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용어 알아두면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

연극용어 알아두면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

작성일 2021.02.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연극이나 뮤지컬 잘 몰라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가부끼 (Kabuki)

17세기에 노오劇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代表的인 日本의 傳統演劇 形態로서 演技에 樣式美가 완성된 古典劇.

각색 (adaptation)

戱曲을 포함한 他人의 小說 文學作品을 戱曲으로 再構成하는 行爲.

갈등 (Conflict)

相反된 이해를 가진 두 세력의 충돌. 극의 갈등은

㉠ 한 인물과 외부의 환경사이에서

㉡ 한 인물과 다른 인물과의 사이에서

㉢한 인물과 자기 내부의 또 다른 자아와의 사이에서 벌어질 수 있다

고급희극 (High comedy)?low comedy

개성적인 인물의 제시와 知的인 내용을 담은 품위 있는 희극을 가르침 (한참 생각한 다음에 웃게되는 희극)

공연제목 (repertory)

상영극본

공연예술 (Performing arts)

인간에 의하여 무대에서 공연되는 형태의 예술

구성 (plot)

극 행위의 전체적 조직

그림자 연극 (Shadow play)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발달한 인형의 한 형식으로 스크린에 투영된 그림자에 의해 진행되는 극. 인형대신 실제 인간의 그림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가 가장 발달됨.

劇맺음(Epilogue)

막이 끝날 무렵, 해설자가 나와 마무리를 지어줌

ex) 환타스틱, 한 여름밤의 꿈, 우리읍내

극작 (play-Writng)

드라마로 다 만들어진 상태

극작술 (drama turgy)

희극기법, (비) 희곡의 짜임새. 희곡을 구성하는 기술

낭만주의 연극 (Romanticism)

19C 유럽에서 나타난 예술상의 태도로서 신고전주의에 반발하여 일반적인 법칙, 질서, 절제를 거부하고 예술가의 개성과 상상력을 존중하는 연극이다.

노 (Noh, No)

귀족계급을 상대로 함. 양식적인 것, 인간의 본능에서 나옴 14C에 형식된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적인 연극으로서 시, 무용, 가면, 음악 등의 요소가 복합된 귀족계급의 놀이

대단원 (denouement)

극의 마지막 부분으로서 갈등이 해소되는 해결부

도입 (Exposition)

희곡구성의 머리부분. 극의 배경에 대한 사항을 제시하는 부분

래뷰 (revue)

노래와 춤, 간단한 스케치와 빠른 템포로 이루어지는 시사적이고 풍자적인 극 형식

막 ( 幕, act )

연극을 몇 몇 토막으로 나누어 놓은 단위

메시지 (message)

한 작품속에 담긴 작가의 주장

뮤지컬 연극 (Musical drama)

주로 美에서 현대에 들어와 발달한 극 형태로 정통연극에 노래와 무용이 삽입된 극.

미적거리 (aesthetic distance)

극장 안에서 연극의 현실과 실제 인생의 현실을 구별하는 관객의 의식상의 거리. 즉, 무대의의 배우와 관객과는 감상을 위해 항상 어느 정도 거리가 있어야 한다.

발단 (point of attack)

극의 줄거리가 시작되는 부분

보드빌 (Vaudeville)

笑劇의 형태로 대중들의 취미에 맞추어 춤과 노래, 곡예 등을 혼합한 극

복선 (foreshadowing)

극의 뒤에 올 일을 미리 암시하는 표현방법

부조리극 (theatre of the absurd)

1950년대에 대두한 현대연극의 한 조류로서 인간행위의 非合理性과 盲目性을 무대 위에 직접적으로 表出하는 劇 *앞서가는 연극, 전위연극

사실주의 연극 (Realism)

19세기 후반에 낭만주의적 연극에 대항하여 유럽에서 대두한 현대연극의 한 조류

연극에 있어서는 있는 그대로의 인생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태도

삼일치법(three unities)

아리스토텔레스가 「詩學」에서 주장한 희곡구성의 세 가지 요건.

시간, 장소, 사건(행동)의 三一致를 말한다.

상징주의(Symbolism)

1890년대 프랑스에서 대두한 현대 연극의 한 潮流, 자연주의에 대항하여 연극은 인간의

內面 세계를 상징을 통하여 표현하여 연극에서 詩的인 아름다움과 상상력, 장엄미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새티르 劇(satya play)

古代 希臘의 悲劇 競演大會에서 三部作으로 된 悲劇 公演DL 끝난 뒤에 上演되던 笑劇 形態의 劇

서막 (Prologue)

본 演劇이 시작하기 전 서사장면

서사극(Epic drama)

1920년대 피스카토르와 브레히트에 의하여 독일에서 대두한 현대연극의 한 조류, 관객은 극중 상황에 동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서재희곡(clost drama, lese drama)

무대상연을 전제로 하지 않고 읽혀지기 위하여 씌어진 희곡

신고전주의 연극 (新古典主義 演劇, neo-classicism)

17, 18세기 유럽에서 나타난 예술상의 태도 예술의 형식이나 법칙에서 古典主義를 모방 혹은 답습했다. 대표적인 작가로 몰리에르, 꼬르네이유를 들 수 있다.

신파극(新派劇)

日本에 자기들의 傳統劇인 가부끼에 대항해서 새로운 연극을 한다는 일파,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면서 서민들에게 환영받도록 꾸미는 것이 특징.

양식화(stylization)

어떤 작품을 무대화 할 때 어느 한 요소를 실제보다 과장하는 행위.

역 설(Paradox)

겉보기에는 모순된 것 같은나 실상 깊은 의미를 내포한 말

오페라타(Operetta comic opera)

희극적이거나 또는 낭만적인 줄거리를 가진 근대극의 한 형태로 대사 외에 춤과 노래를 자유롭게 활용한다.

월 메이드 플레이(Well-made piay)

19세기 중엽에 발달한 극 형식으로 극의 논리성은 허약하나 구성이 치밀하여 사실주의 희곡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인물 창조 (characterization)

작가가 극중인물을 그의 상상력에 의하여 표현해내는 행위

작품검열 (censorship)

공연 전에 희곡 또는 공연작품의 내용에 대한 외부의 제재 또는 압력, 우리날에서 공연윤리위원회에서 담당했다.

전개 (complication)

극의 중간 부분으로서 극의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는 부분.

전위연극( avant-garde theatre)

사실주의 연극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예술 원리에 입각한 연극(실험 연극)

정점(Climax)

극의 최고조에 도달한 대목

종교극(Religious drama)

종교적인 주제를 담은 극

주변인물(minor character)

주요인물에 비하여 극적 비중이 덜한 인물

주요인물(magor character)

희곡에서 가장 극적인 비중이 높은 인물

주제(Theme)

작가가 작품 속에서 말하고자하는 내용 또는 작품의 의미

즉흥극(improvisation)

극본 없이 공연 도중에 즉흥적으로 대사와 동작을 만들어 내는극

지시문(stage direction)

극작가가 희곡에 써놓은 대사이외 모든 무대 상황을 설명하는 글

초현실주의 연극(sur-realism)

표현주의 연극의 한 유파로서 1920년대 대두한 현대연극의 한 조류(潮流)

카타르시스 (Catharsis)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詩學)」에 나타난 비극이론의 한 중요한 개념으로써 보고 나면 후련해지는 비극의 효과를 말함

컨벤션 (convention)

오랫동안 습관적으로 행하여 이룩된 연극적 약속, 방백등이 이에 속한다.

코러스(chorus)

고대(古代) 희랍연극에 나오던 출연자로서 노래와 춤을 추고 극행위에 직접 가담하기도 했다.

편극(Drama tization)

희곡이 아닌 문학 장르에 속하는 작품을 희곡의 형식으로 옮기는 행위

표현주의 연극(expressionism)

일차 대전 전후 독일에서 대두한 현대 연극의 한 조류. 사실주의 연극에 대항하여 인간의 내면적 체험을 주관적으로 무대 위에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

회상(flash back)

극(劇)의 시제(時制)를 현재에서 과거로 가져가는 수법

희극적 우화(comic relief)

비극 장면 사이에 관객의 긴장을 이완시켜 주기위해 희곡장면을 삽입했을 때 너무 오래 비극 장면만 계속되면 지루하기 때문에 도중에 좀 느슨한 희극 장면을 넣는다.

