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시집(광야,청포도,꽃,절정) 풀이좀 부탁드립니다

이육사시집(광야,청포도,꽃,절정) 풀이좀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09.04.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광야,절정,꽃,청포도는 이육사의 시 인데요

 

이 시 내용과 풀이좀해주세요..

 

그니까 뭐 심상이라던가 뭐 특징(비유하기,변화주기,강조하기)이런것 등과

 

꼭해주실것은 광복에 관련된 단어랑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단어는 꼭 찾아주세요 ..

 

쓰잘때기없는말 신고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좋은 답변이 됐길 기대합니다. 답변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광 야

이 육 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시구연구

♣ 광야 ; 우리 역사의 현장이자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

♣ 까마득한 날 ; 태초의 시간

♣ 하늘이 처음 열리고 : 천지개벽

♣ 닭우는 소리 ; 인간과 생명의 탄생

♣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 활유법을 통해 산맥이 형성되는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

♣ 이곳 :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인 광야

♣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 광야의 신성성, 불가침성

♣ 강물 : 인간의 역사와 문명의 흐름

♣ 눈 : 일제 강점하의 시련과 고난

♣ 매화향기 ; 조국광복에의 희망과 의지. 현실을 극복하려는 지사적 열정

♣ 가난한 노래의 씨 : 조국 광복을 위한 자기희생의 이미지

♣ 천고의 뒤 : 먼 미래

♣ 백마를 타고 오는 초인 ; 조국 광복을 가져올 민족의 지도자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에 드러난 표현법은 무엇인가?

▶ 의인법, 활유법

 

♣ 이 시에 쓰인 다음 시어 중, 밑줄 친 '눈'과 대립적 이미지를 지닌 것은?

▶ 매화 향기

 

♣ 이 시에 쓰인 시어의 상징의미.

광음(光陰) : ▶ 세월, 시간

광야(曠野) : ▶ 역사의 터전

부지런한 계절(季節)이 피여선 지고 : ▶ 끊임없이 흘러온 시간

강물 : ▶ 역사, 문명의 시각적 표현

노래의 씨 : ▶ 자기 희생을 통한 미래를 위한 준비

초인(超人) : ▶ 희망적인 미래를 이룰 위대한


   핵심정리

어조: 웅장하고 강건한 남성적 어조     

구성: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시상 전개

   광야의 원시성(1연)

   광야의 신성성(2연)

   역사의 태동(과거, 3연)

   조국 광복에 대한 염원(현재, 4연)

   미래에 대한 의지와 확신(미래, 5연)

주제: 조국 광복에의 신념과 의지

        꿈을 실현하려는 결연한 의지

 

   감상포인트

▶ 내용 : 광막한 공간과 아득한 시간을 배경으로 강인한 지사적 의지를 노래한 작품. 혹독한 현실적 상황과 대비되는 시인의 비장하고도 의연한 결의가 이 시를 가치있어 함

▶ 화자는 아무도 없는 광야, 더욱이 눈 덮인 겨울의 광야에 서서 무한한 과거의 시간과 먼 미래의 시간을 내다 봄 ---- 고독하면서도, 강인한 의지를 곧게 세우도록 촉구(매화 향기를 통해 암시됨)

▶ 이 시가 지향하는 것 : 창조와 구제의 기원

  

참고 1

육사 시의 저항성

이육사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극복하려 했던 대표적인 저항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항시로서  그의 시는 무엇보다도 투철한 현실 인식과 강한 신념에서 비롯된다. 즉, 시간적으로는 아득한 천고와 미래의 사이, 공간적으로는 만물이 눈에 덮인 광야에 홀로 서 있는 극한 상황에서, 그를 구제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장엄한 미래에 대한 기대뿐이다. 이러한 극명한 현실인식과 조국 역사의 미래에 대한 신념이 있었기에 자기 희생이 가능하였고, 저항적·지시적 결의가 가능하였던 것이다. '광야'에 드러난 강렬하고도 남성적인 시어들은 바로 이러한 주제 의식을 형상화 하기 위한 시인의 의도를 담고 있다.

 

   참고 2

육사 시의 문학사적 의의

육사 시가 갖는 우리 문학사, 특히 시사적 의미는 다음 몇 가지로 지적할 수 있다. 첫째, 1930년대 전반을 풍미하던 모더니즘의 비인간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둘째, 고전적인 선비 의식과 한시의 영향으로 전통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셋째, 한국시에 남성적이고 대륙적인 입김을 불어넣었다.  넷째, 죽음을 초월한 저항 정신과 시를 통한 진정한 참여를 보여 주었다.  특히 넷째 측면은 윤동주의 시작과 함께 일제 말 우리 민족 문학의 공백기를 메워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할 것이다.

