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책은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책은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작성일 2003.11.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책은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군자출판사에 알아보니 98년도에 절판된 책이라 하더군여..

헌책방 이곳저곳을 다녀봐도 구할수가 없습니다.

중독백과책을 어디서 구할수있는지 아시는분...가르쳐 주세요..^^

혹시 중독백과책을 가지고 계신분이 있으시다면.....

중독백과책 내용중.....

청산가리(KCN.시안화칼륨)에 대한 내용을 저의 이메일로 보내주신다면

머리숙여 깊이 감사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독백과
김성중 作

 

절판이기도 하고 쇼핑몰에 역시 있을리 없더군요.

 

 

---------------------------------------------------------------------------

PREFACE
필자가 응급의학 전공의 수련과정을 마치고 임상중독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94년도 초반부터이다. 서울과 지방의 응급실에 근무하면서 치료약물 및 농약중독환자를 많이 보게 되었는데, 그 때의 다양한 경험이 이 책을 쓰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급성약물중독 환자의 발생 건수는 전체 응급실 내원환자에 비하면 실제로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매년 수백 내지는 수천 명 이상이 급성약물중독으로 사망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므로 결코 간과할 수만은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우리 나라에는 중독정보센터는 물론, 임상에서 참고할 만한 우리말 서적도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응급의료의 제일선에서 일하는 분들이 중독풀질에 대한 정보가 없어 곤경에 처하거나 외국서적을 뒤적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몇 가지 이유로 부족한 대로 서둘러 책을 내게 되었다.

이 책에 인용된 치료약물의 상품명은 1996년판 'KIMS'와 1997년판 'Pharm Index',농약류의 상품명은 ' ' 97농약사용지침서」를 참고하였다. 가능하면 우리 실정 에 맞도록 편집 하고자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지 않는 약물에 대하여는 언급을 피하였으며,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비교적 친숙하게 대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하지만 의도와 달리 학문적 수준이 미천한 상태에서 책을 쓰다 보니 허술하고 어색한 부분 이 한두 군데가 아닌 것 같다. 이 점 독자 여러분들의 양해를 바라며 향후 보다 개선, 보완된 댁으로 보답할 것을 약속드린다.

그 동안 필자가 어려울 때마다 함께 걱정해 주셨던 이 한식 선생님, 진심 어린 충고와 따뜻한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던 임 경수 선생님 그리고 바쁘다는 핑계로 늘 집안 일에 소홀한 남편을 곁에서 묵묵히 지켜준 아내와 사랑하는 딸 규현에게 이 책을 바친다.