희화(caricature)

어떤 행위나 인물의 특징을 과장하여 표현함으로서 우스꽝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표기법

가극(Opera)

극을 노래로 부르는 것이 핵심을 이루는 희곡이다. 가극에는 모든 것이 다 노래로 이루어지는 대가극 (Grand opera)에서 노래와 대사가 섞여 있는 가볍고 희극적인 가극에 이르기까지 그 범주가 넓다.

가로幕

무대 배경과 천장의 간격을 가리기 위하여 무대 넓이의 폭과 같은 포장을 위로 달아 가로지른 막.

가면극(masque)

원래는 변장한 모습으로 선물을 가져오는 손님의 도착을 강조하여 표현하던, 오락의 한 형태, 초기에는 「변장 disquising」으로 불렸으며, 엘리자베스 여왕을 즐겁게 하기 위한 연극양식으로 공연되다, 이후 영국 궁정에 널리 유행하다. 시, 음악, 정교한 의상, 거대한 무대 장치, 우화적이며 신화적인 주제와 등장인물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임스 1세의 궁정에서 존슨과 무대장치가 사이의 경쟁은 결국 불화를 초래하여, 1631~1632년 사이의 겨울에 존슨이 제기되고, 궁정 가면극 작가로서 조운즈의 위치는 부상하였으며, 이로써 존슨은 이 양식을 포기하게 되었다. 이후의 특기할 만한 가면극 작품은 셜리의 「평화의 승리 The Triumph of Peace」등으로 1634년에 궁정에서 공연되었다. 밀턴의 「코우머스 Comus」또한 이에 포함되며, 역시 1934년에 루드로 우성에서 공연되었다(밀턴은 엄격히 말해 가면극은 목 가극에 속한다고 하였다.) 주된 가면극을 공연하기 바로 전에, 또는 도중에 서투른 모방을 주로 하는 희극적 막간극이 공연되었으며, 이를 반 가면극 anli-masque이라 하였다. 이는 17세기초에 영국에 도입된 것으로서, 1602년 존슨이 희곡 「여왕의 가면극 Masque of Queens」의 서문에 이 용어의 사용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보인다. 가면극이 미덕과 아름다움을 찬양한데 반해, 반 가면극은 악덕과 어두움의 세계를 제시한다. 가면극은 1642년 내란과 동시에 소멸했으나, 오페라?발레?현대연극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마스크, 마스크 드라마, 가장 무극.

가장 극(mumming play)

영국의 원시 민속극. 자세한 분석보다는 명상을 소재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원시시대부터 반 연극적인 장례의식이나 농경의식이 존재한 것도 사실이며, 오래된 것은 봄 축제의 잔재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19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가장 극은 세련되지 못한 아마추어에 의해서 명맥을 이었고,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도 많았으나 플롯과 대사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머밍 플레이.

가장 무도회(Masque)

17세기초 영국에서 유행했던 궁중 오락이다.

가정비극(Domestic Tragedy)

신분이 높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람보다는 무명의 동시대 사람에 관해 이루어지는 연극을 말한다.

각광(Foot light)

무대 앞 쪽에 설치된 조명으로 아래쪽에서 장면을 비쳐준다.

갈등(Conflict)

하나의 극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논점으로 불가피한 요소라 종종 일컬어진다. 갈등이 일어나고 해소되는 것이 구조를 공부할 때 파악해야 할 연구대상이다.

광대(Clown)

희곡에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희극적인 인물로 허풍선이 몽둥이로 치는 식의 익살로 웃음을 자아내는 남자배우인 경우가 상례이다.

개방무대(Open stage)

객석이 3면으로 둘러싸인 무대, 영국에서는 어리너 무대라고도 하지만, 미국에서 어리너 무대라고 하면 관객에서 둘러싸인 무대를 뜻한다. 개방무대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덧 무대에서 유래한 것이다. 런던 외곽에는 개방무대로 된 극장이 굉장히 많으나, 런던에서는 소방법 때문에 프로시니엄 아치에 꼭 소방 막을 해야만 한다. 현재 세워지고 있는 다목적 극장들은 모두 개방무대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개방무대에는 종래의 프로시니엄 아치 무대와는 다른 해석, 무대화, 장치, 조명등의 문제가 따른다. 공간무대

객석(Auditorium)

공연을 관람하는 동안 관객이 앉거나 서서 있을 수 있는 부분.

경극(ching chii)

경극은 중국에서 영향력이 가장 크고 가장 대표성을 띤 극의 종류이다. 경극의 전신은 휘조(徽調 : 안휘성에서 유행되던 곡조)인데 통칭 피황극(皮황劇)이라 부른다. 한때 평극(平劇)이라고도 불렀다가 후에 경극으로 고쳤는데 약 2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청조 건륭 시기에 휘조가 북경에 진입해 곤강(昆腔 : 하북 북경 일대에 유행했던 곡조)과 진강(진腔 섬서성 일대에 유행했던 곡조)의 극내용, 음악곡조, 표현방법 등에서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발전한 것이다. 표현면에서 춤과 노래가 동시에 진행되고 기교가 있으며 허의성(虛疑性)의 동작을 많이 사용하여 강렬한 인상을 준다. 노래할 때 행동과 함께 곡조를 읊으면서 대사를 하고 도백(道白)은 음악성을 가지고 있어 노래, 행동, 도백, 서로 싸우는 무술장면 등이 경극의 예술성을 띠고 있어서 각 지역의 극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 경극에 대한 상세 설명>

군중장면(crowd scene)

집단적으로 다수 인이 등장하는 장면. 도브 시인.

그림자극(shadow play)

인형극의 하나. 인형의 움직이는 모습을 뒤에서 비추어 종이 스크린에 투사하다. 부분조정이 가능한 인형의 사지를 막대기나 줄로 밑에서 조정한다. 극동에서 발생, 특히 인도네시아(발리?자바섬)에서 고도로 발달하였다. 이후 중동?극동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터어키에서는 카라고즈의 형태로 유행, 대중 민속장애의 하나가 되었다. 18세개 프랑스에서는 레 종브르 쉬누아즈(Les Ombres Ckinoises)로 유행하였다. 영국에서는 그림자 놀이 the Galanly Show로 발전, 지방 장터에서 공연되었다. 라이닝거가 제작한 동화영화 속의 움직이는 영상은 곧 이 형태의 재현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기술면으로 보아 만화영화의 선구라 하겠다.

극본

각본. 연극의 바탕이 되는 책

극적 아이러니(Dramatic lrony)

극 속의 인물은 알지 못하는 어떤 것을 관객이 이미 앎으로써 생기는 아이러니를 뜻한다. 긴장이나 위기감을 고조시키거나 동정과 이해를 강화시키고자 할 때 자주 이용된다.

근대극

세계 연극 사를 시대로 구분하는 경우, 입센부터를 근대극이라고 부른다.

고정 장치(Plastic Scenery)

납작한 판 위에 그려진 무대배경보다는 3차원으로 조립된 무대배경풍경을 의미한다.

꼭두각시놀음

굿중패 또는 남사당패라 불리는 직업적인 유랑 연예인들에 의해 전승되어 유일하게 남아있는 전통적인 인형극. 일명 박첨지놀음?홍동지 놀음이라고도 한다. 꼭두각시?박첨지?홍동지 모두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형극은 삼국시대에 대륙으로부터 중국을 거쳐 수입되어 그 영향을 입었으며,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농경의식의 하나인 농악 굿 놀이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으나, 아직 확실히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현재 남아 있는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으로 보아 조선시대 후기에 어렵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현재 남아 있는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으로 보아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야 오늘날과 같이 비교적 격식을 갖춘 인형극으로 성립되었다는 점이다.

노오(能)

일본의 연극, 능악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원악이나 난무라고도 불렀다. 요와 무용과 음악으로 이루어지는 고전극이지만 가면극이면서 가무적 요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악극으로도 호칭된다.

노이에 자흘리히카이트(Neue Sachlichkeit)

1920년대에 표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독일의 문학예술운동. 표현주의의 정서본위와 공상적인 언어에 반해, 본질적인 세계의 사실적 기록적 묘사를 주장, 기술과 스포츠, 째즈 등을 강조하였다. 당시 미국은 현대 기계문명의 본향으로 간주되고 있었으므로 이 운동의 작가와 화가들은 때로 미국적인 주제와 배경을 사용하였고, 브레히트가 이 시대를 대표하였다.

느림대

무대 장치를 다는데 쓰는 대.

느림 장치

무대 장치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무대 천장에 올리고 내리는 것을 말함.