 

 

 

절 정

이 육 사

매운 계절(季節)의 채쭉에 갈겨

마츰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리빨 칼날진 그 우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시어의 함축적 의미

♣ 매운 계절의 채찍 : 일제 치하의 가혹한 현실과 탄압을 상징한다. '계절'은 시간적 공간, 즉 시대상황의 표현이다.

♣ 북방 : 시인이 처하고 있는 수평적 한계 상황

♣ 하늘 : 자유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소망과 가능성의 세계

♣ 고원 :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수직적 한계 상황

♣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 '하늘'은 소망, 가능성을 상징하며, '고원'은 1연의 계절(시간), 북방(수평적 공간)에 대비하여 수직적 공간의 끝을 상징한다.

♣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  '서릿발 칼날진'은 매서움의 느낌을 강화시켜줌. '그 위에 서다' 는 그러한 절박한 상황에 대한 대결 정신을 형상화한 것.

♣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굴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원의 자세 표현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 : '겨울'은 혹독하고 암담한 시대 현실, '무지개'는 현실을 초월한 세계 또는 소망의 세계. 따라서, 시적 자아는 강철과도 같은 강하고 혹독한 이 겨울(가혹한 현실 상황)을 무지개로 표상된 부드럽고 초월적인 세계로의 지향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매운 계절'의 심상과 동일한 시어 : 겨울

♣ 시적 자아의 '무릎 꿇는 행위'가 갖는 의미 : '무릎을 꿇는다'는 행위에 대해 지금까지는 대체로, '시련에 찬 고통, 억압 상황에 대한 굴복'쯤으로 해석해 왔는데 이는 오독(誤讀)이다. 왜냐하면 시의 문면에 드러난 화자의 태도는 결코 무릎을 꿇지 않을 정도로 강건하기 때문이다. '무릎을 꿇는 행위를 하늘에 기원(祈願)을 드리는 행위'로 보는 것이 무난하겠는데, 한계 상황 속에서 천지신명(天地神明)께 기구(祈求)하는 안타까운 몸짓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소극적인 의탁(依託)의 차원에 머무르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늘에 기원(祈願)하는 행위는 곧 '현실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단호함의 표명'이다. 또한 '절망의 끝에서조차 좌절하지 않으려는 정신적 확인의 행위'이기도 하다.

♣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의 이유 : 현실적으로는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절망적 상황(-그렇다고 좌절할 수도 없는 상황)을 시적 인식의 세계로 끌어들여 정신적으로 초극하기 위해서

 

 

   핵심정리

성격: 상징적, 의지적, 남성적, 지사적, 참여적

어조: 비장감, 절박감이 감도는 절제의 목소리, 남성적, 대륙적, 지사적, 의지적, 남성적 어조

구성 : 한시(漢詩)의 전형적인 구성 방식인 '기승전결(起承轉結)'의 형식

  1연 : 기(起) - 수평적 극한 상황(현실적 시련과 비극적 유랑)

  2연 : 승(承) - 수직적 극한 상황(극한 상황과 맞섬)

  3연 : 전(轉) - 극한 상황의 절정(기구(祈求)마저 못할 극한적 한계 상황)

  4연 : 결(結) - 절망 속의 역설적 초극(超克)

의의: 압축성과 응결로 이루어진 항일 저항의 정신을 담은 절명시이다.

출전: <문장> 12호, 1940.1

주제: 극한 상황의 수용과 초극

           극한 상황의 초극 의지

           극한 상황을 초극하려는 강인한 의지

 

 

   감상포인트

♠ 시상 전개 : '수평적 이동 → 수직적 도피 → 극한의 절정 → 초극

♠ 특징

   견디기 어려운 상황에서 오히려 그것을 넉넉한 관조의 정신으로 받아들이는 강인함이 엿보이는 작품

   고도로 절제된 언어가 매서운 긴장감을 드러냄  

   현실적 시련과 고뇌의 극한적 상황

♠  남성적 풍모를 보여주는 시어 : 매운, 채찍, 갈겨, 휩쓸려, 서릿발 칼날진 등

♠  매운 계절의 채찍 : 공감각적 은유. 미각과 촉각을 결합하여 겨울의 추위로부터 오는 불안의식을 심화하고 있다.

♠ 서릿발 칼날진 : 서릿발과 칼날의 시적 효과가 서로 조응하여 매서움의 느낌을 강화시킨다.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 : 은유. 겨울과 강철의 매서움과 단단함이라는 복합 심상이 '무지개'와 결합하여 유미적 빛깔로 승화되고 있다. '겨울'의 이미지는 어두운 일제 치하의 현실을, '강철'은 광물성 이미지를 통한 저항 의식을 보여주며, '무지개'는 역설적 이미지를 통해 꿈과 희망을 암시한다.