1997년 12월 1일

김 성중

차 례
제 1장 남용약물

1. 니코틴(Nicotine) 2

2. 대마초(마리화나, Marijuanna) 5

3. 신나(Thinner) 7

4. 아편(opiates & opioids) 9

5. 알콜(에탄올, Ethanol) 11

6. 진해제(덱스트로메토판, Dextromethorphan) 21

7. 카페인(Caffeine) 22

8. 코카인(Cocaine) 25

9. 필로폰(히로뽕, Methamphetamine) 27

제 2장 의약품

1. 갑상선 호르몬(Thyroid hormones) 31

2.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 32

3.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34

4. 나이트레이트(Nitrates)와 나이트라이트(Nitrites) 35

5. 나이트로프루사이드(Nitroprusside) 37

6. 답손(Dapsone) 39

7. 독실아민(Doxylamine) 42

8, 리튬(Lithium) 44

9. 마그네슘(Magnesium) 47

10. 메페남산(Mefenamate) 49

11. 바비튜레이트(Barbiturates) 50

12. 발프론산린(Valproic acid) 53

13. 타차단제(Beta-blockers) 55

14. 벤조다이아제핀(Benzodiazepines) 57

15. 붕산(Boric acid) 59

16. 비르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61

17. 비타민류(Vitamins),.,,. 63

18.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65

19. 아스피린(Aspirin) 69

20. 아이소니아지드(Isoniazid) 73

21. 이노제(Diuretics) 76

22. 인도메사신(Indomethacin) 78

23. 철(Iron) 80

24.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82

25. 칼슘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 83

26. 퀴놀론계항생제(Quinolones) 85

27. 테오필린 (Theophylline) 8 8

28. 페니토인(Phenytoin) 91

29. 펜아세틴(Phenacetin) 93

30. 피라졸론유도체(Pyrazolone derivatives) 95

31. 항생제(Antibiotics) 97

32. 항우울제(환계, Cyclic antidepssants) 98

33. 항우울제(2세 대, Newerantidepressants) 101

34.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 drugs) 103

35. 항콜린성 약물(Anticholinergics) 107

36.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109

제 3 장 농악류

1. 살서제 I(플루오로아페테이트) 114

2. 살서제 II(쿠마린계) 116

3. 살충제 I(유기인계) 118

4. 살충제 II(카바메이트계) 124

5. 살충제 I(피레스린계) 126

6. 제초제 I(파라쿼트) 128

7. 제초제 II(유기 인계) 132

제 4장 공업제품

1. 계면활성제(Surfactants) 136

2. 나프탈렌(Naphthalene) 139

3. 납(Lead) 141

4. 메탄올(Methanol) 145

5. 벤젠(Benzene) 152

6. 부식제(산, 알카리) 154

7. 비소(Arsenic) 157

8. 살균. 소독. 방부제 160

9. 석유제품(탄화수소, Hydrocarbons) 162

10. 수은(Mercury) 165

11. 아연(Zinc) 172

12.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 Sodium hypochlorite) 175

1 3. 청산가리(시안화물, Cyanides) 178

14. 취소산염(파마중화제, Bromates) 183

15.케톤(Ketones) 185

16.페놀(Phenols) 187

제 5장 가스

1. 다이옥신(Dioxins) 190

2. 사린가스(Sarin) 191

3. 암모니아(Ammonia) 194

4. 염소(Chlorine) 195

5. 이산화탄소(Co2) 196

6.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199

7. 저산소증(Hypoxla) 202

8. 최루가스(Tear gas) 205

9. 프레온(Freons) 207

10. 프로판(Propane), 부탄(Butane) 208

11.황화수소(Hydrogen sulfide) 210

제 6장 동, 식물

1. 독버섯(Poisonous mushrooms) 214

2. 독사(Snake bite) 216

3.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220

4. 벌(Bee sting) 222

5. 복어(Puffer) 224

6. 파상풍(Tetanus) 230

제 7장 무독성 섭취(Nontoxicingestions)

1. 무독성 노출의 판정 234

2.무독성 섭취로 판정되는 물질 238

제 8장 급성증독의 일반적 처치(General management)

1. 개 요 246

2. 희석 및 중화(Dilution and Neutralization) 249

3. 구토유발(Eme sis) 250

4. 위세척(Gastric Lavage) 253

5. 활성탄(Activated Charcoal) 254

6. 활성탄의 반복투여 (Serial Activated Charcoal) 258

7. 하제(Cathartics) 260

8. 장세정(Whole-bowel Irrigation) 261

9. 강제 이노 및 pH 조절 (Forced Diuresis & pH Aletration) 262

10. 중독환자의 입원기준 264

11. 중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 265

제 9장 해독 및 중독치료약물

1. Acetylcysteine(N-Acetylcysteine, NAC) 268

2. Antivenin Polyvalent, Crotalidae 272

3. Atropine 274

4. BAL(Dimercaprol) 277

5. Benztropine 279

6. Bicarbonate, Sodium(NaHCO3) 280

7. Calcium 283

8. Charcoal, Activated 286

9. Deferoxamine 288

10. Diazepam 290

11. Digoxin-specific Antibodies 292

12. Ethanol 294

13. Flumazenil 296

14. Glucagon 299

15. Methylene Blue 301

16. Metoclopramide 304

17. Midazolam 306

18. Morphine 310

19. Naloxone 310

20. Nitrite, Amyl and Sodium 313

21. Penicillamine 315

22. Physostigmine 317

23. Phytonadione(Vitamin K1 ) 319

24. Pralidoxime(2-AM) 321

25. Protamine 321

26. Pyride(Vitamin B6) 326

27. Thiamine(Vitamin B1) 328

28. Thiosulfate, Sodium . 329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1998년 출간)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중독백과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 가시면 중독백과를 열람하실 있습니다. 열람자 조건은...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1998년 출간)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중독백과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 가시면 중독백과를 열람하실 있습니다. 열람자 조건은...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1998년 출간)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중독백과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 가시면 중독백과를 열람하실 있습니다. 열람자 조건은...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1998년 출간)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중독백과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 가시면 중독백과를 열람하실 있습니다. 열람자 조건은...

독약에 관한

독약에 관한 좀 추천해 주세요. 자세히 나와있으면 좋구요. 그리고 그 책을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도 알려주세요.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라는 책이...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

김성중선생님이 쓰신 중독백과 (군자출판사. 1998년 출간) 어디서 구할수있나요? 중독백과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 의학서점에서면 어디서나 살 있습니다. 인터넷에서...