다목적 장치(permanent set)

계속 사용하는 주요 플렛에 여러 가지 부품을 첨가하여 제작한 장치물. 한 장면 안에 여러 장소를 만들어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다용도 배우(General Utlity)

모든 부류의 극에서 온갖 종류의 사소한 역할을 맡아 하는 배우들을 집합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단역(Supernumerary)

무대 위에 나서되 단 한 마디의 대사도 부여되지 않은, 연극상 중요치 않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단역(Bit Part)

하나의 극작품 내에서 한 마디의 대사를 하게 되는 하인 역처럼 매우 작은 역할로, 이런 역을 맡은 배우를 단역배우라고 부른다.

대도구

무대 장치, 세트와 같은 뜻으로 무대에 꾸며지는 집?나무?바위 등인데 연기자가 움직일 수 없는 것. 나무라도 연기자가 꺾는 가지라든가 꽃은 소품이라고 한다.

대화장면(Episode)

하나의 극중에서 간략하며 통일성을 띤 부분으로 간혹 '장면'과 같은 뜻으로 교체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회랍극에서 행위의 단위가 합창대의 시에 의해 나뉘어진다. 이런 단위는 막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더 씨어터(The Theatre)

런던 최초의 극장, 1576년 버베지는 그가 임대한 성레오나도교구 내 쇼르디취에 건축했다. 그는 원래 목수였으나 혼자 극장을 설계, 3개의 갤러리가 있는 원형극장을 건축했다. 1577년 여름에 개관되어 펜싱이나 기타 육체경기 시범 등이 개최되었다. 많은 극단이 이 극장을 사용, 라이체스터스 멘(1576~1578), 퀸스 멘(1538~1589, 간헐적으로 공연), 에드미럴스 멘(1590~1591), 버베지 자신이 속하는 체멀린스멘(1594~1599)등이 공연했다. 버베지의 사후 그의 아들 커스버트가 1598년까지 이를 운영하였고, 이후 글로브 극장을 건축하기 위한 용재로 사용되었다.

더블 캐스트(double cast)

한 역에 두 사람의 연기자를 동시에 배역하여 교대로 출연토록 하는 것.

덧마루

대 도구(大道具)의 일부로서 무대를 높이는 마루.

뒷무대(Backstage)

무대 위에 놓여 있는 무대 배경 풍경 뒷 부분으로 배우들이 등장하기 전에 대기하기도 하고 배경풍경이 이동되기도 하는 장소이다.

데우스 엑스 마카이나(deus ex machina)

그리스 연극에 사용되던 기중기와 같은 장치(라틴어로는 machina). 무대꼭대기로부터 등장하는 신이나 영웅들의 갑작스럽고 놀라운 등장을 용이하게 하여, 마치 이들이 구름으로부터 내려오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기타의 방법으로는 해결 불가능한 혼란된 플롯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피데스는 가끔 이 무대장치를 이용하였다. 이 용어는 관용구로서 비유적으로 상용되기도 한다. (Lat = the god from the machine)

도덕극(morality play)

중세의 연극 형태, 미덕, 악, 애정, 우정 등의 추상적 개념을 적용한 우의극으로서 미덕이나 악마는 인간 영혼의 투쟁으로 묘사되었다. 네덜란드에 기원을 둔 희곡 「애브리멘 Everyman」이 대표작이며, 몇 편 전하지 않는 영국 도덕 극의 하나이다. 칼데론의 「세계의 대 극장 Elgran teatro del mundo」을 비롯, 스페인의 성찬 극 또한 도덕 극과 동일한 전통을 가진다. 영국 연극의 발전에 있어서, 인물 성격의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기여, 특히 인간 유형을 개성화 시키는 다양한 악의 묘사에 능하였다. 존슨을 비롯한 몇몇 작가들이 개발한 익살 희극(또는 해학극)도 한편으로는 이러한 수법을 적용, 예를 들어 「성 잘 내는」또는 「화내는」인간의 모습은 「분노」또는 「노여움」의 악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들이다. 등장인물 폴 스태프 역시 이들 「탐욕」이 「포식」의 악에서 추출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국 도덕극 중 가장 오랜 작품은 「인내의 성 The Caslle of Perseverance」(1450)이며, 스켈톤의 「장엄 Magnificence」(1515) 이 우수하다. 기타 유명 작품으로 레드포드의 「위트와 과학 Wit and Science」(1539), 매드월의 「풀젠스와 루크리스 Fulgens and Lucrece」(1515) 등이 있다.

도랑(dohran)

연기자가 얼굴에 바르는 분장 도구의 하나.

독백(monologue)

극에서 한 배우가 혼자서 또는 타 등장인물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는 것, 또는 그 대사. 주요 등장인물 등의 개인적인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해석하는데 필요한 극적 기법으로, 세익스피어?괴테 등이 사용하였다. 자연주의 연극에서는 이것이 작위적이라 하여 금기하였다. 그러나 브레히트 등 자연주의에 반대하는 현대 극작가들은 이를 사용한다. 모놀로그.

돌출무대(thrust stage)

무대가 객석으로 나와 3면이 객석으로 둘러싸인 무대. 트러스트 스테이지.

드라마뛰르기(dramaturgie)

극작술(劇作術), 각본 작법(脚本作法). 오늘날에는 연극론, 연극술, 연출법 극평(劇評)등의 의미로도 쓰인다.

드레스 리허설(dress rehearsal)

마지막 무대연습. 리허설 전에 무대감독은 제작자나 극단 경영자와 만나 협의하고 각 배우들이 사용할 의상실을 공개한다. 이때 의상실의 위치, 배우의 성, 연령, 중요도를 고려한다. 배우가 자신의 옷이나 화장품을 가져왔을 때 충고도 한다. 이 리허설의 성공여부는 무대감독에게 달려 있다. 철저한 지식, 세심한 준비, 조절이 필요하다.

드릴러 극

극히 일상적인 환경 속에서 공포심리를 추구하는 극, 미국에서 1940년경 유행하기 시작하여 히치콕 감독이 영국에 건너오면서 독특한 소재와 표현으로 독자적 경지를 개척했다.

등장인물(Character)

극 속에 나오는 사람들을 뜻하며, 그 사람을 이루는 특질을 대변하는 말이다.

디오니지어(Dionysia)

디오니소스를 기념하는 여러 가지 고대 희랍시대의 축제를 가리킨다.

레제 드라마(lesedrama)

상연을 전제로 하는 일반 희곡과는 반대로, 읽기 위해 쓰여진 희곡, 따라서 사상적 문학적 요소를 더 중요시한다.

레퍼토리(repertory?repertoire)

상연목록. 한 극단이나 악단이 언제든지 상연할 수 있는 작품 목록을 미리 준비해 놓은 것. 레퍼토리 시스템은 그 극단의 독자적인 상연 목록을 가지고 매일 밤 또는 매주 바꿔 가면서 순차적으로 상연하는 제도를 말한다.

레퍼터리 극장(Repertory Theater)

언제든지 상당수의 극을 공연할 수 있는 준비가 갖추어져 있으며 장기 공연보다는 주당 또는 매일 공연작품을 교체하는 극단이다.

롱런(long run)

장기 흥행(長期興行)

리딩 맨, 리딩 우먼(Leading Man, Leading Woman)

젊지는 않지만 주역을 맡은 배우들 특히 성숙된 인기 연예인을 가리키는 극장가의 용어이다.

리허설(rehearsal)

연극이나 음악 등을 공개하기 직전에 하는 연습 시연(試演)

마띠네(matinee)

낮 공연(晝間公演), 연극은 원래 밤에만 상연하고 1주일에 한두번 낮에 하는게 원칙이고 따라서 값이 싸다.

마루박이

연기자가 막이 오르기 전에 미리 무대에 나와 있는 것.