♠ 시의 짜임새가 견고해 보이는 이유 : 4단 구성의 완결성

♠ 각 연의 결구 처리 : '오다', '서다','없다','보다' 등의 용언의 기본형으로 처리하고 있는 이유는 시상의 연결과 개방적인 의지의 표출을 드러내기 위해서 이다.

♠ 구성 : 쫓겨옴(1연) → 극한 상황(2연) → 구체화(3연) → 비극적 초월(4연- 변증법적 극복 과정)

♠ 겨울(억압적 현실) -- 무지개(현실 초월의 이상 세계)

♠ 시상 전개의 차이

   광야 : 과거 → 현재 → 미래

   이 시 : 공간의 이동(북방 → 고원 → 서릿발 칼날진 그 위)

 

 시어의 상징성

 '매운 계절의 채찍'은 공감각적 은유로서 겨울의 모진 추위를 미각과 촉각을 결합하여 불안 의식을 심화하고 있다. '서릿발 칼날진'은 서릿발과 칼날의 효과적 조응으로 매서움을 더하고 있다. 특히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라는 은유법은 겨울과 매서움과 단단함의 복합 심상이 '무지개'와 결합되어 유미적 빛깔로 승화되어 있다. 또한 '겨울'의 이미지는 어두운 일제 치하에 대한 현실 의식이고, '강철'은 광물성 이미지를 통한 저항 의식을 보여 주는데, 꿈과 희망을 암시하는 '무지개'라는 역설적 시어를 통하여 심미성을 부여받고 있다.

 

 

 

이 육 사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北)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城)에는

나비처럼 취(醉)하는 회상(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시구연구

동방 : 우리나라

하늘도 다 끝나고 : 희망이 사라진 극한상황

비 한 방울 나리잖는 : 고난과 시련의 극한 상황

꽃 : 극한 상황에서도 잃지 않는 꿈과 소망(독립에의 희망)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 : 극한상황의 현실

눈 : 시련, 역경

꽃맹아리 : 극한 상황에서도 피워내는 꿈과 소망의 의지

제비떼 : 밝은 미래의 희망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 조국 해방에 대한 확신

한 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 광복의 환희가 용솟음치는 미래의 조국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 광복의 기쁨에 환호하는 미래의 우리민족


 

   핵심정리

성격: 의지적, 상징적, 저항적, 현실 참여적

심상: 시각적 심상, 역동적 심상

어조: 강인하고 의지적인 남성적 어조

출전: 시집 <육사 시집>, 1946

주제: 새 생명 탄생의 의지

           참된 삶에 대한 의지와 기다림

           부정적인 현실에서 찬란한 미래의 도래를 신뢰하며 표명하는 결의

 

 

   감상포인트

▶ 절정 : 한계점을 인식하고 비극적 초월을 노래함

    이 시 : 미래지향적, 삶의 비약적 상승과 희망을 노래

▶ 시적 화자의 태도 : 자신이 처한 현실을 극한 상황으로 인식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 생명 탄생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인식

▶ 시적 화자가 개화에 대해 지니는 인식 : 고난과 역경을 이긴 의지의 표상으로서 인식

▶ 시적 화자 : 암담한 현실을 초극하고자 하는 미래 지향적 의지를 지닌 사람

▶ 구성방식 : 한시적 구성방식, 선경후정의 구조, 점층적 구조

▶ 지배적 심상 : 꽃

 

♣ 이 시의 시적 화자가 개화(開花)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가?

▶ 고난과 역경을 이긴 의지의 표상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 이 시의 시적 화자는 어떠한 성격의 인물인가?

▶ 암담한 현실을 초극하고자 하는 미래 지향적 의지를 지닌 사람.

 

행을 모두 영탄형으로 끝맺는 문장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효과는 무엇인가?

▶ 시적 화자가 자신의 내면 의지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이 시의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해 쓰라.

▶ 생명의 근원적인 모든 요소를 잃어 버린 극한 상황에 놓여 있다. 즉 '하늘도 다 끝난' 곳,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곳, '북쪽 툰드라' 와 같이 표현된 곳이다.

 

♣ 시적 화자가 극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있음을 드러내는 구절을 모두 쓰라.

▶ '저버리지 못할 약속', '꽃 맹아리가 옴작거리고',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는 봄날을 기다리며',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 외재적 접근방식으로 이 시를 이해할 때 당시의 시대상황을 드러내는 시어를 찾아 쓰고 그 시어가 의미하는 바를 쓰라.

시어 ▶ '북쪽 툰드라', '찬 새벽', '눈 속'

의미 ▶ 일제 치하의 암울한 현실 상황

 

♣ 고난과 역경의 현실 상황에서 희망을 버리지 않고 살아가는 시적 자아의 의지를 드러내는 시어를 찾아 쓰라.

