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구성요소 ?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구성요소 ?

작성일 2005.02.0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운율, 이미지, 시상의짜임, 화자의태도, 주제, 구성단계별스토리전개과정,

인물의유형, 배경, 문체적특징, 시점과어조
다는 아니더라도 아는것만 제발좀 알려주세요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요점 정리해드릴께요^^

 

 

작자 : 최남선(崔南善;1890 - 1957)

연대 : 1908년

형식 : 정형시와 자유시의 과도기적 형태인 신체시이다.총 6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각 연은 일정하게 7행으로 구성된다.

성격 : 계몽적

표현 : 의성법. 직유법. 반복법

제재 : 바다와 소년

구성 : 전 6연 각 7행

 

1연 바다의 위력 - 모든 것을 부수고 무너뜨림

 

2연 바다의 위엄 - 어떤 것도 두려워하지 않음

 

3연 바다의 기개 - 모든 것을 굴복시킬 수 있음

 

4연 바다의 호통 - 개화에 부정적인 자에 대한 비판

 

5연 바다의 속성 - 하늘과 같이 맑고 깨끗함

 

6연 바다의 소년 - 바다는 담 크고 순정한 소년을 좋아함

 

① 시행 하나 하나는 자유로와 한 연만을 본다면 자유시 형태에 가깝다.

 

② 각 장의 의미 구조 및 형식 구조가 동일하여 창가적 구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

 

③ 일정한 의성어 반복되는 것도 창가적(唱歌的) 구성에서 탈피하지 한 증거이다.

 

④ 관념이 정서로 승화하지 못하고 생경하게 노출되어 시의 맛을 살리지 못하였다.

 

⑤ 창가 가사와 근대시와의 과도기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주제 : 새로운 문물의 도래와 소년의 시대적 각성 및 개화 실현의 의지

 

의의 : 우리 문학사에서 최초의 신체시로 평가된다. 밀려드는 서구 문물과 새로운 세대에 의한 그 수용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담고 있다.

 

출전 : 소년(少年)창간호(1908년 11월)

 

어휘와 구절

 

 

 

해(海)에게서 : 바다가. 바다에게서.

 

바다의 의미 : 바다는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이며, 무한한 가능성과 도전의 영역이라는 의미를 중심으로 해석할 수 있다.

 

텨……ㄹ썩, 텨……ㄹ썩, 텨ㄱ, 튜르릉, 콱. : 물결치는 소리를 시늉한 의성어.

 

문허 바린다 : 무너뜨린다.

 

태산(泰山) : 중국의 오악(五嶽) 중의 동악. 여기서는 높고 큰 산을 뜻함.

 

딥태 : 집채.

 

육상(陸上) : 지상(地上). 땅 위.

 

권(權) : 권세.

 

꼼짝 : 꼼짝.

 

뎔하디 : 절하지. 굴복하지.

 

통긔(通奇) : 통지. 통기(通寄). 기별하여 알림.

 

진시황(秦始皇) : 중국 전국 시대의 여러 나라를 정복한 진나라 첫 황제.

 

나팔륜(拿破崙):프랑스 나폴레옹(Napoleon)황제.한자의 가차식(假借式)표기.

 

겨르 리 : 겨를 이

 

잇건 : 있거든. 있으면

 

 

됴고만 : 조그만한.

 

산모 : 산모퉁이.

 

뎍은 : 적은.

 

땅을 : 땅을.

 

잇서서 : 있어서.

 

영악한(獰惡一) : 악착스럽고 모진.

 

짝될 : 짝이 될.

 

한아 : 하나.

 

널으게 : 넓게.

 

틀님이 : 틀림이. 다름이.

 

시비(是非) : 옳고 그름.

 

됴 따위 : 저 따위.

 

사람텨럼 : 사람처럼.

 

담(膽) : 담력. 겁이 없고 용감한 기운.

 

순정한(純情一) : 순진한. 자연 그대로의 것이거나 꾸밈이 없는. 인정이 있는.

 

소년배(少年輩) : 소년의 무리들.

 

재롱(才弄) : 재주를 부리고 아양을 떰.

 

입마텨 : 입 맞춰.

 

듀마 : 주마. 주노라.