막(act)

희곡의(길이의)구분. 계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짜여진 플롯에 따라 일정한 통일과 목적을 가진 사건의 주요 구분으로, 각 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면으로 구성된다. 그리스극에는 막의 구분없이, 코로스에 의한 중단이 있을 뿐이었다. 호라티우스는 그의 「시법 Ars Poetica」에서 최초로 5막설을 주장했고, 세네카의 비극은 5막으로 구분된 최고의 예디. 르네상스시대에는 프랑스의 위대한 극작가들 사이에 5막설이 지배적이었고, 이는 존슨을 통해 영국에도 전파되었다. 한가지 중요한 점은 세익스피어가 극을 5막으로 구분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아마도 편집자들이 존슨을 모방하여 인쇄 복사본에 5막을 구분했을 것이다. 희극의 경우, 작가의 임의에 따른 막 구분이 보다 자유로워 2막?3막 구분도 일반적이었다(몰리에르 극까지도). 현대극은 보통 3막인데, 이는 연기자나 관객 모두에게 편리하기 때문이다. 세익스피어극 공연의 대다수가 한 번의 막간을 둔다. 한때 4막 구분도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무대의 막인 「커튼 curtain」과는 구별해야 한다. 독일에서 막 간에 커튼을 쓴 것은 1770년 이후의 일이며, 영국도 거의 감고, 막마다 커튼을 내려 연극의 막 수와 무대의 수막이 일치된 것은 18세기 중엽 이후로 본다.

막간극(interlude)

짤막한 연극 소품. 때로 극곡을 공연하기 직전에 공연하였다. 영국의 막간극을 완전하고 독립된 연극 형태로 발전시킨 최초의 작가는 헤이우드였다.

막을 올려주는 극(Curtain raiser)

단막으로 된 소극같이 짧은 극으로 저녁에 주 공연에 앞서 공연된다.

막 장면(Curtain Scene)

장면이나 막이 끝날 때 커튼이 내려오기 직전의 장면으로 강렬한 장면인 경우가 많다.

메이크 업(make-up)→분장

멜로 드라마(melodrama)

원래는 음악이 섞인 극이라는 뜻. 오늘날은 흥미본위로 만들어서 예술성보다는 오락성 내지 상업성을 띤 작품을 가리키게 된다.

면막(act curtain)

주름막 바로 뒤에 있는 커튼. 연극 중이나 희극 후에, 관객의 시야에서 감추어야 할 것이 있을 때 사용된다. 수직으로 내리고 올리는 수직 커튼과, 양쪽으로 당기는 끌막이 있다.

모노드라마(monodrama)

짤막한 독연(獨演) 소품. 때로 무언의 등장인물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18세기 독일에서 유행하였다. 주로 배우의 명연기를 위한 소품으로 쓰여졌으며, 루소의 피그말리온 Pygmalion」(1762)과 콕토의 「목소리 La voix humaine」(1930)가 유명하다. 일인극, 〔GX. monos = single〕

모놀로그(monologue)

독백(獨白). 연기자가 자신의 내면의 감정이나 의사를 혼자서 말한다.

목적극(thesis play)

한 집단 또는 사회의 이념을 고취하기 위해 쓰여진 劇, 테시스 플레이, 퍼포즈 플레이, 프로퍼갠더 플레이.

무대(stage)

① 배우가 관객 앞에 나타나는 공간 가장 간단한 상태는 관객의 앞이나 가운데에 있는 깨끗한 부분이다. 가장 복잡한 형태는 프로시니엄극장처럼 무대가 높고, 플라이 플로어와 천장그물에 덮여 있으며, 장면 전환에 필요한 기계장치들이 있는 경우이다. 중간 형태는 무대가 높고 고정적인 벽이 있는 상태이다. ② 연극 대본을 제외한, 연기와 연극제작 모두를 일컫는 말. [무대 위에 있다]고 하면 연기를 하는 상태이고, [무대 밖에 있다]고 하면 막이 닫혀진 상태이다. ③ 연극전문지 1939년 9월 창간. 발행인 김상복.

무대감독(stage manager)

배우와 요원을 포함한 무대 뒤의 모든 책임을 맡은 스텝. 장치를 세울 때나 연습을 할 때는 언제나 참석하여 전체 제작을 익혀야 한다. 그의 책임은 이처럼 막중하며, 특히 비상시에 모든 것을 처리해야 한다. 연습 시작 전. 그는 연출이 배역하는 것을 돕는다. 원고 정리를 돕는다. 배우에 대한 기록을 한다(전화번호, 주소 등) : 배우조합 대표를 만나며, 모든 배우에게 조합에 등록할 것을 종용한다. 경영 매니저와 함께 공연장과 연습실을 계약한다. 연습장과 연습실을 계약한다. 연습장 바닥에 장치선 계획을 세워야 한다. 연출을 대신해서 연습용 가구와 소품을 마련한다. 연습에 사용되는 연료, 조명의 경비, 연습시간, 연습실 경비 등을 기록한다. 빨리 옷을 갈아 입어야 할 배우가 있는가를 점검한다. 의상실을 마련한다. 연습을 할 때 의상에 시간을 뺏기지 않게 미리 점검한다. 소품위치를 정하고 배역, 연출, 기술자들을 위해 약속이나 연습에 대한 목록을 작성한다. 연출의 지시를 최대한 지키고 연출이 없을 때는 연습을 대행한다. 프롬프트 스크립을 복사해 둔다. 어린이 배역이 있을 때 허가를 받는다. 불어나 총기를 사용할 경우 허가를 받는다. 텔레비젼이나 라디오 등의 선전에 나갈 장면을 만든다.

무대감독보(assistant stage manager)

무대감독을 돕는 스텝. 제작물이 간단한 것일 때도 무대감독보를 둘 수 있으며, 장면이 복잡할 때면 2명을 둘 수도 있다. 제작물에 따라서 그 임무가 다르지만 무대감독의 역할을 잘 외워두어야 한다. 연습 중에 무대 감독 대신 대본을 들고 있을 수도 있고, 가구를 배치하거나 음향효과를 맡을 수도 있다. 언제나 모든 상황에 대처할 준비를 하고 연습에 필요한 심부름을 한다. 되도록 빨리 무대 감독과 연출가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무대장치(stage machinery)

건축?회화?공예 등 조형상의 여러 요소를 동원하여 극적 공간으로서의 부대를 구성하는 일, 또는 구성한 것. 고대 이후 극적 효과를 위해 기계적인 기구가 사용되었다. 그리스 극장에서 사용된 무대장치에 관해지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나(→아이오레마, 원형극장) 로마극장에서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설 실내극장이 건축되기 시작한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연극에서 현대적인 장치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이후 프로시니엄 무대가 건축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이를 [이탈리아식 무대 theatre a l'Italienne」라 한다). 브라만과 페루찌는 원근법을 적용한 채색 배경막과, 빠른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텔라리(그리스의 패리악토스로부터 유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5세기 초반에는 하늘으 날거나, 솜으로 제작한 구름을 제거함으로써 갑자기 나타나는 천사들을 위한 장치가 있었다. 17세기의 토렐리는 테니스와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당대의 뛰어난 무대장치가로, 이동 가능한 옆막을 개발, 빠른 장면전환을 가능케 했다. 19세기에 무대는 더욱 기계화되어 무대천장에 정교한 쇠망을 설치, 밧줄이나 도르래로 조정하여 장치를 들어 올리거나 내렸다. 이후 많은 극장에서 무대전체가 수력으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체 무대장치의 순간적인 이동이 가능케 되었다.

1896년 뮌헨에서 최초로 사용한 회전무대 또한 빠른 장면전환이 가능했다. 그러나 과거에 그림을 뒤로 무대의 마술적 세계와 관객을 분리시켜 환상을 창조하기 위한 본질적 요소였던 프로시니엄 아치에서 탈피, 회전무대를 추구하는 현대의 추세는 결국 무대장치의 중요성을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무대지시문(stage directions)

희곡에서 대상 외의 부분. 일반적으로 배우의 행동과 무대 효과에 관한 것이다. 무대 지시는 배우를 중심으로 하므로, 관객의 입장에서 보면 반대가 된다. 또 무대 뒤쪽이 높고 관객 쪽이 낮았던 시대에서 유래한 관습이므로, 아래무대라고 하면 전문무대란 뜻이고 윗 무대라고 하면 후면무대란 뜻이다. 가장 간단한 무대 지시에 「등장」「앉는다」「선다」「돈다」등이 있다. 또 무대 지시를 할 때는 관습적으로 무대를 9개의 부분으로 나눈다. 즉 전면무대, 후면무대, 중앙무대를 각각 좌측, 우측, 중앙으로 나누는 것이다. 복잡한 행동을 지시할 때 편리하다. 19세기에는 희곡을 읽는 독자를 위하여 더 많은 무대 지시문이 개발되었다. 입센은 장면 묘사뿐 아니라 성격 묘사에도 많은 신경을 썼고 쇼오는 희곡을 인쇄할 때 더 많은 지문을 삽입하기도 했다.

