬배우였는데 , 영화와 드라마를 겸해서 한답니다 , 오디션보는데 수강료를 제시하면 , 그런곳에...

제가 연기 오디션을 보는데 개인기를

제가 연기 오디션을 보는데 개인기를 준비해 오라고... 멘토링/취업시스텝 및 주/월별 오디션진행으로 진로를... 캐이뮤지컬멈퍼티 대표 서미용교수 ◆ 학기중 배역오디션...

제가 이번에 소속사 오디션을 보는데

제가 이번에 소속사 오디션을 보는데 연기로 오디션을... 멘토링/취업시스텝 및 주/월별 오디션진행으로 진로를... 캐이뮤지컬멈퍼티 대표 서미용교수 ◆ 학기중 배역오디션...

로맨스 소설 주인공중에서 주인공이...

전 요즘 로맨스 소설을 많이 보는데 가장 많이 따지는 것이 주인공의 설정이랍니다... 책 표지 글 두 개의 가슴을 만나는 순간, 열정이 깨어난다 탱고, 그 첫 스텝은 바로...

코미디&하이틴영화추천

... 하이스쿨뮤지컬1,2 억셉티드 왓어걸원츠 하우스버니... 학교 오디션에 보냈는데요.. 그 학교에서 합격통지가 오고... 3부터 보셔도 영화보는데 절대 불편함 없으니 안심하시길....

단국대학교 뮤지컬과 질문있어요

... 고졸검고도 보는데요. 수능에대해 아무것도몰라걱정입니다 원하는 대학은 단국대학교이고 뮤지컬쪽에... 멘토링/취업시스텝 및 주/월별 오디션진행으로 진로를...

서울예술대학교 뮤지컬

서울예대 뮤지컬과 시험을 보는데 복장에 일상복(트레이닝 복) 되있는데 면바지에... 멘토링/취업시스텝 및 주/월별 오디션진행으로 진로를 지원해준답니다. 졸업후 3학년 편입...

동서대 뮤지컬

... 동서대 뮤지컬과를 지원하려고 하는데요..학원도... 수시를 보니 노래와 무용 연기를 보는데 실력이 쟁쟁한... 멘토링/취업시스텝 및 주/월별 오디션진행으로 진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