 

텨……ㄹ썩, 텨……ㄹ썩, 텨ㄱ, 쏴……아. : 소년의 씩씩한 기개를 의성어로 상징한 것.곧 구시대의 잔재를 타파하고 새로운 개화 사상을 갈망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태산 갓흔 ~ 바위ㅅ돌이나 : 개화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뜻한다. 직유법, 대구법, 상징법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 아무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바다의 기상, 곧 소년의 기상을 나타낸다.

 

 

내게는 아모 것 두려움 업서. : 바다가 한 말을 직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바다가 지닌 기개를 노래한 것이다.

 

 

됴ㅅ쌀 갓흔 뎍은 섬, 손ㅅ벽만한 땅을 가디고, : 교만한 자에게 보이는 소년의 씩씩한 기개를 나타낸 것이다. 개화에 거리끼는 모든 것을 좁쌀,손바닥으로 무시하고 있다. 직유법, 대구법.

 

 

뎍은 시비(是非), 뎍은 쌈, 온갓 모든 더러운 것 업도다. : 소년의, 푸른 하늘 같은 깨끗한 기개를 나타낸 말로서,오직 푸른 하늘 같은 깨끗함을 사랑함을 나타냈다.

 

 

담 크고 순정한 소년배들이 ~ 소년배(少年輩). 입맛텨 듀마 : 바다는 담 크고, 순진한 소년의 품임을 나타낸 것이다. 바다는 순진한 담 큰 소년들만을 사랑한다.바다를 의인화한 의인법. '바다'가 사람과 같이 의지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으로 표현하는 것이고, 바다와 소년이 지니는 공통점으로 담 크고 순정하다는 점을 들어 대응시키고 있다. 구시대를 개혁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데 소년을 주인공으로 삼자는 작자 의식을 드러낸 부분이다. 새 시대의 주역이 될 소년들에게 입맞춰 준다는 것은 시대적 요청인 '문명 개화'를 뜻한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1908년 11월에 창간된 우리 나라 최초의 종합 잡지인 창간호에 실린 개화기 신체시의 대표작이다. 세계열강의 이권 각축장이었던 혼란의 개화기 조선에서 문학으로 민중을 교육시킨다는 최남선의 계몽주의적 문학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시이다.

각 연 7행으로 이루어진 6연 시인 이 시는 `바다'와 `소년'이라는 상징적 두 제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텨… ㄹ썩, 텨… ㄹ썩', `텨ㄱ, 튜르릉, 콱' 등의 대담한 의성어와 감각적 심상을 도입하고 있으며, `따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등의 점층적 표현과 함께 다양한 수사법이 사용되어 기존의 창가나 계몽 가사류와는 다른 `신체시'로 명명되었다.

1연에서 5연까지는 바다의 절대적 힘과 위력을 청각적으로 변주시켜 온갖 권력과 위인과 허위와 `시비(是非)'와 싸움으로 가득찬 세상을 호령하는 바다의 힘찬 기상과 파도소리를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바다는 세상 사람들 모두를 미워하나 그 중 하나 `담크고 순정한' `소년'들을 사랑하니, 소년들이 바다로 와서 자신의 장대한 기상을 배우라고 6연에서는 말하고 있다. `바다'는 나 혼자 거룩하다고 하는 자와 `적은 시비'와 `적은 싸움'으로 자신만의 이익을 생각하는 세상을 비판한다. 여기서 독자들은, 혼자가 아닌 `우리'라는 집단 공동체의 앞날을 걱정하며, `우리'의 앞날을 책임질 `소년배(少年輩)'에 애정과 기대를 쏟는 최남선의 소망을 알 수 있으며 그의 교훈적이며 관념적인 공리주의적 세계관도 엿볼 수 있다.

최남선이 백성을 계몽시키기 위해 문학을 한다는 계몽주의적 목적의식적 문학관으로 일관한 것은 근대적 자아의식의 결여와 미의식의 결함이라는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지만, 새로운 시가 형식과 강건한 남성적 어조로 민족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시화한 것은 근대시로의 출발점으로서 시사(詩史)적 의의가 있다. [해설: 이상숙]

 

 

참고 자료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의 "바다"의 의미

 

이 시에서 바다는 의인화되어 있고, 그 의인화된 바다가 화자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바다는 사물로서의 그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 바다의 속성은 단지 두 가지로만 되어 있다. 하나는 힘이 세다는 것, 다른 하나는 순결성이다. 달리 말해 순결성과 위력을 가진 인격체로 바다를 파악하고 있을 따름이다. 지극히 센 힘과 지극히 순결한 바다라는 인격체가 오직 사랑하는 것은 '소년배'뿐이다. 담 크고 순정한 소년배와 힘세고 순결한 인격체(바다)는 이에 완전히 대응되고 있다.