무언극

판토마임. 대사 없이 표정이나 손짓, 발짓 등 행동으로 엮어지는 연극. 때로는 음악에 맞추어 추기도 한다. 원시 민족들이 새와 짐승의 동작을 모방한 데서 시작하여 연극의 원류를 이루고 무성영화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어진다.

무용극(dance drama)

극적인 표현수단으로, 주로 무용에 의존하는 극. 댄스 드라마.

문제극(Piece-a-These)

하나의 논제나 주장이 담겨져 있는 극이라는 의미로 프랑스어에서 나온 말이다.

뮤지컬(musical)

음악이 섞인 희극. 뮤지컬 코메디를 가리킨다.

밀막

한쪽으로부터 밀어 열리는 막.

반연극(anti-theatre)

종래의 연극에 반대한 1950년 이후 프랑스의 전위연극운동. 폴롯과 등장인물 성격에 일관성을 지켜야 한다는 종래의 원칙을 무시하고, 상식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황당무게한 이야기와 인간 존재의 밑바닥에 깃든 허무와 불안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의 부제 「반허곡」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본다. 표현 자체를 중시하며 지적 해석을 거부하고 언어 그 자체의 환기로 관객을 각성시키려 한다. 따라서 인무르이 자기동일성도 무시되며, 언어의 마력이 환기하는 형상이 가속도적으로 공전하는 운동 그 자체가 극적 구성의 원동력이 된다. 프랑스의 베케트?이오네스코?아다모프 등의 작품이 이에 속한다.

반절정(Anticlimax)

절정이 지난 후에도 긴장이 지속되는 부분으로 절정 내지 절정의 이완 상태이다.

발판(Trap)

배우들이 등장하고 퇴장하도록 무대 바닥에 나 있는 입구를 의미한다.

방백

배우가 상대역에게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관객에게만 들려주며 자기 자신의 심리를 설명하기 위해 말하는 대사.

버라이어티(variety)

쇼의 일종으로 노래, 춤, 촌극(寸劇) 등 무대 위에서 변화 있게 보여 주는 형식.

벌림막

가운데서 양쪽으로 열리는 막.

복식장치(multiple setling)

중세 연극의 무대장치, 종교 연극의 잔재로 여러 개의 저택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배우는 행동의 중단 없이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닐 수 있다. 중세 연극이 처음으로 교회를 벗어났을 때, 인기 공간의 3면은 저택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러나 16세기 프랑스에서는 직선이나 거의 직선에 가깝게 변화되어 있었다. 영국의 기적 극은 회전하는 마차 위에서 이루어졌으므로 복식 장치가 필요 없었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상당히 오랫동안 복식 장치가 가능했으며 코르네이유의 초기 희극도 복식 장치로 공연되었다.

복선(Foreshadowing)

극 속에서 나중에 일어나게 되는 사건을 관객에게 암시하는 것을 뜻한다.

부조리극장(Theater of the Absurd)

20세기 중엽의 극작가들의 한 무리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의 극은 모든 의미, 목적, 성취가 부조리한 우주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분장(make up)

무대에 출연하는 배우가 극 속의 일정 인물로 꾸미어 나오는 것. 즉 얼굴 부분을 꾸미고, 그 표현도를 높이는 일. 얼굴의 자연스러운 표현을 강조하는 것부터 거의 인공적인 가면에 가까운 모습으로 양식화된 표현을 하기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원시 연극에서는 주로 가면으로 변장을 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가발, 수염, 가짜코, 흉터, 주름살 등을 약간 붙일 뿐, 보통 역에는 분장을 하지 않았다. 다만 소년이 여자역을 맡을 때나 천사, 악마 등 특수 효과를 낼 때만 이를 이용했다.

배경막(Drop)

연기가 이루어지는 무대 위에 드리워진 막으로 막이 내려올때는 무대범위가 줄어들고 막이 올라가면 범위가 넓어진다.

배경막(Backcloth)

무대배경풍경의 뒤쪽에 격자에서 내려져 걸려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천이다.

비상등(emergency lighls)

화제시나, 조명의 정상 작동이 불가능한 비상시에 출구를 비롯하여 무대와 객석을 비추는 빛. 일반 전선과 분리된 전선을 쓴다.

비탈마루

한쪽은 높고 한쪽은 낮게 비탈진 마루. 그냥 비탈이라고도 함.

사회극

성격극 (性格劇)이 인물의 성격에0 치중하는데 대해서 사회 인식의 자각 위에서 사회적 계급, 배경, 문제성을 깊이 다루려는 연극. 따라서 가정극과는 반대로 사회적인 문제를 다룬다.

사이클로라마(cyclorama)

무대 배경장치의 둥글게 둘러쳐진 배경을 말한다. 한때는 고운 시멘트로 만들어서 이쪽으로 오는 빛을 반사시켰다. 그러나 지금은 포목이나 휘장으로 대신한다.

산 신문(Living Newspaper)

영화와 매우 흡사하게 짧게 스쳐가는 장면에서 다루어지는 연극적 묘사를 뜻한다. 이는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연극화시키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3원칙 통일(Unities)

독일의 표현과 극작가?연극이론가인 브레히트가 주창한 극 형태. 원래는 연극이 보다 강한 「이야기적」요소를 갖기 원했던 독일 표현주의파 파퀘트 피스카토르?포이히트방거 등이 이전부터 사용했었다.(예 : 1919년 포이히트방거의 연극적 소설 「詩學」에 정의된 드라마의 전통적 형식으로서의 관객의 감정 동화, 카타르시스에 한 심리작용 등을 거부하고 한 관찰사로서의 관객을 최면술적 감동에서 해방시켜 인식으로 인도하고 관객에게 세계의 변혁을 깨닫게 하는 실천적 태도를 가르치고자 했다.

설명문

극본에서 대사 이외의 설명이나 지시를 적은 글. 지문(地文)이라고도 함.

세모널

세모꼴의 덧마루.

세트(set)

무대장치

소극(Farce)

단순한 웃음을 야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상연되는 희극을 가리킨다.

소극상(httle thcatre)

① 약 4백 석 미만의 객석을 가진 소규모 극장. 20세기에 들어 근대극의 발달과 함께 여러 가지 실험과 혁신이 요구되자. 이러한 형태가 등장. 런던의 「소극장 「Little Theatre」, 일본의 「축지소극장」이 유명하다. 한국에서 소극장 운동이 일어난 것은 1931년 극예술연구회가 발족한 이후로 본다. ②실험연극 혹은 아마추어 연극집단.

소품

소도구라고도 함. 무대 위에 배치되는 것이나 인기자가 지닌 도구, 또는 무대 장치에 덧붙여지는 작은 도구.

스크립트(script)

연극에서는 극본 대사 그 외 여러 가지 설명문이 적혀 있다. 방송에서는 방송용 원고와 극본의 총칭.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

러시아의 연출가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생각해 낸 연극창조 방법. 1906년부터 그가 경험한 배우 및 연출의 분야에서, 특수한 훈련과 인간의 내적?외적 표현 기술을 중요시한다.

스타 시스템(star system)

19세기 후반 이후 연극의 상품화나 기업화를 위해 이미 만들어진 주연배우를 중심으로 연극을 만드는 일. 따라서 이런 연극은 전체적인 조화나 효과가 깨어지기 쉽다.

스탭(staff)

하나의 연극을 창조할 때에, 그에 따르는 배우 이외의 예술가. 곧 원작?제작?각색?연출?음악?조명 등을 담당하는 사람.

시극(poetic drama)

산문극에 대한 희곡의 형식, T.S. 엘리어트는 현대 사극의 최고봉이었다.

신극

원래 일본 극계에서 쓰던 말을 수입한 것이나, 즉 상업주의 연극인 신파극에 반발하여 보다 예술적이며 문학적인 연극을 목표로 했다. 따라서 일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극은 번역극을 더 많이 상연했다.

신비극(Mystery Play)

성서의 내용을 다루는 중세의 희곡이며 교회 축제날 상인들의 조합원에 의해서 영국의 여러 마을에서 공연되었다.

실질적 배경(Practical Scenery)

예를 들면, 문?창문 등이 열리고 닫히고 하면서 실제로 활용되는 무대배경의 일부를 뜻한다.

아방가르드극(avant-garde)

전위극(前衛劇), 혁신적 정신에 의해 항상 시대의 제일선에 앞서는 연극. 전위라는 말은 군대용어로서 전선을 의미한다. 이 연극 운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스위스의 다다이즘 예술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안무(Choreography)

무용, 그룹배치, 연출 등과 관련 지운 발레 만들기.