▶ '꽃 맹아리', '제비떼'

 

 

 

청 포 도

이 육 사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시구연구

청포도 : 청신하고 풍요로운 이미지

전설 : 일제에 의해 강점당하기 이전 고향 마을의 평화로운 삶

하늘 : 소망, 이상, 꿈

손님 : 화자가 고대하는 대상(조국의 해방)

청포 : 희망, 꿈을 나타내는 청색의 이미지

하이얀 모시 수건 : 순수와 순결을 뜻하는 백색 이미지


 

   핵심정리

성격: 상징적, 감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특징: 선명한 색채의 대조

출전: <문장> 7호, 1939.8

주제: 조국 광복의 염원

        풍요롭고 평화스러운 현실에의 갈망

        평화로운 삶에의 소망

 

 

   해제

청포도의 푸른 빛과 모시 수건의 하이얀 색채감 속에서 이 시가 노래하는 것은 '내 고장 7월'의 참다운 평화가 살아나기를 바라는 소망일 것이다. 시적 화자가 기다리고 있는 '청포'를 입은 '손님'은 지금은 어두운 역사 가운데 고단한 삶을 겪고 있는 인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시적 화자는 평화롭고 밝은 날이 되어야만 돌아올 수 있는 손님을 기다리며, 그 때의 평화롭고 밝은 삶을 소망하고 있다.

 

 

   감상포인트

▶ 대조적 심상

    푸른 빛 : 청포도, 하늘, 푸른 바다, 청포

    흰 빛 : 흰 돛단배, 은쟁반, 하이얀 모시 수건

▶ 내용 : 시인 자신이 현실적인 소망으로서가 아니라 어떤 상징적이며 우의적인 기다림의 대상을 제시하여 민족 혹은 그 자신에게 정서적이면서 막연한 희망을 갖게 해서 삭막한 갈증을 충족시키려 함. 이 시의 내면에 흐르는 '기다림의 정서'와 ' 그 '기다림'이 이루어질 때의 찬란한 기쁨을 예비하는 자세로 보아 이 시 역시 시인의 치열한 현실 인식에서 나온 작품임

 

이육사시집(광야,청포도,꽃,절정) 풀이좀...

광야,절정,꽃,청포도이육사의 시 인데요 이 시 내용과 풀이좀해주세요.. 그니까 뭐 심상이라던가 뭐 특징...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 광 야 이 육 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시(청포도, 황혼, 절정, 광야, )의 모든...

... 학교에서 이육사의 시(청포도, 황혼, 절정, 광야, )을... ㅎㅎ 하지만,,,, 부탁드립니다!! 청포도 -이육사.. 내 고장... 유고시집 [육사시집](1946) 작품감상... 민족적인 바탕이...

이육사 시 " 황혼, 청포도, 절정, 광야, "

황혼, 청포도, 절정, 광야, 이 작품의 주제와 해설을 4... 그리구 이 시를 올려주시구요 제발 부탁이니 목요일 밤... 작으로 이육사 시 세계를 대표한다. ●구 성 : 한시(漢詩)의...

이육사 시 (황혼, 꽃, 절정, 청포도, 광야)...

... 상징적시어 좀 부탁 드립니다....... 까마득한 날에... 육사시집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후일 <절정>, <광야>로 대표되는 항일 저항 문학의 정수를...

이육사의 시 황혼, 청포도, 꽃, 광야...

이육사의 시 황혼, 청포도, 꽃, 광야 핵심정리를 부탁드리... 부탁드립니다/ 황혼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유고시집 <육사 시집>(1946) 이해와 감상 민족적인 바탕이...

제발제발제발부탁드립니다 이육사-광야

... ‘황혼’, ‘청포도’, ‘절정’, ‘광야’, ‘’ 등 39편의 시를 남겼다.... 전시실에는 이육사 선생의 육필 원고, 독립운동 자료, 시집, 사진 등의 전시물을 비롯해...

이육사 광야,꽃,절정......

... 해석 3가지의 시 이런 방식으로좀 부탁드립니다. 광야... 한반도에는 '광야'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육사가... 시<>에는 <광야>, <절정>, <교목>, <청포도>와 함께 밝은...

이육사의문학활동

... 이육사의문학활동에 관한것좀 부탁드립니당;;; 이육사 호... 이육사는 시인이요 항일 투사로서, 웅혼한 남성적 기상과 의지를 담은 '광야', '청포도', '절정'과 같은 시를...

이육사에 대해서 내공 100겁니다 급해요

... (해석도 부탁드립니다... 제가 아무리 생각해봐도... 참고시 : 이육사 <청포도>,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심훈... 그 예로 김광균의 <설야>, <와사등>, 이육사의 <광야>, <절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