 

이 도식에서 우리는 대번에 계몽주의자 육당의 의도를 읽어낼 수 있다. 그것은 힘과 순결성만으로 집약된다. 그리고 그 밑바닥에는 계몽주의적 낙관주의가 너무 짙게 노출되어 있다. 소년과 바다의 대응은 화해 관계에 놓여 있다. - 김윤식, '한국 근대 작가 논고'에서-

 

최남선의 문학사적 업적

 

①최초의 종합잡지인 1908을 창간하고, 최초의 신체시(1908)를 발표하였다.

 

②고대소설을 정리(整理)하고 출간(出刊)하였다[육전소설(六錢小說) 등을 간행].

 

③, , 등 발간.

 

 

④신문장(新文章) 운동을 벌였고, '우리말 큰사전'을 만들기 위해 주시경(周時經)에게 한글 어휘를 수집하게 하였다.

 

⑤우리의 고전을 간행하고, 국사의 대중화에 노력하였다.

 

⑥시조 부흥 운동에 참여하여 최초의 현대 시조집를 간행하였다.

 

⑦'심춘 순례', '금강예찬', '백두산 근참기'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기행문을 썼고, 진흥왕 순수비와 같은 국학 관계 사료(史料)를 발견하였다.

 

 

 

 

 

----------------

 

이것저것 다올려봤습니다.^^ 그런데 수능준비하는 학생인가요??

참고로 이 시는 안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이유는 최남선이 일제시기 말에 친일파로

전향하거든요^^;; 아무래도 국가고시에서 그런 작품은 안다루죠.. 그리고

해에게서 소년에게

옳바르게 고치면

해가 소년에게 죠.. 여러무로 수능에서는 안나올꺼같은 작품..^^;;

 

좋은하루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해에게서 소년에게 - 최남선('소년'창간호 1908.11)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슨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 같은 높은 뫼에 짚채같은 바위돌이나
요것이 무어냐,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 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모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디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텨……ㄹ썩, 텩, 튜르릉,콱.



처……ㄹ썩,텨……ㄹ썩,텩,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

지금까지 있거든 통기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 나파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의 역시(亦是) 내게는 굽히도다,
나하고 겨를 이 있건 오너랴
쳐……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쳐……ㄹ썩, 텨……ㄹ썩, 척, 쏴……아.
조그만 산모를 의지하거나
좁쌀 같은 작은 섬, 손뼉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리면서 나 혼자 거룩하다 하는 자,

이리 좀 오너라, 나를 보아라

쳐……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의 짝 될 이는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넓게 뒤덮은 바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작은 시비, 작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조 따위 세상에 조 사람처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저 세상(世上) 저 사람 모다 미우나,
그 중(中)에서 똑 하나 사랑하는 일이 있으니

담(膽) 크고 순정(純情)한 소년배(少年輩)들이
재롱(才弄)처럼, 귀(貴)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나라, 소년배(少年輩), 입맞춰 주마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 나팔륜 : 나폴레옹







▶ 갈래 : 신체시(정형시와 자유시의 과도기적 형태인 신체시)

▶ 성격 : 계몽적
▶ 제재 : 바다(새로운 문물)
▶ 구성 : 전 6연(각연 7행)
. 기(1-2연)
- 제1연 : 바다의 위용과 위력
- 제2연 : 육상의 모든 것을 제압하는 바다의 위력
. 승(3-4연)
- 제3연 : 아무리 위대한 인간들도 겨룰 수 없는 바다의 위력
- 제4연 : 영악한 척, 거룩한 척하는 자들에 대한 조소와 야유
. 전(제5연) : 바다와 짝이 될만한 것은 오직 하늘밖에 없음
. 결(제6연) : 소년의 바다에 대한 애정과 기대 (주제연)
▶ 주제 :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기대
▶ 의의 : 우리 문학사에서 최초의 신체시