암전(dark-change)

무대를 어둡게 하고 막을 내리지 않고 장면 전환을 하는 것.

앙상블(ensemble)

예술 작품 전반에 걸쳐 쓰이나 특히 연극에서 배우전원의 협력에 의하여 통일적 효과를 기대하는 연출법.

앞무대(Apron)

막이 쳐진 앞부분의 무대.

양독극(reader's theatre)

동작없이 주로 출연자의 화술에 의존하는 극. 드라마틱 리딩, 리더즈 디어더.

어댑테이션(adaptation)

각색(脚色), 소설?전기 등 일정한 제재가 있는 내용을 극화하거나 시나리오, 방송 극본으로 옮기는 일을 말한다.

어레인지(arrange)

극본을 상영하기 좋게 수정하는 것. 또는 소설이나 민화같은 것을 극본으로 각색하는 것.

액션(action)

무대 위에서의 연기자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말함. 액션 드라마라고 하면 대사보다 움직임이 많은 극을 말한다.

액자틀 무대(framed stage)

그리스극의 무대나 세익스피어 시대의 무대처럼 무대가 객석에 튀어나온 형태가 아니라 마치 그림의 액자틀처럼 무대가 막의 뒤로 물러나고 액자틀에 의하여 무대와 객석이 뚜렷이 구별되는 무대이다. 지금의 극장은 대개 이런 무대이다. 이 액자 틀을 프로시니엄 아아치라 한다.

에로큐션(etocution)

연기자가 대사를 말할 때의 전체적인 조화를 일컫는다.

에큐드(etude)

공부한다. 연습한다의 뜻으로 연극에셔는 연기자의 기초 훈련을 위한 여러 방법을 말한다.

에펙드 머쉰(effect machine)

무대?조명 기구의 하나로 배경에다 구름?눈?불꽃?폭포?파도 또는 환상적인 여러 빛깔과 형태를 비치는 기계이다. 환등기와 같은 구조지만 이것은 그림이 움직인다. 따라서 무대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다.

에프론스테이지(apron stage)

막앞이나 프로시니엄 아아치의 앞쪽으로 나온 무대. 연기자가 관객에 접근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에필로그(epilogue)

프롤로그에 대한 말로 연극이 끝난 다음 결론을 정리하기 위해 마련된 부분.

엑소더스(Exodos)

극이 끝날 무렵 희랍합창대가 합주단 밖으로 나갈 때 부르던 의식적인 고별의 노래이다.

엑스트라(Walking Lady, Walking Gentleman)

레퍼터리 극단에서 희극의 가벼운 역을 맡아 주역의 장식물 구실을 하는 남녀배우를 총칭하는 말이다.

연광판(panel snoot)

산광을 막기 위해 스포트라이트 전면에 부착시키는 여러 크기의 금속판.

연출

문학으로서의 희곡을 무대위에다 형상화시키기까지의 창조 과정 (연기?장치?조명?의상?소도구?음악 등)을 맡은 일을 말하고 그 일을 맡은 사람은 연출자, 그 일을 자세히 적은 대본을 연출 또는 연출 대장이라고 한다.

옆막

무대 좌우의 옆을 가리는 막.

5막 구조(Five Act Structure)

도입, 상승행위, 위기, 전략행위, 파국의 5단계로 나눌 수 있는 형태의 극을 말한다.

오페레타(operetta)

경가극(經歌劇). 본격적인 오페라보다 가볍고 자유스러워 음악에 대사까지 섞여 있는 형식을 말한다.

우화(parable)

비유담. 실질적인 예를 들어 추상적 원리를 보이기 위해 기획된 우화적 또는 우화극을 창작, 「제쉬앙의 선인 The Good Woman of Setzuan」에서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소외 개념을, 「코카서스의 백흑원 The Caucasian Chalk Circle」에서는 부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의 태도를 묘사하고 있다. 〔from GK = placing side by side, hence comparison〕

운문극(varse drama)

운문으로 된 극작품. 고대로부터 운문은 일상생활의 사소함에서 극의 행위를 탈피시키고 나아가 신비적이고 숭고한 경지로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생존의 사소한 일에 구애받지도 않아도 좋은 신?영웅?왕들은 고양된 언어로 말해야만 했다. 극에서 산문이 우세한 경우는 희극과 인물을 묘사하는 대사뿐이었다. 일례로 엘리자베스시대 비극 가운데 대부분 품위있는 구절이 무운시로 씌어진 반면 희극적 에피소드나 주요 비극적 인물들의 현실적 구절(배우들에게 하는 햄릿의 지시 등)만이 산문으로 씌어질 수 있었다. 자연주의가 발생하자 운문은 단순히 현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없다는 이유 하나로 급격히 무대에게 제거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세기의 신당 만주의 문학운동은 운문을 현대 연극에 재도입하였고 (1910년경의 호프만시탈?메테톨링크?로스탕, 1930년대 영국의 덩킨?엘리어트, 미국의 앤더슨 1940-1950년대의 프라이 등), 브레히트?오든?이셔우드 등 교훈적 극작가들은 그들의 사회적?윤리적 메시지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달키 위해 이를 사용했다. 운문의 사용은 현실로부터 행위를 이탈시킴으로써 이화효과를 가능케 했다. 그러나 운문극과 시극은 동의어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무대의」시가움직임, 조명, 상황, 대사 등의 결합으로 연출되는 반면, 운문극은 「무대위의」시이다. 버어스 드라마, 시극.

원고(Script)

배우들, 기술진 등의 사람들에게 분배된 극의 각본으로 이것을 보고 극이 무대 위에 상연된다.

음악 희극(Musicsical Comedy)

대화와 이야기로 엮어가는 동시에 음악, 노래, 춤이 함께 구성된 가벼운 오락물이다.

도형극장(arena theater)

1932년 미국 워싱턴대학 그렌퓨우즈 교수가 고대희랍의 극장 양식, 계단식 객선으로 둘러싸인 무대를 말한다.

웰메이드 플레이(well madde play)

교묘하게 만들어진 연극, 19세기의 중간쯤 이후, 연극이 기업화 되자 대중의 박수 갈채를 받는 연극이 요구되었다. 거기에 따라 교묘한 극작법으로 관객을 웃기고 즐겁게 하는 연극이 만들어진 것이다. 예술적 내용을 주로 하는 연극과 구별하여 이렇게 부른다.

의상(costume)

배우?무용수 등이 연기할 때에 입는 옷의 총칭, 고대 그리스의 희극?비극 배우들은 각각 독특한 의상을 착용, 아이스휠로스극에는 디오니소스 사제들이 입는 긴 옷을, 소포클레스?유보피데스 비극에는 고대 이오니아의 의상을 사용했다. 점차 관객이 알아보기 쉽게 등장인물마다 독특한 옷을 입고, 버스킨 구두를 신었다. 그러나 구 코미디와 신코미디의 의상은 서로 달라, 구 코미디의 배우는 심을 많이 넣고 옷을 입고, 남자 배우는 남근을 상징하는 빨간가죽을 달며, 새나 동물을 부리, 꼬리, 날개 모양의 장식품으로 표시한 반면, 신코미디의 배우는 평상복에 다양한 색으로 구별했다. 중세에 기적극과 미스터리극 등으로 연극이 부흥함에 따라 의상은 더욱 중요시되었다. 여러 풍자적 인물이 등장하는 도덕극에서는 정교한 의상을, 비 종교극에서는 역사적 요소를 다소 무시하고 당대의 유행 의상을 착용했다. 이후 바로크 연극에서는 역사적 요소와 시대 유행을 가미하여 사치스러운 의상을 안했고, 코메디안 델라르테 또한 독특한 의상을 만들어, 의상만 보고도 주요 등장인물을 즉각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의상이 공연에 영향을 크게 미친 것은 아니나, 18세기 초의 의상에는 환상적인 면이 많았다. 19세기말에 이르자 의상에도 역사적 요소를 가미해야 한다는 주장이 높아졌고 19세기초에는 의에 당시의 풍습을 나타내고자 했다. 1870년대 삭세 마이닝겐 공작 이후 역사극에 연대기적 정확성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곧 독특한 정형성을 띠고 있는 상징주의와 표현주의가 연주에 도입되자 다시 융통성을 가지게 되었다. 현대에는 의상 디자인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익스피어극의 공연에 엘리자베스시대 의상에 상징주의적 장치, 의상, 배경 등을 쓸 수 있다. 브레히트는 배우의 옷은 새것이거나 깨끗이 세탁되어 있기보다는 지저분하고 자연스레 낡은 듯이 보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 「사실적」의상을 주장하였다.

의상희곡(Costume Drama)

현재보다 특정 시기를 잡아 연출되는 극으로 다방면에 걸쳐 전통적인 의상이 요구된다.

이동 극단

제2차 대전 중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연극 활동의 한 형식. 극단이 지방을 순회하면서 공연하는 것으로 공장?학교 등을 무대로 계몽?선전?위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 무대(sliding-stage)

다음 장면의 장치를 무대 양쪽 포켓에 미리 설치해 두었다가 밀어내서 장면 전화하는 것을 말한다. 전환이 빨리 되는 이점이 있다.

인토네이션(intonation)

음조, 대사의 억양 즉, 말의 오르고 내리는 것을 말한다. 연기자가 대사를 제대로 하려면 이것에 주의해야 한다.

인형극(pupel theatre)

광의로는 살아있는 배우를 기용하지 않는 몇몇 형태의 극을 말하며, 그림자극, 장난감극, 자동인형을 조작하는 인형의 본질에 따라 3가지 주요형대로 구분한다.

① 사인형극

인형의 사지에 실을 연결하여 조종하는 것으로, 장갑인형 glove puppets과 이탈리아의 미리오네트가 그 예다.

② 지인형극

손가락을 인형의 목에 놓고 막 위로 나타내어 조종하는 것으로, 프랑스의 기놀이 그 예다.

③ 그림자인형극

그림자극, 즉 인형의 형상을 영등에 비춰 극을 진행하는 것으로 영화의 원시형태라 하겠다.

일회용 배경(Full Scenery)

공연도중 일부분만을 장면 수정하면 되는 항구적인 배경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만든 부분의 매 장면마다 완전히 바뀌게 되는 배경장치를 의미한다.

장(Scene)

"무대" 또는 극을 막과 장으로 구분할 때 한 부분을 가리키는 부대용어, 보통등장인물들의 등?퇴장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므로, 각 장면은 등장인물 중의 하나가 퇴장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할 때까지 무대에 남아 있는 인물들간의 행동을 뜻한다. 이로써 무대 위에는 다양한 인물 군이 형성되는데, 장면을 한 인물의 독백장면, 2?3명이 또는 다수의 앙상블장면, 군중장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무대장치가 자주 바뀌는 극의 경우, 이 용어는 상이한 장식물, 무대장치를 요하는 막의 각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극의 행동을 각 장면마다 분류?연속하여 요약?기록한 것을 시나리오라 한다.

장르(Genre)

소설, 시 희곡처럼 문학적인 유형을 표시하는 프랑스어이다.

저급희극(Loy Comedy)

지적인 희극과 대조적으로 저급한 희극은 인물과 대화보다는 허풍선이 놀음과 여러 가지 희극적 수법을 써서 마음껏 웃게 만드는 극이다.

전환(Return)

5막극의 구조를 논할 때 '전락행위'와 비슷한 말이다.

전환점(Turning Point)

극의 구조를 논할 때 행위가 최고봉을 이루었음을 뜻하며, "위기"와 같은 말이다.

절정(Climax)

하나의 극작물에서 관객의 흥미가 최고점에 달하는 순간을 의미한다.

제 4의 벽

무대극에 있어 프로시니엄아아치로 에워싸인 무대를 가리키는 말, 현대극에서는 이 제4의 벽을 무시하는 연극이 빈번히 시도되고 있다.

젖힐막

한가운데서부터 갈라져 좌우로 올라가 열리는 막.

조립식 장치(buailt stuff)

둑?연단?기둥?완성된 장치 등 입체적 모형을 사용하여 제작한 장치물, 왕이 앉는 작은 덧 마루로부터 계단이나 경사대를 이용해야 하는 높이 8비트의 덧 마루가지 다양하다. 이 위에 여가가지 조그만 소품이나 천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방을 꾸밀 수 있다.

조명(stage lighting)

무대 효과, 촬영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선을 사용하는 일, 또는 그 광선, 16세기 이후 옥외에서 하던 공연을 실내로 옮기면서부터 인위적인 무대 조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9세기말까지는 일반적으로 샹델리에, 촛대에 꽂은 촛불, 석유램프, 배경막 조명, 윙 뒤에서 하는 조명등을 사용했고, 촛불이나 석유 램프를 보강하기 위해 거울을 사용했으며, 특수효과를 위해서는 금속반사경을 이용한 횃불을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빛의 강도를 조정할 때 실크 리본이나 이동 가능한 실린더를 사용했으나, 조명효과가 크지 못했다. 개안된 최초의 조명기구는 개스라이트로, 런던의 극장 홀이나 강당의 입구에서 사용되다가, 1981년 이후에는 연극무대에도 사용되기 시작, 리세움 극장에서 최초로 사용했다. 이의 장점은 강한 빛과 빛 조절이 용이하다는 점이며, 단점은 커다란 불길이었다.

무대조명에 개스가 사용되던 1820~1880년에는 그 이전의 어느 시기보다 많은 극장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에디슨의 전기를 이용한 전구가 발명되자 전기를 이용한 무대조명을 시도, 1880년말까지 대부분의 큰 극장들은 전기조명 시설을 갖추었으며, 오늘날의 극장들은 자동조절이 가능하고 전기를 이용한 매우 다양한 조명기구들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조연배우

개성이나 용모, 행동이 두드러지지 않는 역할을 맡은 배우를 말한다.

중간막

캔바스나 모슬린 등으로 제작한 장치부품, 아래위는 버튼으로 고정한다. 비행공간에 매달아 두고 필요할 때 내려뜨려 사용한다. 원근법에 따라 채식하거나 하늘색으로 칠한다. 이전에는 중간막 앞에서 연기를 하게끔 되어 있었으나, 오늘날의 중간막은 거의 배경으로 사용되므로, 여기에 경치를 그리는 것이 보통이다. 장문, 발코니 등을 통하여 보이는 경치로 사용하기도 한다.

즉흥극

미리 정해진 행동, 텍스트, 대화를 포함하지 않은 연극(→즉흥연기), 코메디이델라르테의 배우들은 고정적인 행동 골격, 즉 칸바( 대강의 줄거리)에 기초하여 기본적인 고정인물, 전통적인 대사를 변형해 가면서 즉흥적으로 연기하였다. 이때 자신의 개성과 당시의 상황에 맞추어 단어를 적절히 선택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텍스트나 연기 양식을 창조하는 대신에 현존의 양식을 변형하였다. 희극적 인물 아를레키노(능동적 연기자)는 관객에서 직접 얘기하고, 자연적인 시사 문제에 반응을 보여야만 했다. 이와 같은 즉흥적의 요소는 이미 중제의 민속극에서 보이며, 이후의 유럽 민속극(지역별 파르스, 방연극, 풍자적 희극 등) 에서도 발견된다. 배우 훈련의 일부로 행해지기도 하며, 관찰 훈련과 개인적인 표현법의 탐구라는 2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예로 스타니슬라브스키의 방법은 "대본이 없는 장면" 의 연기로 구성된다. 이는 배우의 상상적인 통찰이 하나의 성격으로 표출되는 것을 고무하기 때문이다. 매더드의 대표작들은 전체가 즉흥적으로 연기되는 연극공연이니 쇼를 제작하기 위해서 없는 시도를 하였다. 연극 워크숍에서 집단 단위의 즉흥극은 매우 중요하며 리빙디어터, 라 마마 등 전위극단의 배우들과 극작가들이 공동으로 작업하는 오프오프 브로드웨이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임프로비세이션 [Lat improvisus = unforeseen]

즉흥연기

원고나 메모에 의존하지 않는 대사, 대중적인 경희극에서 「즉석에서 연기한다는 것」은 희극적인 우연성의 묘미를 살리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이것은 오늘날에도 따로 사용하고 있다. 코메디아 델라르데의 희극 부분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지문(Stage Directions)

저자가 어떻게 작품이 공연되기를 바라는지 대충 설명해 놓은 글을 말한다.