▶ 관련시 : Byron의 장편시 '소년 해롤드의 순례(Child Harold's Pilgrimage)'의 마지막 부분의 일본어 번역을 참조한 일종의 번안시라는 견해도 있다.
▶ 율격과 형식
전 6연으로 되어 있는 이 시는 각 연이 규칙적으로 7행이다. 그리고 각 연이 정형적인 율격에서는 벗어나 있으나, 매 연마다 동일한 패턴의 율격이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단순한 느낌을 준다. 즉, '텨……ㄹ썩, 텨……ㄹ썩, 텩, 쏴……아' 와 같이 각 연의 1행과 7행에는 같은 의성어가 앞뒤로 반복되고 있고, 3.3.5 내지 4.3.4.5 등의 음수율이 배치되어 정형적인 형태를 취한 것은 '창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징표이다.
또, 이 시는 담화체 형

식을 취해 주제 전달의 효과가 강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대화체로 인해 시적인 긴장을 잃어 산문적으로 확산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작품 통석
(제1연)
때린다, 부순다, 무너뜨려 버린다. 태산같은 높은 산, 집채 같은 바위라 할지라도, 요것이 무어냐 요게 무어냐(하면서) 나의 큰 힘을 아느냐 모르느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뜨려 버린다.
(제2연)
내게는 아무 것도 두려울 것 없다. 육상에서 아무리 힘과 권세를 부리던 자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한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서는
(제3연)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 지금까지

없었거늘 (만약 있었다면) 기별하고 나와 보아라. 진시황, 나폴레옹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 내게는 굽히는도다. 나하고 겨룰 이가 있거든 나와 보아라.
(제4연)
조그만 산모퉁이를 의지하거나 좁쌀 같은 작은 섬, 손바닥만한 땅을 가지고 그 속에 있으면서 영악한 태를 부리면서, 나 혼자 거룩하다고 하는 자들아, 이리 좀 오너라 나를 보아라.
(제5연)
나의 짝이 될 것은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넓게 뒤덮은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작은 시비, 작은 싸움,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저 따위 세상의 사람들처럼.
(제6연)
저 세상 저 사람들 모두 미우나 그 중에서 꼭 하나 사랑하는 일이 있으니, 담 크고 순진한 소년들이 재롱처럼 귀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기는 일이다. 오너라 소년들아 입맞춰 주마.

인터넷 검색하니 잘 조사가 되어 있더군요.

출처 참고하세요 그럼.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구성요소 ?

운율, 이미지, 시상의짜임, 화자의태도, 주제, 구성단계별... 요점 정리해드릴께요^^ 작자 : 최남선(崔南善;1890 - 1957)... [해설: 이상숙] 참고 자료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의 "바다...

해에게서 소년에게』라는 최남선 시의...

... ^-^ ♣ 작가 소개 및 작품 경향 최남선(1890∼1957) 호는... ▲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신체시 성격 계몽적 구성 전6연... 이유는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전체적 형식은 산문인 것...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어떤 내용 인가요?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원본(?)과... ♣ 작가 소개 및 작품 경향 최남선(1890∼1957) 호는 육당.... ▲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신체시 성격 계몽적 구성 전6연...

이 시들의 원문(내용) 좀 써주세요....

...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2. 주요한 '불놀이' 3....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텨… ㄹ썩, 텨… ㄹ썩', `텨ㄱ... 이 작품에는 일련의 대립적 요소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일제강점기에 우리 문학의 특징을 시대...

... 신체시 :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1908) 최초의... 치밀한 구성과 객관적 묘사, 인상적인 결말 처리 (4) 사회... 지성적인 면, 시각적 요소 강조, 비판적 적극성 주장...

시와 명언

... 삭주구성 산유화 엄마야 누나야 접동새 진달래꽃 초혼... 가난은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두석 노래와 이야기... -죠셉 슈베르 성공에 중요한 요소는 지식과 창조력이다....

1900~1950년대까지 소설 알려주세요...

... ▷육당 최남선-17세때 편집인겸 사장. <소년><청춘>지에 매호 자신의 작품발표. ·「해에게서 소년에게」-제일... 신소설의 요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중간형태의 표본...

1910년부터 1940년까지 시, 소설...

... ㄷ.진행 구성이 해부적이고 입체적인 구성법 ㄹ.... ② 2인 문단시대(최남선, 이광수): 계몽적 이상주의 ③... 작품 (해에게서 소년에게, 신대한 소년, 구작삼편) - 율격의...

중3국어)현대문학의 흐름

... 민요적 요소를 가미해서 음악적 요건을 강화함 (2)... (1)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1908) / 새로운 문물의... (4) 구성: 작품을 총체적 관점에서 조명하여 역전적 구성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