지적인 희극(High Comedy)

신체적인 행동에서보다는 인물, 구성, 언어 및 풍자를 통해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는 희극이다. 이런 희극은 주로 지성에 호소하며 궁극적으로 심각한 목적을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

창극

우리 나라의 경우, 판소리를 연극의 형태에 맞추어 연기와 함께 창을 들려주는 극. 춘향전, 심청전 등

촌극(charade)

하나의 짤막한 에피소드만으로 구성된 10분 내외의 짧은 극. 셔레이드.

카스륨 플레이(costume-play)

의상극(衣裳劇). 시대적인 분장이나 의상이 특히 눈에 띄는 극을 가리키나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이 따르지 못하는 연극을 비난할 때도 있다.

카타르시스(katharsis)

배설(排泄)을 뜻하는 의학용어에서 전환된 말로 감정의 정화작용(淨化作用).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詩學)' 가운데서 비극의 효과로서 말했다.

카타스타시스(Catastasis)

희랍말로 막극의 위기나 구조상 행위가 절정에 다다른 순간을 가리킨다.

캐스트(cast)

연기자의 배역, 이스 캐스트라고 하면 명연기자가 많이 출연하는 배역을 말한다.

코레태(Choreutae)

희랍 비극 합창단 단원.

코러스(Chorue)

① 희랍극에서 12명의 남녀가 주요행위에 대해 설명을 부연해 주었는데 나중에 15명의 혼성집단으로 증가되었다. ② 현대 뮤지컬 공연에서는 공연에 출연한 무용수들과 가수들의 무리를 가리킨다.

코리거스(Choregus)

희랍말로 합창대의 후견인을 가리킨다. 이 사람은 합창대에게 방과 식사와 연습장소를 제공한다.

코모스(Kommos)

희랍극에서 합창단과 주연배우가 주고받는 서정적인 노래이다. 비극에서는 막간 희극으로 많이 대치된다.

코메디 프랑세즈(la Comedie Fracasisc)

프랑스의 국립극장. 오페라 좌( )나 코믹 오페라에 대한 연극 전문 극장.

쿠메디아 델아르테(Comedia detlarte)

고대 희극의 형식과 내용을 본딴 본격적인 희극. 1520년 경부터 이태리에서 일어났다.

콤뮤니티 디어티(community theater)

시민극장, 공공극장이라고 한다. 20세기에 들어서 미국에서 성행하고 있으며 소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직업적 극단을 말한다. 따라서 그 재정 및 운영도 일반 시민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다.

클라이막스(climax)

극의 정점(頂點), 사건이나 정서가 최고도로 앙등되어 관객을 크게 긴장시키는 부분.

텍스트 레지(texte regie)

연극 연출에 있어서 극본(劇本)을 연출가가 상연에 알맞게 수정 또는 가필하는 일.

템포(Tempo)

연극상 소모되는 소요시간.

통속감상극(Melodrama)

비극에서처럼 긴장감도 없으며 희극에서 볼 수 있는 면도 결여된 심각한 극을 의미한다. 이 말은 원래 음악이 곁들인 희곡을 뜻했으나 지금은 미덕의 승리를 강조하는 19세기의 극을 평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파국(Catastrophe)

4막극 및 5막극의 구조에서 최종적인 사건이나 결말. 일반적으로 비극에서는 최후의 사건으로(죽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판토마임(Pantomime)

무언극, 묵극(?劇), 말이 전혀 없이 행해지는 연극을 뜻한다. 또한 이런 부류의 연기를 하는 행동을 가리키기도 한다.

패전트(pageant)

야외극(野外劇)

페이드아웃(fade out)

F?O의 약어로도 쓴다. 용암(溶暗), 무대가 차츰 어두워지는 것.

페이드 인(fade in)

F?I의 용어로도 쓴다. 용명(溶明). F?O의 반대로 무대가 차츰 밝아지는 것.

포켓(packet)

무대 좌우에 있는 공간. 여기에다 장치를 대기시킨다. 우리말로는 품이지만 잘 안 쓴다.

표현파 연극

1차대전 후 독일에서 일어났던 예술 사조에 입각한 연극의 한 유파.

풍속극(comedy of manners)

모리엘에서 시작되어 영국에서 꽃을 피운 연극의 한 분야. 상류 사회의 풍속을 풍자하며 기지와 유모어가 풍부한 대사를 특징으로 한다.

프로시니엄(proscenium)

무대전면, 막과 객석의 사이, 그 경계에서 액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프로시니엄아아치라고 한다.

프롤로오그(prologue)

에필로오그에 대한 말로 연극이 맨 처음 시작할 때 내용을 단적으로 암시나 상징하기 위해 마련된 부분.

프롬프터(prompter)

연극 연습도중이나 상연 중 배우에게 대사를 튕겨주는 사람.

프리랜서(free lancer)

특정 회사나 극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배우나 기술자

프롤로그(Prologue)

문자적 의미는 '사전연설'이다. 극의 행위가 도입되기 전에 한 사람의 배우가 전하는 말이다.

프롬프터(Prompter)

공연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대의 날개 쪽에 자리잡고, 배우들이 잊어버린 대사를 알려주는 사람이다.

플롯(Plot)

극작가가 극의 얘기가 나오는 사건들을 시간적 전후 관계 뿐만 아니라 인과응보에 맞추어 배열한 것이다.

필(Pit)

전통적인 극장의 객석에서 땅바닥, 즉 무대 바로 앞을 의미한다.

하수

객석에서 무대를 향하는 왼쪽.

허브리스(Hubris)

비극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과대한 자신감을 가리켜 아리스토텔레서가 명명한 희랍어 낱말이다. 이런 지나친 자신감으로 인해 주인공은 운명이나 복수의 신의 손아귀에 잡혀 파국을 맞게 된다.

허풍선이 막대기키기(Slapstim)

웃음을 야기 시키기 위해서 넘어지거나 얼굴을 평면으로 치기도 하고 갑자기 모습을 드러내는 등 신체적 마찰을 일으키는 희극적 수법이다.

화광등(Limelight)

칼슘을 태워서 내는 환한 조명으로 19세기에 무대조명과 특히 집주광선으로 사용되었다. 이제는 의식적으로 관객의 주의를 집중시키고자 하는 부분을 비추는데 사용되고 있다.

해설자(narrator)

극의 사건이나 인물에 관하여 관객에게 직접 서술하는 자.

호리존트(horizont)

무대 배경에 하늘의 구실을 하는 공간.l 1869년 독일에서 발명되었다.

홈 드라마(home drama)

가정극(家庭劇). 일상적인 사건을 통해서 인간미 심리나 애환을 그리려는 극.

예비맘 알아둬야할 부분

... 필수로 알아두면 좋은 정보 같은게 뭐가 있을까요? 임신 초기에는 유산 위험성이... 방문하는 좋습니다 또한, 갑작스럽게 질 출혈이 많아지거나 하복부 통증이 심해지면...

알아두면 좋은 요즘 신조어들이 뭐가...

단어와 뜻 같이 많이 알려주시면 감사드려요 직찍-디지털 카메라로 직접 찍어 인터넷 등에 게재한 사진 스샷-컴퓨터 화면을 그림파일로 저장한 것 돌싱스타-돌아온 싱글...

해군 가는데, 알아두면 좋을 지식들좀..

... 해군에 가는 사람으로써 알아두면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예비역님들도^^ 알려주세요.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충고, 조언 등등..ㅠ 제가 진짜 군대에 대해선 아무것도 몰라요.....

아이돌 덕질 알아두면 좋은 꿀팁 많이많이

... 제가 아이돌을 덕질 해본게 처음이여서 그 기본용어들... 팬이라면 알아두면 좋을 꿀팁 이라든가용. 공식적인 팬... 그래도 일반예매 때 잡아서 가면 되는거지만 좋은 자리를...

예비 대학생이 알아두면 좋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12기 박가을입니다! 저도... 저는 학교 다니는 동안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지 못했던 큰 아쉬움으로 남아 있어요...

처음다녀보려는데 먼저 알아두면 좋은

... 혹시 먼저 알아두면 좋은게 있으면 알려주실 수 있나요?... 일하시는 정말 많이 도움이 되실꺼예요. 그런... 그냥 그대로 가면 됩니다 ㅋㅋㅋ 커피용어 정도는 알고 계시는...

일이나 해두면 좋은일이 뭐가 있을까요?

... 그밖에 또 해두면 좋을 일이 뭐가 있을 까요? (해두면... 있고 용어도 원서이기에..;;; 기본적인 토익 공부라도 해... x^4을 미분하면 4x^3이 왜 나오는지만 알아도. 아니 공식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